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회로 중복사용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3초

제어 및 데이터 신호에 의한 Esterel에서의 새로운 회로 중복사용 문제 (New Schizophrenia Patterns on Esterel caused by Control/Data Signals)

  • 윤정한;김철주;김성건;최광무;한태숙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7권4호
    • /
    • pp.311-316
    • /
    • 2010
  • Esterel은 명령형 동기언어로서, 많은 경우에 메모리, 캐쉬 컨트롤러, 버스 인터페이스 등을 개발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Esterel 프로그램은 특정 상황에서 한 문장이 한 단위시간 안에 2번 이상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문장을 하드웨어로 컴파일 할 경우, 하나의 회로(circuit)가 한 클럭 안에 2번 수행되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회로 중복사용(schizophrenia) 문제라고 부른다. 기존연구에서는 지역신호선언문과 병렬문만이 회로 중복사용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예외선언문에 의해 생성되는 제어 신호와 출력문이 만들어내는 데이터 신호도 회로 중복사용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출력문의 경우에는 기존 회로 중복사용 문제에 대한 해결책들의 출발점인 단순한 루프 펼치기(loop unrolling)로는 해결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예외선언문과 출력문이 만들어 내는 2가지 새로운 회로 중복사용 문제들을 열거하고 회로 중복사용 문제를 재정의 하였다.

Esterel에서 동기장치 중복사용 문제 검출시 과잉 경보 줄이기 (Reducing False Alarms in Schizophrenic Parallel Synchronizer Detection for Esterel)

  • 윤정한;김철주;김성건;한태숙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7권8호
    • /
    • pp.647-652
    • /
    • 2010
  • Esterel이라는 절차형(imperative) 동기(synchronous) 언어로부터 회로를 합성(synthesis)할 때, 하나의 동기장치(synchronizer)가 한 클럭에 중복사용되는 문제(schizophrenic parallel synchronizer)가 발생할 수 있다. 기존 컴파일러는 동기장치가 중복사용될 경우 동기장치를 복제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본 논문은 동기장치가 중복사용되더라도 회로상/기능상 문제가 없는 조건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소스코드를 분석하여 복제해야만 하는 동기장치를 찾아주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컴파일러가 중복사용되는 동기장치들 중에서 꼭 복제해야만 하는 것을 알 수 있게 해 주어, Esterel 프로그램을 좀 더 작은 회로로 합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음성회의 시스템에서의 동적인 에러복구 기법 (A Dynamic Error Correction Technique in Audio Correction Technique in Audio Conference Systems)

  • 윤성덕;안종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96-201
    • /
    • 1998
  • 최근 Mbone을 통한 다양한 회의 시스템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들 회의 시스템은 주로 영상회의 시스템과 음성회의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람들은 영상보다 음성에 더 민감하기 때문에 음성품질이 영상품질보다 더 중요하다. 현재 인터넷은 QoS(Quality Of Service)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인터넷을 사용하는 음성 회의 시스템들도 근본적으로 품질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음성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었고, 대표적인 기법으로 중복정보(redundant information) 복구기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중복정보 복구기법을 개선한 동적 중복정보 복구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중복정보의 양을 조절하기 때문에 중복정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제 인터넷을 통한 실험에서 평균 9%의 성능향상이 있었다.

  • PDF

구조적 중복을 사용한 XML 문서의 릴레이션으로의 분할저장 (Shredding XML Documents into Relations using Structural Redundancy)

  • 김재훈;박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2권2호
    • /
    • pp.177-19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XML 데이타를 릴레이션으로 분할 저장할 경우, 분할된 XML 데이타로부터 질의 결과 XML 문서를 재구성하는데 소모되는 질의 처리비용을 줄이기 위한 구조적 중복 방법을 소개한다. 기본 아이디어는 주어진 질의 패턴을 분석하여, 적절한 데이타들을 중복시킴으로서 질의 처리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적 중복 방법으로 실질적으로 유효할 수 있는 ID, VALUE, SUBTREE의 세 가지 유형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추가적으로 주어진 XML 데이타와 질의들이 매우 크고 복잡할 경우 최적의 중복 집합을 팎는 것이 매우 어려운 작업이 될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한 경험적 탐색 방법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몇 가지 실험을 통하여, 중복 데이타를 사용함으로 발생하는 XML 질의 처리비용과 제안된 탐색 방법의 효율성을 분석한다. 중복 데이타를 사용함으로 XML 판독 질의는 빨라지지만, XML 갱신 질의는 중복 데이타의 갱신 일관성 비용 때문에 느려지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실험 결과는 매우 과도한 갱신 비용의 경우에도 in-place ID 중복은 효율적이며, 갱신 비용이 매우 과도하지만 않다면 multiple-place SUBTREE 중복은 판독 질의 처리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동 에이전트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중복 프로토콜 (Efficient Replication Protocols for Mobile Agent Systems)

  • 안진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3권12호
    • /
    • pp.907-917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각 중복서비스의 수행형태가 결정적이냐 비결정적이냐에 따라 알맞은 수동형중복 프로토콜을 적용함으로써 이동 에이전트 시스템에서 중복 서비스의 결함포용성과 확장성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전략을 제안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두 개의 수동형 중복 프로토콜들인 PRPNS과 PRPDS를 각각 비결정적 중복 서비스와 결정적 중복 서비스를 위해 설계한다. 이 두 프로토콜들은 모두 방문 이동 에이전트들이 반드시 주 서비스 에이전트만이 아니라 보조 서비스 에이전트를 수행하는 임의의 노드로 전달되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프로토콜 PRPDS는 임의의 보조 서비스 에이전트가 이동 에이전트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주 서비스 에이전트로부터 그 요구 메시지의 전달 일련번호를 얻은 후에, 그 보조 서비스 에이전트가 해당 요구 메시지를 처리하고 다른 중복 서비스 에이전트들과의 조정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 두 프로토콜들을 사용하는 본 논문의 전략은 이동 에이전트 시스템에서 매우 많은 수의 이동 에이전트들이 동시에 접근하고자 하는 중복서비스의 높은 확장성을 보장할 수 있다. 본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된 전략이 기존의 수동형 중복프로토콜만을 사용하는 전략에 비해 매우 향상된 성능을 발휘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비유사 중복 인코딩을 사용하는 유전 알고리즘을 위한 정규화 연산 (Non-Synonymously Redundant Encodings and Normalization in Genetic Algorithms)

