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흑색종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37초

실용 재래닭의 지방산 조성 및 관능적 특성 (Fatty Acids Composi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Commercial Native Chicken Meat)

  • 김영호;민중석;황성규;이상옥;김일석;박형일;이무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964-970
    • /
    • 1999
  • 본 연구는 실용계의 육질특성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재래계와 육용계의 교잡종 6개구(RcDR, RcLR, BcBR, BcDR, BcLR, RcBR)와 전용육계 1개구(Arbor Acre), 재래계 3개구(적갈색종-D, 황갈색종-L, 흑색종-B)에 대한 지방산 조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출하주령에서의 지방산 조성에서 재래계는 일반적으로 다른 종보다 불포화지방산함량이 더 높았다. B, BcBR, BcDR은 가장 높은 불포화지방산 함량을 나타낸 반면 포화지방산 함량은 다른 종에 비해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결과를 살펴보면 다리육의 경우 다즙성(juiciness), 연도(tenderness), 기호성(acceptibility)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다즙성은 흑색종과 RcBR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Arbor Acre 가 가장 낮았다. 연도는 흑색종이 가장 우수하였고, 그다음은 RcBR이었으며, RcDR은 가장 낮았다. 풍미와 냄새에서는 각각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기호성은 재래계 특히 흑색종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시험구중에서는 RcBR이 가장 우수하였다.

  • PDF

Ursolic acid의 악성 흑색종 세포주 A375SM과 A375P에서의 항암효능 (Anti-Cancer Effect of Ursolic Acid in Melanoma Cell A375SM and A375P)

  • 우중석;김나원;이진규;김재혁;임다영;강신우;김성현;유은선;이재한;한소희;박영석;김병수;김상기;박병권;정지윤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3-190
    • /
    • 2019
  • 우르솔릭산은 항암, 항산화, 항염증 작용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르솔릭산이 인간 흑색종 암세포인 A375SM과 A375P 세포에 항암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두 세포의 생존율은 MTT assay를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증식률은 Wound healing assay로 확인하였다. 두 세포의 apoptotic body와 apoptosis 비율의 확인을 위한 DAPI 염색과 유세포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웨스턴 블로팅을 통하여 흑색종 세포의 우르솔릭산의 농도에 따른 apoptosis 단백질의 유도를 조사하였다. 우르솔릭산의 처리 농도에 따라 흑색종 세포의 생존율 감소와 증식률 감소를 확인하였다. DAPI 염색을 통하여 우르솔릭산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흑색종 세포의 염색체 응축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유세포 분석을 통하여 우르솔릭산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흑색종 세포의 apoptosis 비율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웨스턴 블로팅을 통해 흑색종 세포 A375SM과 A375P의 우르솔릭산 $12{\mu}M$ 농도에서 cleaved-PARP와 Bax의 증가와 Bcl-2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우르솔릭산의 농도를 0 에서 $20{\mu}M$ 수준의 저농도에서 진행하였으며, 물질 처리 후 24 시간 뒤 결과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보아 우르솔릭산은 흑색종 세포 A375SM과 A375P에서 apoptosis 관련 단백질들의 조절을 통해 항암효과를 일으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콩 종실크기 및 종피색에 따른 침종후 수분흡수특성, 자엽손상 및 배축 신장력의 차이 (Water Uptake, Cotyledon Damage after Imbibition and Hypocotyl Elongation in Soybean with Different Seed Size and Color)

