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reatment and Prognosis in Malignant Melanoma

악성 흑색종의 치료와 예후에 대한 분석

  • Kwon, Young-H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
  • Kim, Jeong-Ryou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
  • Lee, Young-Gu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
  • Kim, Jae-D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 권영호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복음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김정렬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복음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이영구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복음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김재도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복음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5.12.30

Abstract

Purpose: The most important thing in curing Malignant melanoma is surgical excision, operating method is wide excision. The author et al. studied 5-year survival rate of each stage and appropriate surgical margin after operating wide excision and immuno-chem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1995 to August 2003, wide excision and immunochemotherapy were operated to 35 patients (17 males and 18 females) who were diagnosed as malignant melanoma and followed up. Excision was done around 2 cm from edge of tumor regardless of the size or effected degree of the skin, and flap or full thickness skin graft was used for skin deficit that was not covered after excision. As for immuno-chemotherapy, method that prescribes 400 mg of dacarbazine (DTIC) and 3 million IU of interferone-${\alpha}$ in combination was used. Immuno-chemotherapy was operated to patients in over stage III. We used AJCC stage that was revised in 2002. Local recurrence, local metastasis and distant metastasis were investigated for these patients as well as the 5-year survival rate of each stage. Results: Most frequently 15 cases(42.8%) occurred in foot, 5 cases(14.2%) occured in ankle, 2 cases(5.7%) in leg, 2 cases(5.7%) in thigh and 5 cases(14.2%) in hand. The incidence of each stage were 8 cases(22.8%) in IA, 9 cases(25.7 %) in IB, 4 cases(11.4%) in IIA, 2 cases(5.7%) in IIB, 1 cases(2.8%) in IIIA, 2 cases(5.7%) in IIIB, 2 cases(5.7%) in IIIC and 7 cases(20.0%) in stage IV. 5-year survival rate of each stage were 94.1% in stage I, 66.8% in stage II, 40% in stage III and 14.3% in stage IV. Conclusion: 5-year survival rate of stage IV was low in malignant melanoma. In treatment of malignant melanoma, staging before operation is important as operation methods are different from each stage. We recommend wide excision which remove around 1~3 cm from margin of tumor up to each thickness.

목적: 악성 흑색종의 치료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외과적 전절제술이며, 수술시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한다. 저자 등은 광범위절제와 면역화학요법을 시행한 후 각 병기별 5년 생존율을 알아보고 예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3월부터 2003년 8월까지 악성 흑색종으로 진단 받았던 35명(남자 17명, 여자 18명)을 대상으로 광범위절제술과 면역화학요법을 시행한 후 추시 관찰하였다. 절제술은 종양의 크기나 피부층의 침범정도와 상관없이 종양의 변연으로부터 2 cm으로 하였고, 절제술 후 덮이지 않는 피부 결손부는 피판 이식술이나 전층 피부 이식술을 이용하였다, 면역화학요법으로는 dacarbazine (DTIC) 400 mg과 인터페론-${\alpha}$ 300만 IU를 병용 투여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면역화학요법은 III기 이상의 환자에게 시행하였고, 병기는 2002년 개정된 AJCC 병기를 이용하여 판정하였다. 또 이들 환자들에 대해 국소재발과 국소전이, 그리고 원격전이여부를 조사하였고, 각 병기별 5년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결과: 발생부위는 족부가 15명(42.8%)으로 가장 많았고, 족관절부 5명(14.2%), 하퇴부 2명(5.7%), 대퇴부 2명(5.7%), 수부에 5명(14.2%)이었다. 병기별 발생빈도는 IA 8명(22.8%), IB 9명(25.7%), IIA 4명(11.4%), IIB 2명(5.7%), IIIA 1명(2.8%), IIIB 2명(5.7%), IIIC 2명(5.7%) 그리고 IV기는 7명(20.0%) 이었다. 각 병기별 5년 생존율은 I기에서 94.1%, II기에서 66.8%, III기에서 40%, IV기에서 14.3%로 나타났다. 결론: 악성 흑색종은 III기 이상에서는 5년 생존율이 낮았다. 악성 흑색종의 치료는 초기에 진단하여 병기에 따라 치료의 방법을 달리하므로 수술전 병기의 확인이 매우 중요하다. 광범위 절제연에 대해서는 종양 두께에 따라 1~3 cm의 절제연으로 광범위 절제를 권유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