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황체세포

Search Result 7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Effects of Unpredictable Stress on the LHR Expression and Reproductive Functions in Mouse Models (실험적 마우스 모델에서 예측 불가능한 스트레스가 황체형성호르몬 수용체의 발현과 생식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Choi, Sung-Young;Park, Jin-Heum;Zhu, Yuxia;Kim, Young-Jong;Park, Jae-Ok;Moon, Changjong;Shin, Taekyun;Ahn, Meejung;Kim, Suk-Soo;Park, Young-Sik;Chae, Hyung-Bok;Kim, Tae-Kyun;Kim, Seung-Joon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31 no.5
    • /
    • pp.394-402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ronic unpredictable stress on the reproductive function and ovarian luteinizing hormone receptor (LHR) expression. 9-week-old C57BL/6 female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group and stressed group. Mice have been stressed twice a day for 35 days with 12 different stressors which were randomly selected.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re is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nxiety-related behaviors (P < 0.05), decrease body weight gain rate (P < 0.01) and decrease in the average of litter size in stressed mic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 < 0.01). Furthermore, the rate of primary, secondary and early antral follicles in stressed mice significantly decreased (P < 0.05), whereas that of atretic follicle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mice (P < 0.01). The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revealed that reduced LHR expression in granulosa cells of follicle and luteal cells of corpus luteum in response to chronic unpredictable stress. The western blot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ly decrease in LHR expression in the stressed mice ovaries compared with the control (P < 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ovarian LHR expression affected by chronic unpredictable stress and the modulated ovarian LHR is responsible for ovarian follicular maldevelopment and reproductive dysfunction.

Germ Cell Degeneration during Mammalian Spermatogenesis (포유류의 정자형성과정 중 생식세포의 변화)

  • 김종민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1.10a
    • /
    • pp.11-13
    • /
    • 2001
  •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의 정자형성과정은 시상하부에서 분비된 생식소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의 영향 하에 뇌하수체에서 합성 분비되는 난포자극호르몬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과 황체화호르몬 (luteinizing hormone; LH)에 의해서 조절된다. LH의 라이디히 세포 (Leydig cells) 자극으로 인한 testosterone 의 합성분비가 성체(adult)의 정자형성과정과 그 유지(maintenance)에 매우 결정적이다. 반면, FSH는 미성숙 개체의 정소에서 일어나는 예비적 정자형성과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성체에서도 질적인 면에서의 정자형성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려된다. 그러므로, 시상하부-뇌하수체-정소의 축(axis)을 이루는 어느 한 성분에서라도 이상이 생기면 정자의 형성과정은 치명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중략)

  • PDF

소 비장유래 Macrophage의 체외배양시 배양액 중 호르몬적 변화

  • 최선호;류일선;박성재;연성흠;이장희;우제석;백광수;손동수;박춘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41-141
    • /
    • 2003
  • 소에 있어서 수정란이식이 활성화되고, 수정란이식 기술이 첨단기술도입의 근간이 되면서, 수태율의 향상은 첨단기술의 활성화에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또한 수태율 향상을 위해 임신유지를 도와주는 progesterone의 정기적인 투여나 수정란이식 시기에 hCG 등을 투여하여 수태율을 향상시키고자 여러가지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수태율 향상에 대한 명확한 기술이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착상시 황체의 Progesterone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비장유래의 macrophage의 체외배양을 통하여 배양액 중 호르몬적 변화를 관찰하고 착상을 유도하는 기전을 밝히고자 시도하였다. 임신 및 비임신 도축암소의 비장을 채취하여 알루미늄박으로 포장하여 얼음에 채운 뒤 실험실로 운반하였고, 비장을 70% alcohol로 외부를 잘 세척한후 표피를 제거하였다. 표피를 제거한 비장조직을 가위로 잘게 세절하고 buffer A 용액으로 조직속의 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세포는 1,700 rpm으로 5분간 3회 세정하였으며, 세정된 세포는 유리 petri dish에 넣어 39$^{\circ}C$, 5% $CO_2$, 95% air인 배양기에서 2시간 동안 배양을 실시하였다. (중략)

  • PDF

LHRHa 펠렛의 근육삽입에 의한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 정액의 활성 변화

  • 임한규;장영진;문승현;이종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276-277
    • /
    • 2000
  • 어류의 성숙 및 배란을 유도하기 위해 어류 및 개구리의 뇌하수체 추출물, 인간의 태반성생식소자극호르몬(HCG), 어류의 생식소자극호르몬(GTH), 포유류의 황체형성호르몬방출호르몬(LHRH) 그리고 이들의 유사체(analogue)들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시상하부의 신경분비 세포에서 분비되는 LHRH를 이용한 어류의 배란 및 산란에 대한 연구는 여러 어종에 대해서 시도되어 왔다. (중략)

