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휠 불안정성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Stablization of power system using a flywheel (플라이휠을 이용한 전력시스템의 안정화)

  • Kwon, Tae-Hong;Lee, Myeong-Dong;Ko, Kwang-Cheo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a
    • /
    • pp.583-584
    • /
    • 2006
  • 풍력발전은 친환경적인 에너지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그 에너지의 불안정성 때문에 실용화가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효과적인 에너지 보상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도기를 모티브로 해서 플라이휠을 등가 모델링 한다. 그 후 PSIM을 이용하여 풍력발전기의 지락사고를 설정하고, 플라이휠의 보상 유무에 따른 부하의 과도현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안정된 전력보상시스템의 구현찬 수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고조파의 영향이 관찰되었다.

  • PDF

Stablization of power system using a flywheel (플라이휠을 이용한 전력시스템의 안정화)

  • Kwon, Tae-Hong;Lee, Myeong-Dong;Ko, Kwang-Cheo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d
    • /
    • pp.2215-2216
    • /
    • 2006
  • 풍력발전은 친환경적인 에너지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그 에너지의 불안정성 때문에 실용화가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효과적인 에너지 보상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도기를 모티브로 해서 플라이휠을 등가 모델링 한다. 그 후 PSIM을 이용하여 풍력발전기의 지락사고를 설정하고, 플라이휠의 보상 유무에 따른 부하의 과도현상을 살펴 보고자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안정된 전력보상시스템의 구현할 수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고조파의 영향이 관찰되었다.

  • PDF

Stablization of power system using a flywheel (플라이휠을 이용한 전력시스템의 안정화)

  • Kwon, Tae-Hong;Lee, Myeong-Dong;Ko, Kwang-Cheo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b
    • /
    • pp.1249-1250
    • /
    • 2006
  • 풍력발전은 친환경적인 에너지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그 에너지의 불안정성 때문에 실용화가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효과적인 에너지 보상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도기를 모티브로 해서 플라이휠을 등가 모델링 한다. 그 후 PSIM을 이용하여 풍력발전기의 지락사고를 설정하고, 플라이휠의 보상 유무에 따른 부하의 과도현상을 살펴 보고자 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안정된 전력보상시스템의 구현할 수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고조파의 영향이 관찰되었다.

  • PDF

Stabilization of power system using a flywheel (플라이휠을 이용한 전력시스템의 안정화)

  • Kwon, Tae-Hong;Lee, Myeong-Dong;Ko, Kwang-Cheo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c
    • /
    • pp.1709-1710
    • /
    • 2006
  • 풍력발전은 친환경적인 에너지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그 에너지의 불안정성 때문에 실용화가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효과적인 에너지 보상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도기를 모티브로 해서 플라이휠을 등가 모델링 한다. 그 후 PSIM을 이용하여 풍력발전기의 지락사고를 설정하고, 플라이휠의 보상 유무에 따른 부하의 과도현상을 살펴 보고자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안정된 전력보상시스템의 구현할 수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고조파의 영향이 관찰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Stability Characteristics of Actively Controlled Externally Pressurized Air Journal Bearing (능동 제어되는 외부 가압 공기 베어링의 안정 특성에 관한 연구)

  • Lee, Jeong-Bae;Kim, Gyeong-U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24 no.3 s.174
    • /
    • pp.543-549
    • /
    • 2000
  • Results of theoretical investigations of the stability characteristics of an actively controlled externally pressurized air journal bearing are presented. Proportional control and derivative control are used for the control algorithm of active air bearing. The sta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actively controlled bearing operating at zero steady-state eccentricity is investigated with the step jump method. The speed at onset of instability is raised for both proportional control and derivative control of bearing. Proportional control increased the stability threshold without affecting the whirl ratio. But for derivative control of bearing, stability threshold increase is accompanied by a parallel reduction of the whirl ratio. Results show active control of bearing can be adopted for the stability improvement of air journal bearing.

The Comparative Analysis of Wearing Roller Shoes and Jogging Shoes on Kinematic Characteristics in the Lower Extremity during Walking (롤러 신발과 조깅 신발 착용 후 보행 시 하지 분절의 운동학적 특성 비교 분석)

  • Jang, Jae-Ik;Chae, Woen-Sik;Kang, Nyeon-Ju;Yoon, Chang-Jin
    • Korean Journal of Applied Biomechanics
    • /
    • v.19 no.2
    • /
    • pp.399-40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wearing roller shoes and jogging shoes on kinematic characteristics in lower extremity during walking. Eight male middle school students(age: $15.0{\pm}0.0^{\circ}$ yrs, height $175.9{\pm}6.6cm$, weight: $616.3{\pm}84.9$ N) who have no musculoskeletal disorder were recruited as the subjects. Temporal parameters, step length, stride length, center of mass, velocity of CM, angle of segment, angular velocity and range of motion were determined for each trial. For each dependent variable, paired t-test was performed to test if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shoe conditions(p < .05). The results showed that stride length and velocity of CM in wearing roller shoes were significantly less than those found in wearing jogging shoes. These indicated that walking patterns may be changed by different shoe conditions and unstable braking condition because of wheel. Angle of ankle joint at LHC1 and LHC2 in wearing roller shoes was greater than the corresponding value for wearing jogging shoes. It seems that the ankle joints are locked in an awkward fashion at the heel contact to compensate for imbalance. Otherwise, dorsi flexion was not produced at the heel contact point in wearing roller sho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