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회색 잎 곰팡이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3초

Botrytis cinerea에 의한 산딸기 잿빛곰팡이병의 발생 (Occurrence of Gray Mold Caused by Botrytis cinerea on Rubus crataegifolius in Korea)

  • 김승한;박상규;이승열;곽연식;정희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51-257
    • /
    • 2017
  • 최근 경북 포항의 산딸기 재배지역에서 잿빛곰팡이병 증상이 발생하였다. 초기에는 잎의 가장자리나 과경 부위에 갈색 반점이 나타나며 병이 진전되면 병반 부위가 확대되고 수침상으로 물러지면서 표면이 회색 곰팡이로 덮이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증상이 발생한 잎으로부터 병원균을 분리하고 균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계통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산딸기에서 발생한 잿빛곰팡이병의 병원균은 Botrytis cinerea로 확인되었으며, 건전한 산딸기 식물체를 대상으로 접종실험 한 결과 산딸기에 대한 병원성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B. cinerea에 의한 산딸기 잿빛곰팡이병이 보고되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병을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Botrytis cinerea에 의한 네프로레피스 잿빛곰팡이병 (Gray Mold of Nephrolepis Caused by Botrytis cinerea)

  • 전용호;김정호;김영호
    • 식물병연구
    • /
    • 제12권2호
    • /
    • pp.115-118
    • /
    • 2006
  • [ $2000{\sim}2001$년 2월 수원시 농가 육묘장에서 B. cinerea 에 의한 네프로레피스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잎에 발생하여 병든 부분이 검게 썩으며 병반부위에 회색의 곰팡이가 많이 생기고 심할 경우 감염된 부위가 말라 떨어진다. 분생포자는 무색, 단포자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크기는 $13.5{\sim}16.9{\times}6.8{\sim}9.2{\mu}m$였고, 분생자경 위에 분생포자가 아주 많이 형성되었다. 분생자경은 갈색으로 격막이 있고 폭은 $8.7{\sim}11.1{\mu}m$였다. 또한 탄소원 이용정도를 Biolog system을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참조 Botrytis cinerea 와 78%의 높은 유사도를 보였다. 이 곰팡이에 의한 네프로레피스 병은 국내에서 처음 발견되어 보고되므로 이 병을 네프로레피스 회색곰팡이병으로 명명하고자한다.

Botrytis cinerea에 의한 백일홍 잿빛곰팡이병 (Gray Mold of Zinnia elegans Caused by Botrytis cinerea in Korea)

  • 권진혁;손경애;정선기;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337-340
    • /
    • 2004
  • 2003년 4월 경남농업기술원 유리온실과 농가 육묘장에서 Botrytis cinerea에 의한 백일홍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잎과 줄기에 발생하여 병든 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병반부위에 회색의 곰팡이가 많이 생기고, 심할 경우 감염된 부위는 결국 말라 죽는다. 분생포자는 무색, 단포자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크기는 5${\sim}$16${\times}$4${\sim}$8 ${\mu}m$였고, 분생자경 위에 분생포자가 아주 많이 형성되었다. 분생포자경은 갈색으로 격막이 있고, 폭은 12${\sim}$28 ${\mu}m$였다. 균핵의 모양은 납작하거나 부정형이고 색깔은 검은색이었다. 균사생육과 균핵형성 적온은 $20^{\circ}C$였다. 병반에서 분리한 병원균은 Botrytis cinerea Persoon: Fries에 의한 백일홍 잿빛곰팡이병으로 동정되었다.

Botrytis cinerea에 의한 스타티스 잿빛곰팡이병 (Gray Mold of Statice (Limonium shinuatum) Caused by Botrytis cinerea in Korea)

  • 권진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0권2호
    • /
    • pp.117-120
    • /
    • 2004
  • 2003년 4월 경남 함양군 서상면 고냉지 비닐하우스에서 Botrytis cinerea에 의한 스타티스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꽃, 잎, 줄기에 발생하여 병든 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병반부위에 회색의 곰팡이가 많이 생기고, 심할 경우 감염된 부위는 결국 말라죽는다. 분생포자는 무색, 단포자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크기는 8∼20${\times}$6∼14 $\mu\textrm{m}$였고, 분생자경 위에 분생포자가 아주 많이 형성되었다. 분생자경은 갈색으로 격막이 있고, 폭은 14∼34 $\mu\textrm{m}$였다. 균사생육과 균핵형성 적온은 2$0^{\circ}C$였다. 병반에서 분리한 병원균은 Botrytis cinerea Persoon: Fries에 의한 스타티스 잿빛곰팡이병으로 동정되었다.

