• 제목/요약/키워드: 흡광량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25초

황산기가 도입된 피브로인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ulfated Fibroin)

  • 정대철;이신영;허원
    • KSBB Journal
    • /
    • 제24권5호
    • /
    • pp.458-462
    • /
    • 2009
  • 황산 수용액에 재생 피브로인을 녹이고 가열하여 황산을 반응물과 동시에 촉매로 사용하여 황산-피브로인을 제조 하였다. 황산의 농도 및 반응온도를 달리하여 얻어진 시료로부터 적외선 흡광 스펙트럼, UV 흡광 스펙트럼, NMR 및 GPC를 사용하여 반응조건에 따른 황산기의 도입 정도 및 피브로인 분자의 분해 정도를 분석하였다. 황산-피브로인의 수율은 5%의 황산을 사용하여 $60^{\circ}C$에서 반응시킬 때 가장 높았으며 적외선 흡광 스펙트럼의 $1109\;cm^{-1}$의 피크가 나타내는 도입된 황산기의 량은 황산의 농도가 증가하면 같이 증가하였다. 단백질에 도입된 황산기는 피브로인 분자를 주로 구성하고 있는 세린 및 타이로신의 hydroxyl 그룹과 반응하여 O-sulfate ester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274 nm에서의 UV 흡광도의 감소 및 $3300\;cm^{-1}$의 적외선 흡광 스펙트럼의 감소가 관찰되는 결과와 일치하였다. GPC 분석을 통하여 황산-피브로인이 가수 분해되어 원래 피브로인의 분자량 보다 분자량이 작으며 동시에 가수분해된 저분자 황산 피브로인 펩타이드와 덜 가수분해된 비교적 분자량이 큰 펩타이드로 구성되어 있음이 확인되고 있다.

녹용 및 녹각의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 및 염산에 의한 가용화 (Extraction of Young Antler and Antler by Water, Proteases and HCl)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7-155
    • /
    • 2004
  • 동결건조 녹용, 열건조 녹용, 녹각을 물, pretense, 염산으로 단계적으로 추출하였다. 5$0^{\circ}C$ 물로 추출한 경우 동결건조 녹용은 9.01%(흡광도 8.82), 열건조 녹용은 9.01%(흡광도 4.45), 녹각은 1.10%(흡광도 0.31)의 추출율을 나타냈고, 세균 protease로 추출한 경우는 동결건조녹용은 16.89%(흡광도 4.50), 열건조 녹용은 17.20%(흡광도 5.62), 녹각은 18.22%(흡광도 0.64)의 추출율을 나타냈고, 0.8N 염산으로 추출한 경우는 동결건조 녹용은 72.25%(흡광도 4.60), 열건조 녹용은 71.1%(흡광도 4.70), 녹각은 79.82%(흡광도 2.80)의 추출율을 나타냈다. 이들 삼단계 과정으로 동결건조 녹용은 98.15%, 열건조 녹용은 97.35%, 녹각은 99.14% 추출되었다. HPLC로 분석한 결과, 녹용 및 녹각추출물에서 나타나는 고분자 피크는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의 작용으로 분자량 1,000 정도의 작은 피크로 분해되었고 남은 각질은 0.8 N염산에 의하여 분자량 7만 정도의 단백질이 추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동결 건조녹용의 추출에는 물과 protease에 의한 추출, 열건조 녹용의 추출에는 protease와 염산에 의한 추출, 녹각의 추출에는 염산에 의한 추출이 효과적이었다.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 및 염산에 의한 녹용 각질의 추출 (Extraction of Freeze Dried Young Antler Residue by Proteases and HCl)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88-396
    • /
    • 2003
  • 녹용각질을 protease와 염산으로 가용화시킬 수 있는 최적 조건을 조사하였다. 녹용을 5$0^{\circ}C$에서 물로 추출하고 난 각질에 세균 protease를 가하여 5$0^{\circ}C$에서 5시간 추출한 것은 32.8%(흡광도 3.61), 파파인 추출액은 23.8%(흡광도 0.94), 펜신 추출액은 31.2%(흡광도 2.96)가 녹았다. 녹용을 끓여서 추출하고 남은 각질에 세균 protease를 가하여 5$0^{\circ}C$에서 5시간 반응시킨 것은 45.0%(흡광도 3.61), 파파인 추출액은 30.4%(흡광도 0.33), 펜신 추출액은 51.2%(홉광도 2.77)가 녹았다. HPLC로 분석한 결과, 저온 물추출 각질과 열수 추출각질은 protease에 의하여 모두 분자량 1,000 이하의 펩티드로 작아졌다. 녹용 각질에 염산을 가하여 5$0^{\circ}C$에서 5시간 반응시킨 결과, 염산 0.1N농도에서 45%(흡광도 0.78), 0.2N에서 61%(흡광도 1.82), 0.4N에서는 81.0%(흡광도 2.29), 2.0N에서 82.0%(흡광도 3.28) 녹았다. HPLC로 분석한 결과, 0.8N 염산으로 추출한 것은 분자량 7만 정도의 피크가 58%였다. 녹용을 0.8N 염산으로 추출하여 동결 건조한 분말의 단백질 함량은 8.2%, 아미노산 함량은 81.6%, 회분 함량은 1.3%를 나타냈고, 무기물 함량은 Ca 0.1%, P 2.3%, Mg 0.8%, Na 3,4%, F 0,02%를 나타냈다. 녹용각질 가용화의 최적조건은 세균 pretense를 작용시켜서 5$0^{\circ}C$에서 5시간 반응시킨 다음, 0.8N 염산으로 5시간 추출하는 것이었다.