  • PDF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n Arachidonate Preferring Acyl-CoA Synthetase, ACS4

  • Jo, Yong-Yeon
    • 대한생식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1.03a
    • /
    • pp.213-216
    • /
    • 2001
  • 본 연구에 의해 Arachidonoyl-CoA synthetase (ACS4)에 관하여 이하의 것을 증명하였다. 1. Moues ACS4 cDNA와 단백질을 분석한 결과 뇌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새로운 78 kDa의 ACS4 분자종을 발견하였다. 2. Steroid 생산세포에서 ACS4는 cAMP와 AA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증명하였다. 3. ACS4의 결손은 웅성 반성접합체에서 외견, 성장, 행동, 생식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자성 이형접합체에서는 자궁내막의 비후와 낭포 (cyst)를 발생시켜 자궁기능을 저하시키는 것을 입증하였다. 4. ACS4는 자궁내막의 발생과 황체의 퇴화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ell Surface Interaction with Expression of Fas Ligand Mediates Prolactin-Induced Apoptosis In Rat Luteal Cell Culture (Rat 황체세포 배양에 있어서 Prolactin에 의한 황체퇴행 및 Fas Ligand의 발현)

  • 장규태;박미령;선동수;윤창현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13 no.2
    • /
    • pp.179-190
    • /
    • 1998
  • Prolactin (PRL) surge in cycling rats at proestrous afternoon has previously been reported as an inducer of apoptotic cell death of luteal cells. This death-inducing action of PRL seeins unusual, because PRL can he categorized as a cell-survival factor, if other known physiological functions of PRL are taken into account. In this study, the apoptotic action of PRL was assessed in cultured cells prepared from rat luteal tissue and underlying molecular /cellular mechanism of PRL-induced luteolysis was analyzed. The latest crop of corpora lutea (CLs) were enucleated from rat ovaries at 18:00 h on the proestrous day before the next ovulation. Donor rats were pretreated with CB154, a dopamine agonist, in order to he exempted from the endogenous PRL surge. The harvested GLs were dispersed and cultured with or without PRL (2$\mu$g /ml) for 24 or 48 h. An addition of PRL to the culture medium changed the parameters indicative of cell death via apoptosis: a decrease in cell viability (MTT) and an increase in chromatin condensation. Most of the DNA breakdown in nuclei induced by PRL occurred in steroidogenic cells which were identified by 3$\beta$-HSD activity staining, and the number of 3$\beta$-HSD-positivecel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terestingly, most of the cells with an apoptotic nucleus adhered to one or more intact and seemingly non-steroidogenic cells. Because the expression of Fas has heen shown to be abundant in murine ovary, and Fas is known to have an exact physiological role in occurrence of apoptotic cell death, the membrane form-Fas ligand (rnFasL) was quantified in the cell lysate. An addition of PRL increased expression of mFasL. Moreover, an addition of concanavalin A (ConA), a T-cell specific activator, in place of PRL, enhanced the apoptotic parameters. Cumulatively, the apoptotic PRL action was addressed to cells unknown than steroidogenic lute~ cells. The most prohable candidate for the direct target cells is Tcells in the luteal tissue that can express mFasL in response to PRL.

  • PDF

Studies on the IVM/IVF Rate of In Vitro Cultured Canine Oocytes (개 난자의 체외성숙과 체외수정에 관한 연구)

  • Lee B.K.;Kim S.K.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21 no.1
    • /
    • pp.7-11
    • /
    • 2006
  • 개 난자의 체외성숙과 체외수정을 통해 수정란을 획득하기 위하여 개 난소를 채취하여 난자의 형태, 난소의 채취시기 등이 체외성숙과 체외수정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 난구세포 부착 및 미부착 난자를 48시간 배양했을 때 체외 성숙율은 $42.0{\pm}3.4%,\;24.4{\pm}4.1%$였다. 난구 세포 부착 난자의 체외 성숙율이 미부착 난자의 체외 성숙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2. 난소를 휴지기, 난포기 및 황체기로 구분하여 난자를 회수하여 배양했을 때 체외 성숙율은 각각 35.6%, 50.0%, 31.1%였고 체외 발생율은 각각 2.2%, 20.0% 및 8.9%로서 난구 세포 부착 난자가 미부착 난자에 비해 유의한 체외 수정율을 나타냈다. 3. 난구세포 부착 및 미부착 난자를 이용하여 체외수정시켰을 때 체외 수정율과 체외 발생율은 각각 48.0%, 35.6% 및 22.5%, 13.3%로서 난구세포 부착 난자가 미부착 난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소 비장유래 macrophage의 체외배양시 IL-I$\alpha$가 TGF-$\beta$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