Botrytis cinerea에 의한 프리뮬러 잿빛곰팡이병 (Gray Mold of Primula Caused by Botrytis cinerea)

  • 권진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8권1호
    • /
    • pp.66-69
    • /
    • 2002
  • 2002년 2월 진주시 농가 육묘장에서 B. cinerea에 의한 프리뮬러 잿빛곰팡이 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꽃잎, 꽃받침, 꽃자루, 잎, 줄기에 발생하여 병든 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면서 썩으며 병반부위에 회색의 곰팡이가 많이 생기고 심할 경우 감염된 부위는 결국 말라죽는다. 분생포자는 무색 , 단포자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크기는 6.8~16.9$\times$4.6~12.4 $\mu$m였고, 분생자경 위에 분생포자가 아주 많이 형성되었다. 분생자경은 갈색으로 격막이 있고 폭은 15.9~31.6$\mu$m였다. 감자한천배지(PDA)에서 균사생육과 균핵형성 적온은 2$0^{\circ}C$이었다. 병반에서 분리한 병원균은 Botrytis cinerea에 의한 프리뮬러 잿빛곰팡이병균으로 동정되었다.

Botrytis cinerea에 의한 배초향 잿빛곰팡이병 (Gray Mold of Agastache rugosa Caused by Botrytis cinerea in Korea)

  • 권진혁
    • 한국균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9-61
    • /
    • 2006
  • 2003년부터 2005년까지 3년동안 경남 진주시 장재동 배초향 재배 농가포장에서 잿빛곰팡이병 발생하였다. 병징은 잎과 줄기 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감염된 병반부위에 회색의 곰팡이가 많이 생긴다. 분생포자는 무색, 단포자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크기는 $4{\sim}20{\times}4{\sim}13\;{\mu}m$였다. 분생포자경은 갈색으로 격막이 있고 나무가지 모양이며, 폭은 $4{\sim}28\;{\mu}m$였다. 균사생육과 균핵형성 적온은 $20^{\circ}C$였다. 병원성 검정은 코흐의 가설에 따라 수행하여 병원성을 확인하였다.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병원성을 조사한 결과 Botrytis cinerea에 의한 배초향 잿빛곰팡이병으로 동정되었다.

Botrytis cinerea에 의한 잠두 잿빛곰팡이병 (Gray Mold of Broad Bean (Vicia faba) Caused by Botrytis cinerea)

  • 권진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9권1호
    • /
    • pp.21-24
    • /
    • 2003
  • 2002년 5월 경남 남해군 창선면 잠두재배 농가 포장에서 B. cinerea에 의한 잠두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잎에 발생하여 병든 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면서 썩으며 병반부위에 회색의 곰팡이가 많이 생기고 심할 경우 말라죽었다. 분생포자는 무색, 단포자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크기는 6~22$\times$4~16 $\mu\textrm{m}$였다. 분생자경 위에 분생포자가 아주 많이 형성되었다. 분생자경은 갈색으로 격막이 있고 폭은 15-37 $\mu\textrm{m}$였다. 감자한천배지(PDA) 에서 균사생육 적온은 2$0^{\circ}C$였으며, 균핵형성도 2$0^{\circ}C$에서 가장 많았다. 병원균은 Botrytis cinerea로 동정하였으며 잠두 잿빛곰팡이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토마토 재배에서 점무늬병 및 잎곰팡이병 발생 예측 및 방제력 연구 (Forecasting Leaf Mold and Gray Leaf Spot Incidence in Tomato and Fungicide Spray Scheduling)

