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후전류

Search Result 1,25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전류인가형 부식 장치 개발

  • 임승수;김경진;정재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2.05a
    • /
    • pp.22-2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교량, 발전소, 산엽체의 시설물 둥 대형 옥외 설치 구조물의 부식방지를 위해, 전류 인가형 부식 방지 장치를 개발하였다. 기존의 전극기판(anode base)은 pve로 만들 어져 있어서, 옥외에 설치된 상태에서 쉽게 열화되어 부스러지며, 비 갠 후 시설물의 일부에 물기가 남아 있는 부식 환경하에서도 플라스틱 기판은 물기가 쉽게 제거되어 이마 건조된 상태가 된다. 이 경우에는 기판을 통해 부식방지 전류를 흐르게 할 수가 없기 때문에 희생 양극의 임무를 수행할 수가 없으며, 시설물이 부식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흡습성 기판은 기존의 pve 기판의 단점을 개선한 것으로, 대기 중에 방치해도 수명이 영구적이며, 다공질이기 때문에 흡습성이 있어서 비 캔 후에도 기판 내부와 표면에 물기가 남아 었다. 따라서, 비 캔 후 부식환경에서도 부식 방지 전류를 흐르게 할 수가 있어서 희생양극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옥외 구조물에 대한 방식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세라믹 기판을 부착하고 전류 측정을 하기 위한 철판(보통탄소강)구조물을 아래와 같이 제작하였다. 구조물의 $가로{\times}세로$ 크기는 $450mm{\times}450mm$ 이며, 구조물의 중앙에 세라믹 또는 pve Anode 기판을 부착 하였다. 살수 후 전류의 측정 위치는 구조물의 Anode 기판 중심에서 100mm 떨어진 지점 4 곳에 부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 가판의 경우와 기존의 pve 기판의 경우를 비 교 실험한 결과, 전자의 경우는 120분 경과 후에도 $70~80\mu\textrm{A}$의 많은 양의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후자의 경우는 120분이 지난 후에는 전류가 전혀 흐르지 않는 것올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pve 보다 세라믹 기판의 경우가 수분 흡수율이 높아 더 오랫동안 전류를 흐르게 하여 방식성이 개선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properties of short circuit current of voltage applied PVDF (전압인가된 PVDF의 단락전류 특성에 관한 연구)

  • 김진식;김두석;이덕출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4 no.4
    • /
    • pp.354-360
    • /
    • 1991
  • PVDF는 현재까지 출현된 고분자 재료중 가장 좋은 가능성을 가진 고분자 재료이다. 시료에 일정시간 전압을 인가한 후 전압을 제거하고 시료양면을 단락하였을때 흐르는 단락전류는 일반적으로 인가 전아브이 극성과 반대 방향으로 감소한다. 본 연구에서는 PVDF의 단락전류가 짧은 시간동안 감소하다가 증가한 후 다시 감소하는 특이한 ABNORMAL SHORT CURREUT(Isa)를 규명하기 위하여 인가전압, 시료온도 및 고체 구조를 변화시키면서 단락 전류를 관측하고 PVDF의 열자격 전류특성을 분석하였다. PVDF의 단락전류 특성은 150.deg.C에서는 특이한 단락전류가 흐르지만 150.deg.C이하의 온도에서는 특이한 단락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이들 실험결과로 부터 특이한 단락 전류 Isa는 시료의 온도가 150.deg.C에서만 나타나고 전계 세기나 결정 구조에는 관계가 없음을 알았다. 그리고 Isa는 쌍극자의 재배향으로 흐르는 정상적인 단락전류 성분과 가동이온이 확산 혹은 드리후트에 의한 단락전류 성분이 중첩되어 관측된다는 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

  • PDF

A Study of Current Perception Threshold of Trigeminal Nerve after Tooth Implantation (치아임플란트 시술 후 삼차신경에서의 전류인지역치에 대한 연구)

