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회전체 진동

Search Result 28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Vibration Control of Rotor (회전체의 진동제어)

  • 하향태랑
    • Journal of the KSME
    • /
    • v.35 no.10
    • /
    • pp.917-923
    • /
    • 1995
  • 회전체 진동은 주로 밸런싱에 의해 줄일수 있지만 위험속도에서 나타나는 회전체 진동은 종종 피할 수 없다. 전자기 베어링은 이러한 회전체 진동을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으로써 사용된다. 비접촉으로 회전체에 힘을 작용하는 동흡진기(dynamic vibration absorber)는 기존의 것에 비해 새로운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 아주 간단한 방법이다. 영구자석으로 구성된 자석 댐퍼는 비접 촉동흡진기의 일종이지만 영구자석만으로는 적절한 감쇠 성능을 만족시킬 수 없다. 따라서 영 구자석과 전자석을 동시에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자석이 넓은 운전영역에서 좋은 진동제어 성능을 자지기 때문에 유용하다. 전력공급의 편리성을 위해서 하이브리드 자석을 합진기쪽에 설치하고 여러 개의 편으로 된 영구자석은 회전체의 주위에 부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직 회전 체(vertical rotor)의 진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전자기력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관성 댐퍼를 개 발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전자석을 이용한 진동제어는 여러 저자에 의해 연구되어 왔으며 자기 베어링은 회전체의 진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형적인 예이다. 그러나 회전체에 능동관성 댐퍼를 직접 적용한 예는 없었다. 이동흡진기는 전자석의 반발력(repulsive force)을 이용하고 흡진기의 운동에 의해 에너지가 감쇠된다. 반면에 자기 베어링에서는 전자석의 흡인력(attractive force)을 이용한다.

  • PDF

Performance Test of a Rotor Balancing Machine (회전체 밸런싱 장치의 성능 평가 시험)

  • 이영섭;이종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2.10a
    • /
    • pp.65-70
    • /
    • 1992
  • 오래전부터 회전체 질량의 불균형에 의한 진동을 줄이기 위한 전용 밸런싱 장치와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1-5]. 그런데 밸런싱 장치는 센서로부터 측정 된 진동 신호를 이용하여 밸런싱을 함으로 밸런싱의 반복성과 정밀도 등에 따라 그 장치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으며, 국제 표준기구(ISO)에서도 장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각종 시험 규격들을 제시, 권장하고 있다[6]. 본 연구 에서는 강성 회전체의 밸런싱을 위해 연구실에서 제작한 탄성 베어링 밸런 싱 장치에 대해 ISO 규격에서 제시하는 성능 평가 시험들을 기초로 회전체 밸런싱과 여러가지 시험을 수행하고 장치의 특징과 성능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Directional Winger-Ville Distribution and Its Application to Rotating- Machinery (방향성 Winger-Ville 분포와 회전체에의 응용)

  • Kim, Dong-Wan
    • Journal of KSNVE
    • /
    • v.6 no.3
    • /
    • pp.341-347
    • /
    • 1996
  • Vibration analysis is one of the most powerful tools available for the detection and isolation of incipient faults in mechanical systems. The methods of vibration analysis in use today and under continuous study are broad band vibration monitoring, time domain analysis, and frequency domain analysis. In recent years, great interest has been generated concerning the use of time- frequency repesentation and its application for a machinery diagnostics and condition monitoring system. The objective of the study described in this paper was to develop a new diagnostic tool for the rotating machinery. This paper introduces a new time frequency representation. Directional Winger-Ville Distribution, which analyese the time-frequency structure of the rotating machinery vibration.

  • PDF

Vibration analysis of a misaliagned rotor system supported by ball bearings (축어긋남이 있는 볼베어링 지지 회전체의 진동해석)

  • 이영섭;이종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7.04a
    • /
    • pp.247-252
    • /
    • 1997
  • 축어긋남이 있는 회전체-볼베어링계의 진동을 묘사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축어긋남의 효과로서 커플링과 베어링에 작용하는 힘과 모멘트, 그리고 이에 의한 변형을 고려하였으며, 실험과 수치해석 결과로부터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각축어긋남이 심해짐에 따라 타원 형태의 선회궤적을 보여주며, 어긋남방향의 회전체 고유진동수와 베어링 강성계수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어긋남 방향의 베어링 모멘트 강성증가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 PDF

Optimum Balancing Using Ggenetic Algorithm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 평형잡이에 관한 연구)