Total polyphenols and antioxidant activties of the extract from leaves of Stachys sieboldii MIQ.

  • Baek, Hong-Seuk;Ryu, Beung-Ho;Song, Seung-Koo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I)
    • /
    • pp.563-566
    • /
    • 2003
  • 초석잠(stachys sieboldii MIQ)의 용매 추출물에서 측정한 total polyphenols 함유량이 15${\sim}$21%으로 나타나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녹차의 함유량인 20${\sim}$25%와 비슷하며 특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함유량을 나타내었다. DPPH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 측성에서도 기존의 항산제인 ${\varpropto}-topophenol$, BHT 그리고 BHA에 비교해서 뛰어난 활성도를 나타내었고, total polyphenols 함유량이 많으면 높은 항산화 활성도를 보였다. 가장 좋은 활성도를 나타낸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sephedex LH-20 column을 통해 5개의 분획을 얻었고 각각의 분획물의 최대 흡광 범위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polyphenols 흡광범위인 200nm${\sim}$400nm와 유사함을 나타내었다.

  • PDF

미세조류의 엽록소 분석법에 따른 함량 비교 (Comparison of the chlorophyll content analysis methods of micro-algal oil)

  • 최병윤;김덕근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13.1-113.1
    • /
    • 2011
  • 미세조류 내의 엽록소는 바이오디젤 전환 반응에서 산 촉매의 활성을 억제 할 뿐만 아니라, 짙은 색상을 띄게하여 바이오디젤 품질규격으로부터 벗어나게 한다. 미세조류의 엽록소 분석은 용매에 의해 엽록소를 추출한 후,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함량을 계산하는 방법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건조된 미세조류의 분석은 선택되는 용매에 따라 최대 추출량이 달라지는 것을 제외하고 큰 문제가 없지만 미세조류를 lipid 오일로 변환하면, 용매에 녹지 않아 추출이 되지않는 문제가 발생하여 흡광도 측정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미세조류의 형태가 powder일 때와 오일인 경우를 구분하여 용매를 선택해야 하며, 오일 또는 powder 형태 구분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분석법을 적용하여 서로 다른 엽록소 함량을 비교한 후 분석법 간의 상호 장단점을 파악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메탄올을 용매로 사용하는 분석법(porra et al.)과 아세톤을 용매로 사용하는 분석법(Humphrey and Jeffrey)을 적용하여 엽록소 함량을 비교하였고, AAS(Atomic Absorption Spectrometer)를 통한 Mg 함량 측정을 통해 엽록소 함량을 계산하는 분석법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 PDF