  • 이문행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76-383
    • /
    • 2022
  • 이번 연구는 토마토잎곰팡이병 및 점무늬병에 대한 방제력을 개발하고, 온도와 잎의 결로시간에 따른 발생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습니다. 첫 번째 병발생 예측 실험에서는 토마토묘에 Fulvia fulva, Stemphylium lycopersici 분생포자를 각각 1 × 104 conidia·mL-1로 접종시키고 10-25℃(F. fulva) 및 10-30℃(S. lycopersici)에서 0-18시간 동안 이슬생육상에 두었다. 살균제를 이용한 방제 연구에서는 잎곰팡이병 방제를 위하여 트리미다졸, 폴리옥신 B, 이미녹타딘 트리스(Belkut)를 처리하였으며 점무늬병 방제를 위하여서는 에트리디아졸 + 티오파네이트(가지란)과 삼염기 황산구리(세빈나)를 처리하였다. 엽결로시간이 9시간 이상에서 잎곰팡이와 점무니병이 발생하였으며 결로시간이 길어질수록 병발생률이 높았다. 잎곰팡이병의 발생률은 20℃와 15℃에서 더 높았고, 점무늬병은 25℃와 20℃에서 발병률이 증가하였다. 포자 접종 14일 후에 잎곰팡이병 및 점무늬병이 발생하였으며 잠복기는 14-15일로 추정되었다. 잎곰팡이 및 점무늬병 포자가 처리된 식물체에 접종 후 0시간부터 240시까지 살균제 처리를 한 결과 살균제 종류와 상관없이 일찍 약제를 처리한 식물체에서 방제가가 높았으며 150시간이 지난 처리에서는 방제가가 급격히 떨어졌다. 이번연구에서 개발된 병예측모델과 방제력은 토마토의 잎곰팡이병과 점무늬병을 적기에 방제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잿빛곰팡이 병원균 Botrytis cinerea 균주의 분리기주별 표현형적 특성, 병원성 및 약제저항성 변이 (Variations in Phenotypic Characteristics, Pathogenicity and Fungicides Resistance of Botrytis cinerea, Gray Mold Rot Fungus, Isolated from Various Host Plants)

  • 최인실;정영륜;조광연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3호통권74호
    • /
    • pp.246-256
    • /
    • 1995
  •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 51균주를 국내 여러곳에서 분리 또는 확보하여 이들 균주의 기주, 형태적 특성, 약제저항성 및 polygalacturonase 활성을 조사하였으며, 분리 기주별로 병원성을 포함한 이들 특성의 상호관계를 조사하였다. 분리된 균주들은 모두 흰색, 엷은 회색 또는 짙은 회색의 균총색을 보였고, 균주에 따라 균핵과 포자형성량이 달랐다. 병원성 검정에서는 토마토, 오이, 딸기로부터 분리된 균주들의 오이잎 괴사병반 지름이 평균 3.2 cm로 감귤, 양다래, 배 등 다른 기주로부터 분리된 균주의 1.8 cm보다 훨씬 컸다. 각 균주들의 살균제 저항성은 토마토 분리균주들의 benomyl 저항성이 $EC_{50}$ 562 ppm으로 다른 균주에 비해 훨씬 높았으며, 딸기 분리균주의 경우 사용된지 얼마되지 않은 diethofencarb에 대하여 $EC_{50}$ 210 ppm으로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Polygalacturonase 활성은 균주간에 변이가 심하여 specific activity가 최저 0 unit부터 103 unit까지 걸쳐 있었으며, 토마토, 오이, 딸기 등 주요 기주로부터 분리된 균주가 그렇지 않은 균주에 비해 약간 낮은 경향을 보였다. 균주들의 효소활성, 살균제 저항성과 병원성간에는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었다. 그러나, 병원성이 강한 균주와 약한 균주의 polygalacturonase 동위효소 pattern은 배양시 탄소원에 따라 서로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 PDF

Sclerotinia trifoliorum에 의한 자운영 균핵병 (Sclerotinia Rot of Astragalus sinicus Caused by Sclerotinia trifoliorum)

  • 권진혁;이흥수;이용환;심홍식
    • 식물병연구
    • /
    • 제16권1호
    • /
    • pp.90-93
    • /
    • 2010
  • 경남 고성군 자운영 재배포장에서 잎과 줄기가 수침상으로 무르고 썩으며, 시들어 말라 죽고 병든 부분에 흰색의 곰팡이와 균핵이 발생하였다. 감자한천배지 상에서 균총은 연한 회색이며 균핵의 모양은 구형이고 검은색으로 크기는 $2{\sim}14{\times}2{\sim}7mm$이었다. 균사 생육적온과 균핵 형성은 $20^{\circ}C$이었다. 자낭반은 구형 또는 원반 모양이며 크기는 3~8 mm이었다. 자낭은 원통형이고 크기는 $145{\sim}210{\times}10{\sim}12{\mu}m$이었다. 이상과 같이 자운영에 발생한 병징,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 검정한 결과 Sclerotinia trifoliorum Eriksson에 의한 자운영 균핵병으로 동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