  • 최원호;양보석;주호진;임동수;노철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04a
    • /
    • pp.137-141
    • /
    • 1995
  • 회전기계에서 발생하는 진동 원인 중 약 60% 이상이 불평형(unbalance)에 의한 진동이다. 불평형은 기계의 과도한 진동을 유발시킬 뿐 아니라 베어링의 수명 단축 및 소음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기게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기계의 성능을 향상시키며 부드럽고 진동이 없는 운전을 위하여 평형잡이(balancing)는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불평형은 축 중심선에 대하여 회전체의 질량 분포가 비대칭이기 때문에 발생하는데 그 원인으로는 부품 자체가 비대칭에서 오는 설계 또는 제도 오차, 주물의 기포 및 용접의 불균일 등에 의한 재질상의 결함, 그리고 부품조립시 형상누적공차 등에 의한 가공.조립오차 등이 있다. ISO의 정의에 따르면 평형잡이는 회전체의 질량 분포를 조사하고 필요하다면 저널의 진동과 베어링의 작용력들이 운전속도에 대응하는 주파수에서 특정한 한계내에 있도록 보증하게 하기 위한 조정을 하는 과정이다. 불평형 상태에 대한 조사도 평형잡이로 표현된다. 그러나 수정이 필요하다고 간주된다면 수행된다. 모든 회전체는 초기 불평형(initial unbalance)이라 불리는 임의의 불평형을 가지고 출발한다. 완벽하게 평형이 잡힌 회전체를 달성하는 것이 평형잡이 작업의 목적은 아니다. 임의의 잔류 불평형(residual unbalance)은 항상 허용된다. 경제적인 이유에서 회전체는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적절한 허용치보다 더 이상 평형잡이를 하지 않는다. 현장에서 현장 평형잡이를 수행하게 될 경우, 가끔 계산된 수정질량이 매우 클 경우가 있다. 이때 기게의 조건상 큰 수정질량을 부착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작은 수정질량으로 평형잡이를 할 수 있다면 기계의 안정성 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향계수법(Influence Coefficient Method : ICM)의 기본 개념과 유전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 GA)을 이용하여 회전기계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허용진동 내에서의 최적 수정질량 계산법을 제시한다.

  • PDF

Balancing of Rotors (ISO/TC108/SC1) (ISO/TC108/SC1 (회전체의 평형잡기))

  • 전오성;최상규;김민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8.04a
    • /
    • pp.282-283
    • /
    • 1998
  • ISO/FDIS 11342: 1998(E)에서, "회전체 밸런싱의 목표는, 기계 설치후 만족스런 운전(satisfactor running)을 이루는 것이다. '만족스러운 운전'이란, 회전체에 잔류하는 불평형 질량에 기인한 진동이 진동허용치(acceptable magnitude of vibration)를 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고 밸런싱을 설명한다. ISO/TC108(Mechanical vibration and Shock)의 Subcommittees 중 SC1은 'balancing, including balancing machines'라는 소그룹명을 갖고 있다. 이 SC에서는 회전체 밸런싱에 관련한 ISO의 제정과 개정의 일을 한다. 1998년 현재 위 위원회를 통하여 새롭게 개정된 ISO/FDIS 11342:1998(E)과 현재 개정 마무리 단계에 있는 ISO/DIS 2953을 간략히 소개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for Localization of Vibration Monitoring System for TBN and Rotor of Power Generation Facilities (발전설비 터빈 및 회전체 진동감시시스템 국산화 개발 연구)

  • Lee, Eun-Sung;Shin,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92-293
    • /
    • 2022
  • 국내발전소의 진동감시설비는 GE Bently, Nevada, VIBRO-Meter사 등 외산제품이 대부분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품소재 산업 국산화 시책에 부응한 발전설비 터빈 및 회전체의 진동감시시스템의 성능 검증을 실시한다. 현장 실증시험은 진동감시시스템 시제품(이하 CMS5000)과 기존 사용하고 있는 Bently3300의 측정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성능 검증 결과 CMS5000은 Bently3300과 동등한 수준 이상으로 확인되어 진동감시설비의 국산화 및 수출기반 확보는 물론 예방보전 의 효율화 및 안전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Modeling of misaligned rotor-ball bearing systems (축 어긋남을 갖는 회전체-볼 베어링계의 모형화)

  • 이영섭;이종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04a
    • /
    • pp.60-66
    • /
    • 1996
  • 축어긋남이 존재하는 회전체-볼베어링계의 진동을 묘사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축어긋남은 운동 방정식에서 축과 베어링에서의 변위벡터 변화로 묘사되고, 이로 인해 커플링과 베어링에 작용하는 힘과 모멘트는 축어긋남의 효과로서 고려되었다. 축의 유연성을 고려하기 위해 축방향의 동력학을 포함한 축과 원판에 대한 유한 요소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원판과 베어링에서의 불균형 응답으로부터 축어긋남과 관련된 진동특성을 조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