원자흡수법에 의한 Gas-Jet Assisted RF 글로우방전 시스템의 특성 연구 (Fundamental Studies of Gas-jet Assisted Radio Frequency Glow Discharge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최성규;김효진
    • 분석과학
    • /
    • 제8권1호
    • /
    • pp.69-77
    • /
    • 1995
  • 원자흡수용 gas-jet assisted RF 글로우 방전시스템을 제작하고 시료손실량과 원자흡광도에 미치는 실험변수들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료손실량과 흡광도는 방전전력, 압력 및 가스흐름에 큰 영향을 받았다. 원자흡광도와 시료손실량을 가스흐름이 600ml/min로 증가할 때 까지 계속 증가하였으며, 방전 압력은 3mbar에서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었다. 방전전력이 증가할수록 시료손실량과 흡광도는 증가하였으나 시스템의 안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로 적당한 값의 선택이 필요하였다. 스테인리스 스틸 시료 중의 Ni과 황동시료 중의 Cr의 검량선을 작성한 결과 양호한 직선성이 얻어졌다.

  • PDF

복수 개의 광파장에 대한 상대적 흡광 특성을 이용한 글루코스 농도 측정 (Prediction of the Glucose Concentration Based on Its Optical Absorbance at Multiple Discrete Wavelengths)

  • 김기도;손근식;임성수;이상신
    • 한국광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16-42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복수 개의 측정 광파장 대역에서의 글루코스 수용액의 상대적인 흡광 특성을 이용한 글루코스 농도 예측 방법을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각 측정 파장에서의 상대적인 흡광도는 기준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기준하여 얻어진다. 선정된 기준 파장(1310 nm)과 네 개의 측정 파장(1064, 1550, 1685, 1798 nm) 대역에서는 글루코스에 대한 흡광도가 서로 반대의 부호를 갖도록 하였으며, 이 특성은 측정 정확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최종적인 글루코스 수용액의 예측 농도는 각 측정 파장에서 얻어진 예측 값의 평균으로 결정된다. 5 mm의 광경로와 $0{\sim}1000mg/dL$ 농도 범위에서 실제로 측정된 글루코스의 흡광도를 살펴보면, 기준 파장 1310 nm에서는 $-1.42{\times}10^{-6}\;AU$/(mg/dL), 측정 파장 1685 nm에서는 $+8.12{\times}10^{-6}\;AU$/(mg/dL)로 최대였다. 그리고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글루코스 용액의 농도를 예측할 경우 얻어진 표준예측오차(SEP: standard error of prediction)는 ${\sim}28\;mg/dL$였다. 또한, 온도와 지방층이 글루코스 농도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먼저 $26{\sim}40^{\circ}C$ 온도 범위에서 측정된 흡수량 변화율은 기준 파장 1310 nm에서 $-9.1{\times}10^{-5}\;AU/^{\circ}C$였고, 측정 파장 1550 nm에서 $-2.08{\times}10^{-2}\;AU/^{\circ}C$였다. 그리고 글루코스 수용액에 존재하는 지방층 두께에 따른 흡수량 변화율은 1685 nm 파장 대역에서 +1.093 AU/mm로 측정되었다.

위성영상을 활용한 한국 남해의 광학적 특성 연구 : 2013년 8월 발생한 적조 사례를 중심으로 (Analysis on optical property in the South Sea of Korea by using Satellite Image : Study of Case on red tide occurrence in August 2013)

  • 박수호;윤홍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723-72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Landsat-7 ETM+, Landsat-8 OLI 영상과 COMS/GOCI 영상을 이용하여 적조 픽셀의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적조 픽셀을 샘플링하기 위해 Landsat-7, 8 True Color 영상을 활용하였으며, 영상에서 적조 픽셀의 좌표를 획득하였다. 획득된 픽셀의 좌표를 참조하여 동일 해역의 GOCI 영상을 통해 해당픽셀의 흡광 및 수출광량 자료를 획득하였다. 적조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412nm와 660nm 파장대에서 주흡광을 보인 것에 비해 적조 픽셀의 경우 660nm에서 주흡광을 보였으며, 412nm에서는 흡광량이 현저히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 수출광량의 경우 스펙트럼 형태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수출광량의 절대값이 적조 픽셀의 경우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660nm와 680nm 파장대에서 수출광량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장유(醬油)의 색변화(色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olor Change of Soysauce)