  • Lim, Hyun-Dae;Lee, Jung-Hyun;Lee, You-Mee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2 no.2
    • /
    • pp.187-200
    • /
    • 2007
  • This study attempted to contribute to the clinical application of implant operation by making a quantitative nerve examination using a neurometer for the evaluation of sensory disturbances that could be incurred after the implantation in the dental clinics, and it intended to establish an objective guideline in the evaluation of sensory nerve after the operation of implant. An inspection was performed with the frequencies of 2000Hz, 250 Hz and 5 Hz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s of tooth implant using $Neurometer^{(R)}$ CPT/C (Neurotron, Inc. Baltimore, Maryland, USA) for 44 patients who had performed an implant operation among the patients coming to Daejeon Sun Dental Hospital in 2006 and 30 people for control group. The measuring sites were maxillary nerve ending and mandibular nerve ending of trigeminal nerve according to the implant operating regions. The current perception threshold (CPT) by each nerve fiber was specifically responded under the electric stimulation of 2000 Hz in case of $A{\beta}$ fiber and of 250 Hz in case of $A{\delta}$ fiber and of 5Hz in case of C fiber. The CPT test could be performed to assess the damages of peripheral nerve in the trigeminal nerve area and it stimulated selective nerve fibers by generating the electricity of specific frequency in the peripheral nerve area. The nerve fibers with varied thickness were responsive selectively to the electric stimulation with different frequencies; accordingly, they applied the electric stimulation with different frequencies and the reaction threshold of $A{\beta},\;A{\delta}$ and C fibers selectively responsive to each electric current could be individually evaluated. In the assessment through the CPT,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CPT could be measured so that sensory disturbances such as hyperaesthesia or hypoaesthesia could be diagnosed. This study could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after the assessment of the CPT before and after the implant operation. 1. In the assessment before and after the implant operation, the CPT in the frequencies of 2000 Hz, 250 Hz, 5 Hz for maxillary branch increased on the whole after the operation and the CPT for mandibular branch in the $A{\beta}$-fiber(2000 Hz) and C-fiber(5 Hz )after the operation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2. For the groups of patients with medically compromised or its subsequent medicinal prescrip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implant operation and for the control groups, significantly high CPT was shown after the implant operation in the left $A{\beta}$-fiber(2000 Hz) and C-fiber(5 Hz). 3. In the comparison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CPT before the operation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implant operation group, the latter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 measured value of the CPT in the right $A{\beta}$-fiber(2000 Hz) and C-fiber(5 Hz)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beta}$-fiber(2000 Hz) in the CPT assessment after the implant operation for the control group. 4. Male participants had higher CPT than female counterparts;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 significances. In the CPT evaluation before and after implant operation,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male group while the right C-fiber(5 Hz) and left $A{\beta}$-fiber(2000Hz) were significantly high in the female group. 5.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group who complain sensory disturbance and the other group, the CPT increased on the whole in the former group,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s. In the groups, whom there was an increase in VAS, the CPT after the implant operation in the right C-fiber(5 Hz) increased significantly; meanwhile, in case that the VAS mark was '0'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the CPT after the operation in the left $A{\beta}$-fiber(2000 Hz) increased significant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PT measurements using $Neurometer^{(R)}$ CPT/C, provide useful information of objective and quantitative sensory disturbances for tooth implantation.

Optimized Current Control considering Inductance Variations after Grid Connection of DFIG Stator (DFIG의 고정자 계통연계시 인덕턴스 변동을 고려한 최적 전류제어)

