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후박나무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32초

간손상에 대한 해독제 개발 및 안전성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유은영;김상건;정기화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327-327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간손상에 대한 해독제의 연구 및 안전성 평가연구로서 H$_2$-rcccptor길항제와 한방에서 건위역으로 이용되는 생약추출물 (생강, 정향 및 후박나무의 수피추출물, 강활, 시호, 토복령 및 금은화)이 화합물로 유발된 간독성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였다. 또한 식물의 2차 대사산물로서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향신료 등의 첨가제로 이용되는 monotcrpcnoids중 $\alpha$-pinene, limonenc, gcraniol 및 cincol 이 phase II 효소계중 glutathione S-transferase(GST)의 class alpha 및 mu family계 효소와 microsomal cpoxidc hydrolase(mEH)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 PDF

제주도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1. 구실잣밤나무와 후박나무의 자연림 (Phytosociological Studies on the Vegetation in Cheju Island 1. Natural Castanopsis-Machilus Type Forest)

  • Kim, Moon-Ho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1호
    • /
    • pp.39-48
    • /
    • 1991
  • A phytosociological study was carried out at the Castanopsis-Machilus type forests in Cheju Island. As the result, it has become clear that the alliance Castanopsion sieboldii and Cleyero-Quercion salicinae classified into the order Ardisio-Castanopsietallia sieboldii and the class Camellietae japonicae are distributed in Cheju Island. The Castanopsion sieboldii include Quercus glauca communiy, Arisaemato ringentis-Persetum thunbergii, Castanopsis sieboldii-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and Castanopsis sieboldii-Quercus glauca community. The Cleyero-Quercion salicinae contains Distylio-Quercetum salicinae.

  • PDF

홍도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Hongdo Island)

  • 이지혜;도미솔;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92-613
    • /
    • 2013
  • 본 연구는 홍도의 식생구조를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군락을 분류하고, 식생과 토양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구배분석을 실시하였다. 홍도의 식생은 구실잣밤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중요치 분석결과 구실잣밤나무가 75.56%로 가장 높았으며, 소나무 34.84%, 후박나무 29.11%, 동백나무 26.88%, 붉가시나무 17.79%, 황칠나무 15.23%, 광나무 13.41%, 소사나무 12.6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토양은 매우 높은 유기물과 질소함량을 보이며 표토층에서 강한 산성토양의 특성을 나타내어 우리나라의 일반 산림토양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유기물함량 14.48~25.45%, 전질소함량 0.49~0.90%, 유효인산함량 26.00~58.68mg/kg, 치환성양이온 $K^+$$0.64{\sim}1.64cmol^+/kg$, $Ca^{2+}$$6.22{\sim}21.51cmol^+/kg$, $Mg^{2+}$$2.92{\sim}6.95cmol^+/kg$, 토양 pH는 4.42~5.44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DCCA를 이용한 홍도의 식생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구실잣밤나무 군락이 수분이 가장 많은 곳에 분포하였고, 후박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순으로 분포하였다. 후박나무군락이 pH, 치환성양이온 $Ca^{2+}$, $Mg^{2+}$, $K^+$, 양이온치환용량 등이 가장 높은 지역에 분포하였다. 소사나무군락이 소나무군락에 비해 해발고, 전질소, 양이온치환용량, 치환성양이온 $Mg^{2+}$ 등이 높은 지역에 분포하였다.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도 학동지역 동백나무림 식물군집구조 특성 및 식생관리 계획 (Vegetation Management Planning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Camellia japonica Forest at Hakdong, Kojedo, Hallyo-Haesang National Park)

  • 한봉호;조현서;송광섭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45-360
    • /
    • 1999
  •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도 학동지역 동백나무림 천연기념물의 식물군집구조와 식생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대상지에 46개 조사구를 설정하였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DCA분석과 평균상대우점치 분석 결과 46개 조사구는 동백나무군집, 동백나무-사스레피나무군집, 동백나무-참식나무군집. 편백-동백나무군집 등 4개 군집으로 나누어졌다. 군집별 천이경향은 동백나무-참식나무군집은 참식나무로의 생태적 천이가 진행될 것이며, 나머지 3개 군집은 현 상태로 유지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대상지의 식생관리는 천이억제형 식생관리가 바람직 할 것으로 보이며, 식생관리에서 제거해야 할 수종으로 단기적으로는 편백. 참식나무, 사스레피나무 3종이며, 까마귀쪽나무, 후박나무, 나도밤나무, 산벚나무, 졸참나무 등 5종은 장기적인 관리대상 수종이었다.