  • 최선호;성환후;장유민;이장희;연성흠;류일선;손동수;유충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Embryo Transfer Conference
    • /
    • 2002.11a
    • /
    • pp.88-88
    • /
    • 2002
  • 인공수정 및 수정란기술의 활성화에 따라 소에 있어서 인공수정은 90%이상이 실시되고 있으나, 수정란이식은 수정란의 생산이 안정적이지 않아 활성화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이의 원인은 수정란이식에 의한 수태율의 저하가 가장 크며, 수태율 향상을 위하여 수란우에 progesterone, hCG 등의 주사가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수정란의 착상에 있어서 자궁의 환경을 개선한다고 하나, 착상의 정확한 기전의 구명은 미미한 상태이다. 한편 비장유래 macrophage가 황체를 자극하고 TGF-$\beta$의 생산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IL-I $\alpha$$\beta$에 따라 TGF-$\beta$ 생산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장유래 macrophage가 TGF-$\beta$의 생산시 임신관련 Cytokine인 IL-I$\alpha$와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임신 및 비임신 도축 암소의 비장을 채취하여 얼음에 채워 실험실로 운반한 후 비장의 표면을 70%의 알콜로 세척하고, 표피를 벗겨 비장조직을 세절하여 10% FBS+DMEM에 넣어 조직을 눌러 짜면서 조직속의 세포를 분리하였다. 세척한 배양액은 4-5$m\ell$를 100mm 유리 petri dish에 넣고 39$^{\circ}C$, 5% $CO_2$, 95% 공기인 배양기에서 2시간이상 배양하였으며, 배양 후 냉장된 buffer A 용액으로 세척하여 유리 petri dish의 바닥에 부착된 macrophage만을 cell scraper로 분리하였다. 분리한 macrophage는 0.5-1 $\times$ $10^{6}$ cells/$m\ell$가 되게 조정하여, IL-I 을 0.001, 0.01, 0.1 또한 1 ng/$m\ell$를 첨가하여 농도에 따른 효과를 조사하였고, 각각 24, 48, 72, 96 또한 120시간을 배양하여 시간에 의한 효과도 실시하였다. 각 배치구에서 얻어진 배양액은 TGF-$\beta$를 조사하기 전까지 -2$0^{\circ}C$에 동결 보존하였다. TGF-$\beta$의 측정은 TGF-$\beta$ kit(promega, USA)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통계학적 분석은 Anova test를 Statview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험의 결과 대조구에 비해 IL-I 첨가구는 2-3배의 TGF-$\beta$생산을 보였으며, 배양시간에 따른 생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간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IL-I의 농도에 따른 생산의 변화는 IL-I의 농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고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임신 및 비임신의 경우 임신우의 비장 macrophage가 비임신보다는 약간 상승하는 거스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IL-I $\alpha$$\beta$subunit 보다 TGF-$\beta$ 생산에 있어서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일 것으로 추정되며, IL-I은 macrophage의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보다는 황체세포를 매개로 한 자궁에 TGF-$\beta$의 생산을 유도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임신관련 cytokine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 PDF

Studies on Preservation of Germ Cells in Hanwoo II. Effects of In Vivo Embryos Production by PEG 30% FSH in Hanwoo (한우의 생식세포 보존에 관한 연구 II. PEG 30% FSH 투여가 한우의 체내수정란 생산에 미치는 영향)

  • 이명식;박정준;전기준;정영훈;우제석;박수봉;임석기;연성흠;손동수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18 no.2
    • /
    • pp.151-156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ponse of corpus luteum, recovery rate of embryos and production of transferable embryos according to superovulation by PEG 30% FSH in Hanwoo. Cows were selected as recipient, subsequent were superovulated with a total of 400 mg NIH-FSH-P1(Folltropin-V, Canada) given by one shot subcutaneously. At the time of five days after Folltropin injection, 25mg of a PGF$_2$a was injected and cows were inseminated 12 and 24h after the onset of estrus. Seven days after insemination, embryos were collected non-surgically and were cryopreserved by direct transfer method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Response of corpus luteum following the superovulation in Hanwoo, right ovary were 52.8%(271/513) and left ovary were 47.1%(242/513), respectively (P<0.05). 2. Recovery rate of embryos following the number of corpus luteum were 83.0%(426/513). 3. Mean number of embryos recovered and transferable embryos were 7.74 and 6.43, respectively (P<0.05). 4. In the total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s per flush were collected 6.4 and all saved transferable embryos were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