  • 최성순;문병로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4권6호
    • /
    • pp.503-518
    • /
    • 2007
  • 정규화는 교차 연산 전에 두 부모해 사이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한 부모해를 다른 부모해에 맞추어 변환하는 연산이다. 본 논문은 비유사 중복 인코딩이 유전 알고리즘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이유와 정규화 연산이 비유사 중복 인코딩에 의해 유발되는 문제점들을 어떻게 완화하는지 설명한다. 이를 위해 완전 비유사 중복 인코딩을 정의하고, 완전 비유사 중복 인코딩에 의해 적합도와 거리의 상관성이 없는 탐색 공간이 만들어짐을 증명한다. 또한, 완전 비유사 중복 인코딩을 사용하는 다수의 문제들에 대한 실험을 바탕으로, 정규화를 통해 상관성이 없는 탐색 공간이 상관성이 있는 탐색 공간으로 변화되어 유전알고리즘의 성능이 향상됨을 보인다.

중복 데이터 관리 기법을 통한 저장 시스템 성능 개선 (Storage System Performance Enhancement Using Duplicated Data Management Scheme)

  • 정호민;고영웅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7권1호
    • /
    • pp.8-18
    • /
    • 2010
  • 기존의 전통적인 저장 서버는 중복 데이터 블록에 의해서 저장 공간과 네트워크 대역폭의 낭비가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중복 제거 메커니즘이 제시되었으나, 대부분 Contents-Defined Chunking (CDC) 기법을 사용하는 백업 서버에 한정되었다. 왜냐하면 CDC 기법은 앵커를 사용하여 중복 블록을 쉽게 추적할 수 있기 때문에 파일의 업데이트를 관찰하기 유리한 백업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저장 시스템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새로운 중복 제거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있다. 범용적인 중복제거 서버를 구축하기 위한 효율적인 알고리즘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백업 서버, P2P 서버, FTP 서버와 같은 다양한 시스템에 활용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이 중복 영역의 블록을 찾아내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으로 저장 시스템을 관리하는 것을 보였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상에서 안전하고 실용적인 암호데이터 중복제거와 소유권 증명 기술 (A Secure and Practical Encrypted Data De-duplication with Proof of Ownership in Cloud Storage)

  • 박철희;홍도원;서창호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10호
    • /
    • pp.1165-1172
    • /
    • 2016
  • 클라우드 스토리지 환경에서 중복제거 기술은 스토리지의 효율적인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제공자들은 네트워크 대역폭을 절약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측 중복제거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민감한 데이터의 기밀성을 보장하기 위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업로드하길 원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암호화 방식은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비밀키를 사용하기 때문에 중복제거와 조화를 이룰 수 없다. 또한 클라이언트 측 중복제거는 태그 값이 전체 데이터를 대신하기 때문에 안전성에 취약할 수 있다. 최근 클라이언트 측 중복제거의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소유권 증명 기법들이 제안되었지만 여전히 암호데이터 상에서 클라이언트 측 중복제거 기술은 효율성과 안전성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수조사 공격에 저항성을 갖고 암호데이터 상에서 소유권 증명을 수행하는 안전하고 실용적인 클라이언트 측 중복제거 기술을 제안한다.

Rabi pedestal shifts를 이용한 원자시계의 주파수 편이 계산 (Estimation of the frequency biases in an atomic clock by measuring Rabi Pedestal shifts)

  • 박영호;오차환;김필수;김중복;권택용;이호성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발표회
    • /
    • pp.18-19
    • /
    • 2002
  • 1950년 Norman Ramsy는 시간적으로 분리된 두 진동 자장을 사용한 마이크로파 전이 방법을 개발했다 이 방법을 사용할 경우 그림1과 같이 넓은 선폭을 가지는 공진선 ("Rabi pedestal") 위에 좁은 선폭의 분광 신호("Ramsey fringe")를 얻을 수 있다. 램지 방법은 정밀한 분광 측정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원자 시계를 구현하기 위한 기본 기술이 되고 있다. (중략)

  • PDF

포인터와 자료를 중복하여 공간 효율을 높인 G-machine (A Space-Efficient GM with Overlapping Pointers and Data)

  • 박홍영;한태숙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8권8호
    • /
    • pp.593-602
    • /
    • 2001
  • G-Machine은 주어진 표현식을 그래프 축약을 통해석 계산한다. 이러한 축약 과정은 표현식을 그래프로 표현하기 위해 많은 그래프 공간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그래프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우회 노드 장소에 자료를 중복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G-Machine에서 필요로 하는 그래프 공간을 절약하며, 이를 위한 새로운 추상기계인 poGM(Pointer Overlapped GM)을 제안한다. poGM에서는 필요한 곳에만 상대 주소를 사용하여, 그래프 내부 노드와 단말 노드 모두에서 그래프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기억 장소 재활용 체계를 포함하는 시뮬레이션의 결과벤치마크 프로그램에서 GM보다 총합 사용량은 평균32%, 최소합은 평균 47.6% 적게 사용하였으며, 수행 시간은 평균 30% 빠르게 수행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