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f the present situation on the termite control of wooden structures(I) - Focused on the case of US

목조건축물의 흰개미 방제에 대한 국외 현황조사(I)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 Jeong, So You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정소영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Received : 2011.09.30
  • Accepted : 2011.11.08
  • Published : 2011.11.30

Abstract

There are more than 2,800 different species of termites in the world, but just there is one species (Reticulitermes speratus kyushuensis Morimoto) in Korea. Once wooden structures are damaged by termites, we are applying chemical control methods such as fumigation, treatment of insecticidal and antiseptic chemicals, soil termiticide treatment, and termite colony elimination system to pest control. But in Korea, the termite infest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so it is essential to study on the present situation of termite control in US or Japan. Accordingly, in this part we have studied focusing on the case of US. In the US, there are three groups of termites : Subterranean, Drywood, Dampwood termites, and they caused more severe infestation compared with Korea. When a structure has become infested with termites, it is important that appropriate action must be taken: the chemical pest control (soil treatment, termite baiting, termite colony elimination), the modification and maintenance of buildings and the regular inspection for follow-up. And with consideration for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ermites, the process of pest control is made according to each species of termites. Most of the subterranean termite control is done by applying either termiticide to the soil or termite monitoring and baiting system around the structure. On the other hand, drywood termite control methods can be categorized as either the treatment for the whole structure or the treatment for localized area. Applications to the whole structure are done by fumigants or heat and the localized treatments are carried out with chemicals as well as heat, freezing, microwave and electricity.

우리나라에는 지중흰개미의 일종인 큐슈흰개미 1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흰개미 피해가 발견되었을 경우 훈증처리, 토양처리, 방충방부처리, 흰개미 군체제거시스템 등 4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방제하고 있다. 그러나 점차적으로 흰개미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흰개미 피해가 심각한 미국, 일본 등 다른 나라의 피해 현황 및 방제 방법에 대해서도 조사할 필요가 있다. 본 고에서는 1950년경부터 흰개미 피해가 발생한 미국을 중심으로 흰개미 분포 현황 및 방제 체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에는 지중흰개미, 건재흰개미, 습재흰개미 등 다양한 종류의 흰개미가 분포하고 있어, 우리나라에 비해 흰개미에 의한 피해가 더 심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흰개미 피해를 조사하고 적절한 방제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한데, 그 과정은 흰개미 피해 조사, 화학적 방제처리(토양 약제 처리, 흰개미 군체제거시스템), 건축물 유지보수, 주기적인 모니터링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분포하는 흰개미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흰개미 피해로부터 방제작업을 진행할 때도 흰개미의 특성을 고려하여 각각 다르게 적용된다. 지중흰개미에 의한 피해가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건축물에 대한 기피성 또는 비기피성 살충제를 이용하여 처리하거나 흰개미 군체제거시스템을 이용하여 처리한다. 반면, 건재흰개미에 의한 피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훈증처리,열처리 등을 통해 방제하고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