  • 박금룡;김석동;류용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31-338
    • /
    • 1994
  • 콩의 종실크기 및 종피색에 따른 침종후 수분흡수, 자엽손상 및 배축신장의 차이를 구명하고자, 황색 및 흑색 대소립종 각각 4품종씩을 공시하여 경시적인 수분 흡수및 발아양상을 조사하고 나아가서, 침종후 자엽손상률과 발아과정중의 배축신장력을 상호비교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몇가지 결과를 얻었다. 1. 유근의 중양은 대립종이 높았으나, 종실에 대한 유근의 비율에 있어서는 대립종이 1.8%, 소립종 2.9%로 소립종이 현저히 높았고, 종피색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종피율은 대립종 6.6%에 비하여 소립종은 9.2%로 뚜렷히 높았고, 흑색종은 황색종에 비하여 높은 종피율을 보여 흑색종의 종피가 두껍다는 것을 알 수있었다. 2. $25^{\circ}C$에서의 수분흡수를 보면 소립종이 초기 수분흡수력이 높았으나, 수분평형상태에 도달한 24시간에는 대립종의 수분흡수율이 다소 높았고, 흑색종피종은 침종후 3시간까지는 수분흡수가 황색종에 비해 크게 지연되었으나, 침종 24시간에는 오히려 높은 수분흡수율을 보였다 3. 종실의 경도는 대소립종 및 종피색간 차이가 없었고, 침종후 24시간에 조사한 자엽손상률은 대립종이 78%를 보인 반면, 소립종은 자엽손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았으며, 흑색종은 황색종에 비하여 자엽 손상률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4. 최종 발아율 및 발아속도는 소립종이 높았으며, 무색종은 발아속도는 느렸으나, 최종 발아율은 황색종과 차이가 없었다. 5. 발아기간중 조사한 배축장은 대체적으로 소립종이 큰 경향을 보였고, 자엽에 대한 배축의 생체중 비율도 소립중이 뚜렷히 높았으나, 배축 두께는 대립종이 더 두꺼웠다. 6. 100입중과 종피율, 배의 비율 간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자엽손상률과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침종후 3시간의 수분흡수율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으나 수분흡수 평형상태에 도달한 침종후 24시간의 수분흡수율과는 정의 상관을 보였다.

  • PDF

악성 흑색종의 예후 인자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the Prognostic Factors of Malignant Melanoma)

  • 이형석;박종혁;함동훈;김정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2-129
    • /
    • 2009
  • 목적: 최근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악성 흑색종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장기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3월부터 2004년 3월까지 악성 흑색종으로 진단 받았고 5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51예를 대상으로 후향성 연구를 하였으며, 평균연령은 49.4세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나이, 성별, 발생 부위, 종양의 두께, 주위 림프절 전이여부, 면역화학 요법의 시행 유무에 따른 5년 생존율을 비교하였고, 전이 및 국소재발 유무를 조사하였다. 결과: 발병 연령이 65세 미만인 경우 5년 생존율은 88.5%였고, 65세 이상에서는 88.0%였다. 남자의 5년 생존율은 62.5%였으며, 여자는 100%였다. 발생 부위에 따른 5년 생존율은 상지가 100%, 하지가 80.0%, 기타 부위가 100%였다. Clark stage III이하에서는 100% 5년 생존율을 보였고, IV이상에서는 79.3%였다. 주위 림프절로의 전이가 있었던 경우 5년 생존율은 66.7%였고, 림프절 전이가 없었던 경우는 94.9%였다. 결론: 악성흑색종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성별(남자), 발생 부위(하지), 종양의 두께(Clark's stage IV이상), 주위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에 나쁜 예후를 보였으나, 다른 연구와는 다르게 발병 연령은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흑색종 세포에 대한 플라즈마와 전기장의 효과 연구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Plasma and Electric Field on Melanoma)

