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훈증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9초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 중온 열수 및 푸마르산 병합처리가 감귤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및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Combined Treatment of Chlorine Dioxide Gas, Mild Heat, and Fumaric Acid on Inactiv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and Quality of Citrus unshiu Marc. during Storage)

  • 김현규;민세철;오덕환;구자준;송경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8호
    • /
    • pp.1233-1238
    • /
    • 2016
  • 감귤의 저장 중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 및 품질 향상을 위해 0.5% 푸마르산과 $50^{\circ}C$ 열수 세척처리 후 15, 30 ppmv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 처리하여 $4{\pm}1^{\circ}C$에서 30일간 저장하였다. 푸마르산, 열수 세척처리, 15와 30 ppmv 병합처리 시 접종된 Listeria monocytogenes를 3.5~3.7 log CFU/g 감소시켰다. 또한, 감귤의 병합처리 후 30 ppmv 병합처리구에서 저장 30일 후에 효모 및 곰팡이 수에 있어서 2.54 log CFU/g의 감소 효과를 나타냈고, 대조구와 비교하여 부패율을 48% 낮추는 효과를 보였다. 저장 중 당도, 산도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병합처리는 감귤 시료의 표면 색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이산화염소 가스, 중온 열수 세척, 푸마르산 병합처리는 감귤 시료의 품질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미생물학적 안전성 및 품질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적인 허들기술이라고 판단된다.

참나무시들음병 피해목을 이용한 표고 톱밥재배에 대한 연구 (Study on Sawdust Bag Cultivation of Shiitake (Lentinula edodes), using Oak Wilt-Diseased Logs)

  • 김세훈;서수영;장영선;유림;서상태;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00-30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참나무시들음병 피해목을 이용해서 표고 톱밥재배 가능성을 알아보고 생산된 표고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았다. 총 3개 균주와 4가지 톱밥재료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생산량 검정 결과 고사목을 이용하여 재배한 모든 균주는 건전목과 통계적으로 비슷한 생산량을 나타냈으며 산마루2호를 제외하고 훈증목과 고사진행목을 이용하였을 때 건전목보다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처리구에서 수확한 표고의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는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 FRAP, reducing power에서 훈증목이 다른 배지재료에 비해서 항산화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참나무시들음병 피해목의 이용 증진을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참나무시들음병 피해목을 이용한 표고 톱밥재배 가능성과 생산된 표고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참나무시들음병 피해목을 활용한 톱밥재배 관련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머리대장가는납작벌레의 합리적 방제 물질로 이란 서양가새풀 정유의 살충효과 평가 (Essential Oil Isolated from Iranian Yarrow as a Bio-rational Agent to the Management of Saw-toothed Grain Beetle, Oryzaephilus surinamensis (L.))

  • 아스가르 에바돌라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95-402
    • /
    • 2017
  • 유기합성 농약의 과다사용은 환경오염, 살충제 저항성 발달, 비표적 생물에 대한 영향 등 부작용의 원인이 되고 있다. 유기합성 농약의 대체약제로 포유동물에 저독성인 식물기원 물질이 각광을 받게 되었다. 이란 서양가새풀(Achillea millefolium L.) 정유성분의 훈증독성은 국제적 저장작물 해충인 머리대장가는납작벌레(Oryzaephilus surinamensis L.)의 방제제로 연구된 바 있다. 이 식물 정유의 화학적 성분을 가스크로마트 그래피(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살충실험 결과 처리농도에 따라 유의한 살충률을 나타냈다. 처리농도와 살충률 간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반치사 농도(LC50)는 $17.977{\mu}l/L$ 이었다. 주요 성분은 1,8-Cineole (13.17%), nerolidol (12.87%), ${\alpha}$-cubebene (12.35%), artemisia ketone (6.69%), ${\alpha}$-terpineol (5.27%), alloaromadendrene oxide (4.71%) 및 borneol (3.99%) 이었다. 전체 동정된 화합물의 96.35%는 Terpenic 화합물로 monoterpene hydrocarbons (8.19%), monoterpenoids (44.23%), sesquiterpene hydrocarbons (21.69%) 및 sesquiterpenoids (22.24%)를 포함하고 있었다. 본 결과는 terpene이 풍부한 서양가새풀 정유가 머리대장가는납작벌레의 안전한 생물농약으로 고려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목조건축물의 흰개미 방제에 대한 국외 현황조사(I)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Study of the present situation on the termite control of wooden structures(I) - Focused on the case of US)