  • Shin, Soo-Cheol;Yu, Jae-Sung;Hong, Jung-Ki;Song, Seung-H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8.10a
    • /
    • pp.202-205
    • /
    • 2008
  • 본 논문은 이중여자 발전기를 사용하는 풍력발전기에서 안정적인 계통투입을 위한 계통연계 전 후 발전기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른 전류제어기 이득 값 선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DFIG(Doubly Fed Induction Generator)방식을 이용하는 풍력발전기는 회전자 전류제어를 함으로써 고정자의 전압을 제어하고, 제어된 고정자 전압은 계통과 연결된다. 특히 회전자 전류제어기 성능은 LVRT(Low Voltage Ride Through)등 예상하지 않은 외란에 대하여 빠른 응답성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발전기가 계통과 연계되는 순간 발전기의 내부 파라미터 값의 변동이 발생하며, 이는 계통 투입 전 발전기 파라미터에 근거한 RSC(Rotor Side Converter)측 전류제어기 이득 값에 영향을 미쳐, 전류제어가 불안정하게 하는 원인이 되거나, 전류제어 응답성을 낮추게 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계통투입 전 후의 RSC측 전류제어기의 이득 값을 달리하여 안정적인 계통 투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시뮬레이션과 실험으로 증명하였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f LLLC in Ultra Thin Silicon Oxides (실리콘 산화막에서 저레벨누설전류 특성)

  • Kang, C.S.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0 no.8
    • /
    • pp.285-291
    • /
    • 2013
  • In this paper, MOS-Capacitor and MOSFET devices with a Low Level Leakage Current of oxide thickness, channel width and length respectively were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characterizations mechanism of ultra thin gate oxide films. These stress induced leakage current means leakage current caused by stress voltage. The low level leakage current in stress and transient current of thin silicon oxide films during and after low voltage has been studied from strss bias condition respectively. The stress channel currents through an oxide measured during application of constant gate voltage and the transient channel currents through the oxide measured after application of constant gate voltage. The study have been the determination of the physical processes taking place in the oxides during the low level leakage current in stress and transient current by stress bias and the use of the knowledge of the physical processes for driving operation reliability.

NBTI 스트레스로 인한 p채널 MOSFET 열화 분석

  • Kim, Dong-Su;Kim, Hyo-Jung;Lee, Jun-Gi;Choe, Byeong-D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352-352
    • /
    • 2012
  • MOSFET의 크기는 작아지고 다양한 소자열화 현상으로 신뢰성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CMOS 인버터에서 PMOS가 'HIGH'일 때 음의 게이트 전압이 인가되고 소자 구동으로 인해 온도가 높아지면 드레인 전류의 절대값은 줄어들고 문턱 전압 절대값과 GIDL전류가 증가하는 NBTI현상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NBTI현상에 따른 열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측정은 드레인과 소스는 접지시킨 상태에서 온도 $100^{\circ}C$에서 게이트에 -3.4V과 -4V의 게이트 스트레스를 인가한 후 게이트 전압에 따른 드레인 전류를 스트레스 시간에 따라 측정하였다. 측정에 사용된 소자의 산화막 두께는 25A, 채널 길이는 $0.17{\mu}m$, 폭은 $3{\mu}m$이다. 게이트에 음의 전압이 가해지면 게이트 산화막에 양전하의 interface trap이 생기게 된다. 이로 인해 채널 형성을 방해하고 문턱 전압은 높아지고 드레인 전류의 절대값은 낮아지게 된다. 또한 게이트와 드레인 사이의 에너지 밴드는 게이트 전압으로 인해 휘어지게 되면서 터널링이 더 쉽게 일어나 GIDL전류가 증가한다. NBTI스트레스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게이트 산화막에 생긴 양전하로 인해 문턱 전압은 1,000초 스트레스 후 스트레스 전압이 각각 -3.4V, -4V일 때 스트레스 전에 비해 각각 -0.12V, -0.14V정도 높아지고 드레인 전류의 절대값은 5%와 24% 감소한다. GIDL전류 역시 스트레스 후 게이트 전압이 0.5V일 때, 스트레스 전에 비해 각각 $0.021{\mu}A$, $67{\mu}A$씩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NBTI스트레스가 인가됨에 따라 게이트 전압 0.5V에서 0V사이의 드레인 전류가 증가함으로 GIDL전류가 증가하고 문턱전압이 높아져 드레인 전류가 -1.5V에서 드레인 전류의 절대값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Recovery of HTS Coated Conductors Due to Different Stabilizers by the Electrical Method (전기적 측정 방법을 통한 고온 초전도 Coated Conductor의 안정화재 차이에 따른 회복시간에 대한 연구)