  • PDF

비진도와 용초도의 식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An Ecological Study on the Vegetation of Bijin and Yongcho Islets)

  • 김인택;박태호;최재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4호
    • /
    • pp.223-230
    • /
    • 2005
  • 본 조사는 2000년 2월 1일부터 2002년 5월 30일 사이에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비진도와 용초도를 중심으로 식물종을 조사하고 관속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본 지역의 식생을 분석하기 위해 상재도표와 군락조성표 등을 작성하였다. 본 조사지역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37목, 112과 352속 476종 59변종 12품종으로 총 547종류가 기록되었다. 그리고 그 중 귀화식물은 메귀리, 능수참새그령, 미국개기장 등 36종류, 상록 활엽수는 모밀잣밤나무, 모람, 멀꿀, 생달나무, 육박나무, 센달나무, 후박나무, 참식나무, 동백나무 등 36종류, 재배식물은 삼나무, 편백, 보리, 은사시나무 등 41종류, 그리고 한국특산식물은 개고사리, 풀싸리, 회양목 등 6종류가 기록되었다. '98년도 환경부 지정 보호야생식물은 고란초(Crypsinus hastatus, 98식-4) 1종류가 기록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삼림식생을 식물사회학적으로 분석, 정리한 결과 곰솔군락, 모밀잣밤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참식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굴피나무군락, 억새군락, 사방오리식재림 등 총 9개 자연군락과 1개의 식재림으로 구분되었다.

우리나라 Encarsia Förster에 대한 보고(벌목: 면충좀벌과) (New Records of Aphelinids, Encarsia Förster (Hymenoptera: Aphelinidae), in Korea)

  • 서수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81-284
    • /
    • 2015
  • 각진장미흰깍지벌레, 참식나무흰깍지벌레와 후박나무굴깍지벌레로부터 채집된 Encarsia explorata (Silvestri) [후박굴깍지좀벌 (신칭)] 및 담배가루이로부터 채집된 Encarsia lutea (Masi) [가루이좀벌 (신칭)] 을 국내분포로 처음 보고한다. 또한 이들 종들의 검색표, 식별형질, 사진자료, 분포 및 기주 정보도 함께 제공하였다.

다도해 무인도서 중 목도, 곡두도, 대항도, 불근도 관속식물의 분포 현황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on the Mokdo, Gokdudo, Daehangdo and Bulgeundo Desert Island, Dadohae)

  • 오현경;변무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8-37
    • /
    • 2007
  • 본 연구는 남해안 무인도서 가운데 목도, 곡두도, 대항도, 불근도의 관속식물과 식생 현황 및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을 조사함으로써, 현재 관리와 이용 실태에 따른 식물 변화를 예측하고 차후 무인도서의 식물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의 일환으로 수행하였다. 전체 관속식물은 80과 193속 234종 32변종 5품종 1교잡종으로 총 272종류(taxa)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과 귀화율은 12종류와 4.4%로 분석되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IV등급에 4분류군이, III등급에는 10분류군이, II등급에는 5분류군이, I등급에는 35분류군의 총 54종류가확인되었으나 V등급에 해당되는 특정식물은 출현하지 않았다. 목도에서는 곰솔이 우점하고 있으며, 일본특산식물로 알려져 왔던 부추속(Allium)의 갯부추(Allium pseudojaponicum)가 30개체 이상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곡두도는 밀사초(Carex boottiana)가 큰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대항도는 우리나라에서도 큰 면적 중 하나일 것으로 추측되는 후박 나무군락이 전 지역에서 분포하고 있었다. 또한, 불근도에서는 2003년도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참식나무와 후박나무 등 수백개체를 식재하였으나 과거에 방목된 토끼로 인해 많은 개체가 고사한 상태로 방치되고 있다.

탁엽(托葉)의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에 의한 한국산(韓國産) 녹나무과(科) 식물(植物)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I) (Taxonomical Studies of Lauraceae in Korea by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ipules (I))

  • 박광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2권1호
    • /
    • pp.9-15
    • /
    • 1986
  • 본(本) 연구(硏究)는 한국산(韓國産) 녹나무과(科) 식물(植物) 중 상록활엽수(常錄闊葉樹) (4속(屬) 5종(種)) 탁엽(托葉)의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에 관한 것으로는 조사(調査)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녹나무과(科) 식물(植物)의 탁엽(托葉)은 5~31매(枚)로 호생(互生)하며, 단엽(單葉)의 형태(形態)로 되어 있고, 엽맥(葉脈)은 기저망(基底網) 상맥(狀脈)과 우상맥(羽狀脈)을 가지며, 탁엽형(托葉形)은 장(長) 광수원형(廣隋圓形), 도피침형(倒披針形), 능형(菱形)으로서 둔두(鈍頭), 예두(銳頭)이고, 유저(流底)로서 전연(全緣)이었으며, 털은 견모(絹毛), 밀면모(密綿毛)와 장연모(長軟毛) 등(等)이었다. 이상(以上)의 제(諸) 특징(特徵)으로 각(各) 수종(樹種)을 식별(識別)할 수 있었다. 2) 탁엽맥(托葉脈)의 형태적(形態的)인 변화형(變化型)은 A, B, C 형(型)의 세가지로 분류(分類)할 수 있었다. 즉, A형(型)-주맥(主脈)이 뚜렷한 우상맥(羽狀脈)인 것(육박나무), B형(型)-삼출맥(三出脈)이 발달(發達)한 기서망상맥(基序網狀脈)인 것(참식나무, 생달나무, 녹나무)과 C형(型)-평행맥(平行脈)으로 발달(發達)한 기저망상맥(基底網狀脈)인 것(후박나무)이었다. 3) 탁엽폭(托葉幅)의 변화형(變化型)은 세가지 형태(形態)이었는데, (1) a>d>g>j 형(型)은 생달나무, 녹나무와 육박나무이었고, (2) a>cj, (aj, (a>j) 형(型)은 후박나무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