  • 정소영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2호
    • /
    • pp.123-136
    • /
    • 2011
  • 우리나라에는 지중흰개미의 일종인 큐슈흰개미 1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흰개미 피해가 발견되었을 경우 훈증처리, 토양처리, 방충방부처리, 흰개미 군체제거시스템 등 4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방제하고 있다. 그러나 점차적으로 흰개미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흰개미 피해가 심각한 미국, 일본 등 다른 나라의 피해 현황 및 방제 방법에 대해서도 조사할 필요가 있다. 본 고에서는 1950년경부터 흰개미 피해가 발생한 미국을 중심으로 흰개미 분포 현황 및 방제 체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에는 지중흰개미, 건재흰개미, 습재흰개미 등 다양한 종류의 흰개미가 분포하고 있어, 우리나라에 비해 흰개미에 의한 피해가 더 심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흰개미 피해를 조사하고 적절한 방제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한데, 그 과정은 흰개미 피해 조사, 화학적 방제처리(토양 약제 처리, 흰개미 군체제거시스템), 건축물 유지보수, 주기적인 모니터링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분포하는 흰개미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흰개미 피해로부터 방제작업을 진행할 때도 흰개미의 특성을 고려하여 각각 다르게 적용된다. 지중흰개미에 의한 피해가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건축물에 대한 기피성 또는 비기피성 살충제를 이용하여 처리하거나 흰개미 군체제거시스템을 이용하여 처리한다. 반면, 건재흰개미에 의한 피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훈증처리,열처리 등을 통해 방제하고 있다.

  • PDF

유기물 문화재 보존환경의 효율적 미생물 제거를 위한 표준화 연구 (Standard Research for an Anti-Bacterial Effectivity in Conservational Environment of Organic Cultural Properties)

  • 서민석;정용재;홍정기;송지애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5년도 제22회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 /
    • pp.252-254
    • /
    • 2005
  • 박물관 수장고와 전시실 내의 유기물 문화재는 실내공기에 부유하고 있는 먼지와 곰팡이로 인해 생물적 피해를 받는다. 미생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박물관에서는 환경 조절법을 시행하거나 수장고와 전시실 내에 보존약제를 놓거나 또는 훈증 처리를 통한 방균 방제처리를 시행하고 있다. 미생물의 발생은 문화재 표면의 착색, 재질 분해, 변질 등을 야기한다. 본 연구는 위에 제시된 방법 외에 공기청정기를 이용하여 실내 부유 미생물 수를 줄여 유기물 문화재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국립문화재연구소 내 생물과학실의 실험실 한 곳을 임의로 지정하여 공기청정기를 설치하기 전 곰팡이의 수를 측정하고, 공기청정기를 설치한 후의 곰팡이 변화를 4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공기 중의 ???r성분 분석을 위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였다. 측정결과 곰팡이의 수는 대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채취한 곰팡이를 배양하여 동정을 실시하였다. 곰팡이 동정은 현미경을 통한 형태학적 분류와 ITS(Internal Transcribed Sequence)를 이용한 rDNA(Ribosomal DNA) PCR(Polymerase Chain Reaction)분석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 PDF

지상형 원격탐사기술을 이용한 소나무 재선충 피해조사 (An Investigation of Pine Wilt Damage by Using Ground Remote Sensing Technique)

  • 김응남;김대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4-92
    • /
    • 2008
  • 소나무의 AIDS라 일컫는 소나무 재선충이 1988년 부산의 금정산에서 최초로 발견되었다. 발견된 이후 2005년 12월까지 경상남도 전역 53개 시군구지역에 피해를 끼쳤다. 피해를 입은 삼림지역에 대한 최선의 대책은 초기 방재 작업 후에 훈증을 통해 처리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관찰에 의해 초기에 방재를 하는 것은 피해 삼림지역이 매우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있기 때문에 어렵다. 또한 한국의 지형적 특성 상 관찰자의 접근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는 근적외선 CCD 카메라를 사용하여 소나무 재선충 피해지역의 초기 방재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BIODEGRADATION PATHWAYS OF TRICHLOROETHYLENE (TCE) AND METHYL BROMIDE (MeBr)