  • 손채화;최영욱;정순신;조국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물성,응용부문
    • /
    • pp.174-17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상압에서 RF파워에 의해 플라즈마 바늘(plasma needle) 에서 발생된 마이크로 플라즈마를 이용한 바이오 실험에 대한 결과를 제시한다. 마이크로 플라즈마는 그 크기가 수 mm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플라즈마를 지칭하는 단어로써 다양한 전원에 의해 구동된다. 바이오 응용을 위한 저온 플라즈마는 세포 활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온도가 적절히 제어되어져야만 한다. 본 논문에서는 플라즈마 온도를 40도 이하로 조절하도록 외부 인가 파워를 조절하였다. 플라즈마의 특성을 알기 위해서 기초적인 가스 스펙트럼에 대한 조사도 수행하여 아르곤 (Ar) 과 헬륨 (He) 의 결과를 저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작은 크기 때문에 플라즈마의 관찰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모델링을 통한 시뮬레이션으로 플라즈마 거동 및 분포를 계산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플라즈마에 대한 정보 및 향후 시스템 개선에 사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수행한 기초적인 바이오 실험의 예로써 흑색종 (피부암세포, meianoma)에 대한 플라즈마 및 전기장의 효과를 제시한다.

  • PDF

비강 내 소세포형 악성 흑색종의 면역치료 1예 (A Case of Immunotherapy in Small Cell Type Malignant Melanoma of Nasal Cavity)

  • 김창회;권재환;김주연
    • 임상이비인후과
    • /
    • 제29권2호
    • /
    • pp.259-263
    • /
    • 2018
  • There are many treatment options for the malignant melanoma. Wide excisional surgery is one of the most acceptable treatments for locoregional treatment. Depending on the pathologic classification, however, some other treatment option can be included such as chemotherapy, radiotherapy and immunotherapy as adjuvant treatment. Small cell type malignant melanoma is a rare variant of malignant melanoma. It is known that melanomas manifesting this morphology are invariably in vertical growth phase and have an aggressive course. The authors encountered small cell type malignant melanoma and would like to share the experience of successful treatment with surgery plus immunotherapy as one of adjuvant treatment options.

악성 흑색종의 치료와 예후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Treatment and Prognosis in Malignant Melanoma)

  • 권영호;김정렬;이영구;김재도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1-147
    • /
    • 2005
  • 목적: 악성 흑색종의 치료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외과적 전절제술이며, 수술시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한다. 저자 등은 광범위절제와 면역화학요법을 시행한 후 각 병기별 5년 생존율을 알아보고 예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3월부터 2003년 8월까지 악성 흑색종으로 진단 받았던 35명(남자 17명, 여자 18명)을 대상으로 광범위절제술과 면역화학요법을 시행한 후 추시 관찰하였다. 절제술은 종양의 크기나 피부층의 침범정도와 상관없이 종양의 변연으로부터 2 cm으로 하였고, 절제술 후 덮이지 않는 피부 결손부는 피판 이식술이나 전층 피부 이식술을 이용하였다, 면역화학요법으로는 dacarbazine (DTIC) 400 mg과 인터페론-${\alpha}$ 300만 IU를 병용 투여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면역화학요법은 III기 이상의 환자에게 시행하였고, 병기는 2002년 개정된 AJCC 병기를 이용하여 판정하였다. 또 이들 환자들에 대해 국소재발과 국소전이, 그리고 원격전이여부를 조사하였고, 각 병기별 5년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결과: 발생부위는 족부가 15명(42.8%)으로 가장 많았고, 족관절부 5명(14.2%), 하퇴부 2명(5.7%), 대퇴부 2명(5.7%), 수부에 5명(14.2%)이었다. 병기별 발생빈도는 IA 8명(22.8%), IB 9명(25.7%), IIA 4명(11.4%), IIB 2명(5.7%), IIIA 1명(2.8%), IIIB 2명(5.7%), IIIC 2명(5.7%) 그리고 IV기는 7명(20.0%) 이었다. 각 병기별 5년 생존율은 I기에서 94.1%, II기에서 66.8%, III기에서 40%, IV기에서 14.3%로 나타났다. 결론: 악성 흑색종은 III기 이상에서는 5년 생존율이 낮았다. 악성 흑색종의 치료는 초기에 진단하여 병기에 따라 치료의 방법을 달리하므로 수술전 병기의 확인이 매우 중요하다. 광범위 절제연에 대해서는 종양 두께에 따라 1~3 cm의 절제연으로 광범위 절제를 권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