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휠 불안정성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플라이휠을 이용한 전력시스템의 안정화 (Stablization of power system using a flywheel)

  • 권태홍;이명동;고광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583-584
    • /
    • 2006
  • 풍력발전은 친환경적인 에너지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그 에너지의 불안정성 때문에 실용화가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효과적인 에너지 보상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도기를 모티브로 해서 플라이휠을 등가 모델링 한다. 그 후 PSIM을 이용하여 풍력발전기의 지락사고를 설정하고, 플라이휠의 보상 유무에 따른 부하의 과도현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안정된 전력보상시스템의 구현찬 수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고조파의 영향이 관찰되었다.

  • PDF

플라이휠을 이용한 전력시스템의 안정화 (Stablization of power system using a flywheel)

  • 권태홍;이명동;고광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215-2216
    • /
    • 2006
  • 풍력발전은 친환경적인 에너지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그 에너지의 불안정성 때문에 실용화가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효과적인 에너지 보상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도기를 모티브로 해서 플라이휠을 등가 모델링 한다. 그 후 PSIM을 이용하여 풍력발전기의 지락사고를 설정하고, 플라이휠의 보상 유무에 따른 부하의 과도현상을 살펴 보고자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안정된 전력보상시스템의 구현할 수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고조파의 영향이 관찰되었다.

  • PDF

플라이휠을 이용한 전력시스템의 안정화 (Stablization of power system using a flywheel)

  • 권태홍;이명동;고광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249-1250
    • /
    • 2006
  • 풍력발전은 친환경적인 에너지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그 에너지의 불안정성 때문에 실용화가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효과적인 에너지 보상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도기를 모티브로 해서 플라이휠을 등가 모델링 한다. 그 후 PSIM을 이용하여 풍력발전기의 지락사고를 설정하고, 플라이휠의 보상 유무에 따른 부하의 과도현상을 살펴 보고자 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안정된 전력보상시스템의 구현할 수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고조파의 영향이 관찰되었다.

  • PDF

플라이휠을 이용한 전력시스템의 안정화 (Stabilization of power system using a flywheel)

  • 권태홍;이명동;고광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709-1710
    • /
    • 2006
  • 풍력발전은 친환경적인 에너지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그 에너지의 불안정성 때문에 실용화가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효과적인 에너지 보상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도기를 모티브로 해서 플라이휠을 등가 모델링 한다. 그 후 PSIM을 이용하여 풍력발전기의 지락사고를 설정하고, 플라이휠의 보상 유무에 따른 부하의 과도현상을 살펴 보고자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안정된 전력보상시스템의 구현할 수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고조파의 영향이 관찰되었다.

  • PDF

능동 제어되는 외부 가압 공기 베어링의 안정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bility Characteristics of Actively Controlled Externally Pressurized Air Journal Bearing)

  • 이정배;김경웅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4권3호
    • /
    • pp.543-549
    • /
    • 2000
  • Results of theoretical investigations of the stability characteristics of an actively controlled externally pressurized air journal bearing are presented. Proportional control and derivative control are used for the control algorithm of active air bearing. The sta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actively controlled bearing operating at zero steady-state eccentricity is investigated with the step jump method. The speed at onset of instability is raised for both proportional control and derivative control of bearing. Proportional control increased the stability threshold without affecting the whirl ratio. But for derivative control of bearing, stability threshold increase is accompanied by a parallel reduction of the whirl ratio. Results show active control of bearing can be adopted for the stability improvement of air journal bearing.

롤러 신발과 조깅 신발 착용 후 보행 시 하지 분절의 운동학적 특성 비교 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Wearing Roller Shoes and Jogging Shoes on Kinematic Characteristics in the Lower Extremity during Walking)

  • 장재익;채원식;강년주;윤창진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99-40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롤러 신발과 조깅 신발 착용 후 보행 시 운동학적 변인에 대하여 비교 분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하지 근골격계에 이상이 없는 중학생 8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여 3차원 동작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활보장, 인체무게 중심변위 및 선속도, 관절각 및 각속도에서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롤러 집단의 경우 지지 시 발목 관절각이 증가하고 무릎각의 각속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롤러 신발의 경우 장착된 휠에 의해 지지 시 적절한 배측굴곡이 이루지지 못하고, 불안정성을 극복하기 위해 무릎의 과도한 굴곡이 나타난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이러한 운동학적 변인의 차이는 롤러 신발 보행 시 정상 패턴과는 다른 불안정한 보행 동작을 유발시키고 이러한 동작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하지 근골격계에 변화를 유발시켜 부상 유발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보다 안정성 높은 롤러 신발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