  • Kim, Won-Cheol;Kim, Young-Jae;Na, Jin-Bae;Jang, Jae-Young;Ko, Tae-K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834_835
    • /
    • 2009
  • 현재 전력 계통에서 발생하는 고장 전류에 대한 해결책으로 초전도전력기기인 고온초전도 한류기가 실용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그러나, 실제 계통에 적용하기에는 몇 가지의 과제들이 아직 남아있다. 그 중에서도 한류소자의 회복속도는 고장전류 발생 후 계통의 재폐로와 연계되기 위한 중요한 성능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전도 한류 소자로 쓰일 수 있는 다양한 YBCO CC(Coated Conductor)들의 회복 시간에 대하여 실험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10 mA의 전류를 초전도선재에 지속적으로 인가하여, 고장전류 인가 후 발생하는 저항에 의한 전압의 추이를 관찰하여 회복 시간을 예측하였다. 그 후, 예측된 회복 시간 후 전류를 재투입하여 선재의 회복을 확인하였고, 실제 회복 시간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 PDF

Analysis of Interrupting Performance for Puffer GCB during the Thermal Failure Period (파퍼식 가스 차단기의 열적 파괴 영역에서의 차단성능 해석)

  • Kim, H.K.;Lee, B.Y.;Park, K.Y.;Park, S.K.;Lee, B.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b
    • /
    • pp.691-69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전류 영점 직전까지의 대전류 구간에서의 열가스 해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와 과도 회복 전압에 따른 아크 후 전류를 계산하여, 아크 후 전류의 0으로의 수렴 여부를 이용하여 열적 파괴 영역에서의 차단성능을 평가한다 아크 후 전류는 유동해석을 통해 구하여진 극간의 온도분포로부터 계산된 아크 저항과 과도인가회복 전압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 PDF

Effect of Current Density and pH of Electrolyte on Anion-Exchange Membrane Fouling (전류밀도와 전해질의 pH가 음이온교환막의 막 오염에 미치는 영향)

  • Choi, Jae-H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7 no.9
    • /
    • pp.965-969
    • /
    • 2005
  • Current density is an important operating parameter in the ion-exchange membrane process. We observed the effects of fouling of a Neosepta AMX anion-exchange membrane(Tokuyama Soda, Japan) in 0.02 M NaCl solution containing 100 mg/L sodium humate. Membrane fouling was analyzed by measuring the change in the electrical resistance in the under- and over-limiting current density regions. The experimental results found that membrane fouling was negligible at under-limiting current densities, but was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an over-limiting current was supplied. After the fouling experiments, the current-voltage curves for the fouled membranes were measured. From the curves, we observed increased electric resistance and reduced limiting current density(LCD), caused by the accumulation of humic acid on the membrane surface. Furthermore, membrane fouling increased as the acidity of the electrolyte solution containing humic acid increased. This occurred because the fouling of an anion-exchange membrane is affected more by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humic substance than by the surface charge of the humate.

Analysis of Current Perception Threshold(CPT) Change after Dental Surgery using Neurometer (치과 수술 후 뉴로미터를 이용한 전류인지역치의 변화의 분석)

  • Park, Jin-Hyung;Ryu, Ji-Won;Ahn, Jong-Mo;Ok, Soo-Min;Yoon, Chang-Lyuk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5 no.4
    • /
    • pp.293-298
    • /
    • 2010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clinical application by making a quantitative nerve current perception threshold(CPT) examination for the evaluation of numbness that could be occurred after dental surgery, Measurement of CPTs at each different frequencies(2000 Hz, 250 Hz, and 5 Hz) were performed to trigeminal nerve main branch(mandibular division) of 29 patients with dental surgery on mandibular area and 25 normal subjec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PTs between patient group and control group.(p<0.05)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between patient male and female in both patient and control group except 2000 Hz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control fema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