  • 정구민;조성환;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3호
    • /
    • pp.200-205
    • /
    • 1981
  • 메주를 사용(使用)한 재래식(在來式)과, Koji를 사용(使用)한 개량식(改良式) 간장을 원료배합비(原料配合比)를 다르게 담그어 숙성중(熟成中) 환원당(還元糖), 전질소(全室素), 아미노태질소(態室素)의 성분변화(成分變化)와 흡광도(吸光度), 색도변화(色度變化)를 측정(測定)한 다음, 숙성후(熟成後) 가열(加熱)에 의(依)한 흡광도(吸崙度)와 색도변화(色度變化)를 측정(測定)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환원당(還元精)의 함량(含量)은 재래식(在來式)에 비(比)하여 개량식(改良式) 간장이 더 많고 밀의 배합량(配合量)이 많을 수록 더 하였다. 전질소(全室素)와 아미노태질소(態室素)의 함량(含量)은 시간(時間)이 경과할수록 증가(增加)하였고, 콩의 배합량(配合量)이 많으면 이 함량(含量)도 많았으나 시료간(試料間)에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숙성중(熟成中) 흡광도(吸光度)와 색도(色度)는 재래식(在來式) 간장의 경우 많이 증가(增加)하였으나 개량식(改良式) 간장은 별로 증가(增加)하지 않았다. 가열중(加熱中) 흡광도(吸光度)와 색도(色度)는 대체로 개량식(改良式) 간장이 재래식(在來式) 간장에 비(比)하여 더 증가(增加)하였으며 밀의 배합량(配合量)이 많은 구(區)일수록 증가량(增加量)도 컸다.

  • PDF

강낭콩의 적정 침지조건과 조리특성의 비교 (Comparison on Optimum Soaking Condition and Cooking Properteis of Korean Kidney Beans)

  • 조은자;박선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937-942
    • /
    • 1995
  • 침지 중 강남콩의 절단력은 적색종>분홍색종>백색종의 순으로 컸으나, $10^{\circ}C에서\;10시간,\;20^{\circ}C에서\;8시간,\;30^{\circ}C에서\;6시간,\;40^{\circ}C$에서 3시간 침지한 경우에는 품종에 관계없이 동일한 절단력을 보였다. 동일한 절단력을 나타내는 조건($10^{\circ}C에서\;10시간,\;20^{\circ}C에서\;8시간,\;10^{\circ}C에서\;6시간,\;10^{\circ}C$에서 3시간)을 적정 침지조건으로 하여 침지한 강낭콩의 조리완료 시간은 침지조건에 관계없이 분홍색종이 23분, 적색종이 25분, 백색종이 27분이었다. 조리속도는 침지조건에 관계없이 비슷하엿으나 분홍색종>적색종>백색종의 순으로 컸다. 고형분 용출량은 침지조건과 품종에 관계없이 비슷한 값을 보였으나, 품종에 관계없이 $30^{\circ}C$에서는 최대의 고형분 용출량을, $10^{\circ}C$에서는 최소한 고형분 용출량을 나타내었으며, 백색종은 침지온도 $10^{\circ}C$에서 10시간 침지시 다른 침지조건 보다 고형분 용출량이 훨씬 적어 차이를 보였다.조리액의 색도는 적색종>분홍색종>백색종의 순으로 흡광도가 높았고, 조리시 강낭콩의 최대 흡광도는 분홍색종과 적색종은 490nm였고 백색종은 330nm였으며, 강낭콩 분홍색종과 적색종이 침지조건에는 관계없이 동일한 흡광도를 보였으나, 침지온도 $10^{\circ}C$에서 10시간 침지한 분홍색종은 흡광도가 낮아 특이한 패턴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