  • Chung, Keun-Yook
    • 환경위생공학
    • /
    • 제16권3호
    • /
    • pp.1-13
    • /
    • 2001
  • 트리클로로에틸렌 (trichloroethylene, TCE)는 오랜 시간동안 자연환경에서 잔류할 뿐만 아니라 TCE보다 더욱 더 독성이 강한 중간 생성물들을 만들기 때문에 미국과 대부분의 전세계 국가들로부터 주요 1차 환경오염물질로 분류되었다. 그러한 독성물질들은 혐기성 상태에서는 다이클로로 에틸렌(dichloroethylene, DCE)과 바이닐 클로라이드 (vinyl chloride, VC)와 같은 독성물질들이 생성되고 호기성 상태에서는 TCE epoxide계통의 물질들이 생성된다. 또한 훈증제인 메틸 브로마이드 (methyl bromide)는 대기의 오존층을 파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2001년경에 미국환경보호청 (USEPA)에 의해 사용이 금지될 것이다. TCE는 혐기성 조건하에서 연속적으로 탈염소화되고, 이어서 호기성 조건하에서 완전 산화될 수 있다. 그리하여 연속적인 혐기성 및 호기성 조건하에서 궁극적으로 TCE의 완전분해를 이루게된다. 메틸브로마이드는 화학적으로 가수분해되어 메틸 알콜 (methyl alcohol)로 되거나 유기물에 강하게 결합 (bound)된다. 또한 그것은 생물학적으로 포름알데하이드 (formaldehyde)로 산화되거나 메틸알콜로 가수분해된다. 수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행해진 연구들은 TCE와 MeBr은 메탄 혹은 암모니아 산화 세균에 의한 공동대사과정 (cometabolism)을 통해 분해가 증진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두 부류의 세균들이 두 화합물들을 분해시킬 수 있는 monooxygenase를 생산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이 연구 논문에서 TCE와 MeBr의 생분해와 관련된 가장 최근의 연구논문들로부터 나온 핵심 연구결과들이 요약 검토된다. TCE와 MeBr로 오염된 현장을 정화하기 위해 이러한 기초연구결과들을 토대로 더욱 더 많은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살균처리가 인삼엽록차의 화학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contamination Treatments on Chemical Components of Panax Ginseng-Leaf Tea)

  • 권중호;변명우;최강주;권대원;조한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5-69
    • /
    • 1992
  • 수출용으로 제조되고 있는 인삼엽록차에 대하여 위생적 품질개선을 목적으로 처리된 ethylene oxide(EO) 훈증제와 적정선량의 감마선 조사가 시료의 몇 가지 화학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인삼엽록차에 함유된 사포닌과 지방산은 상업적 조건의 EO 처리나 적정선량의 감마선 조사(5kGy 범위)에 의해 변화되지 않았다. 그러나 유리당과 아미노산에서 glucose, lysine 및 histidine은 EO 처리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어(p<0.05) 살균방법 중 EO gas는 감마선조사에 비해 엽록차 성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화인되었다.

  • PDF

감마선과 훈증처리가 건고추의 저장 중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rradiation and Fumigation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d Pepper during Storage)

  • 김병근;권중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91-498
    • /
    • 2004
  • In order to study the quarantine and sanitization methods for dried red pepper, comparative effects of commercial fumigation (methyl bromide/MeBr, $phosphine gas/PH_{3}$ and gamma irradiation (5, 10 kGy)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re were no noticeable chances in pH and soluble solids among the untreated control, irradiated and fumigated samples soon after treatments, but some decrease was found in stored samples (especially soluble solid in fumigated samples) for 8 months under room temperature. Total sugar content was influenced by storage time rather than both treatments. Immediately after treatments, reducing sugar content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samples including pericarp when exposed to fumigants (p<0.05), while an apparent decrease was observed in the stored samples including seeds with negligible differences among treatment groups.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of the extracts was high in the order of pericarp, whole pepper, powdered pepper and seeds, which was reduced during storage for 8 months particularly in the samples containing seeds. The EDA of irradiated samples during storage was equal to that of the control sample, whereas that of fumigated samples was relatively low (p<0.05).

진균성 질염의 한약 훈증 치료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Systematic Review of Herbal Medicine Fumigation Treatment for Mycotic Vaginitis (Candida Vaginitis))

  • 박경덕;배주은;윤영진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0-32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fumigation treatment, provide a clinical basis for fumigation therapy, and develop treatment protocols through consideration of treatment methods and herbal medicines. Methods: We searched for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using fumigation treatment on mycotic vaginitis in 8 electronic databases such as EMBASE, Pubmed, and CNKI. The results of the studies were analyzed and the risk of bias was assessed by using Cochrane risk of bias tool. A meta-analysis was performed to reveal the effectiveness of fumigation compared to control treatments. Results: We finally selected 5 studies among 54 articles according to inclusion criteria and exclusion criteria. In all selected studies, herbal fumig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any control treatment and all the stud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e study provides a basis for applying fumigation treatment to patients with mycotic vaginitis and helps developing a treatment protocol of caring patients of mycotic vaginitis. But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number of studies included is small and quantitative synthesis of all results has not been achie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