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활주로안전구역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1초

경량항공기 활주로안전구역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Runway Safety Area for the Light Sport Aircraft)

  • 신대원;김웅이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1-45
    • /
    • 2013
  •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operating status of the Runway for the Light Sport Aircraft(LSA) in Korea, and analyzed the Airfield Facilities Manual for the Air Leisure and the Standard Specification for Recreational Airpark Design. Based on the information, we presented the displacement of the threshold concept, to ensure the Runway Length and the Runway Safety Area, and operation of LSA in Korea.

수도권 지역 경량항공 이착륙장 분석 (The analysis of the LSA Airpark of Metropolitan Area)

  • 신대원;김웅이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4-50
    • /
    • 2014
  •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operating status of the LSA Airpark in Metropolitan Area of Korea, and compared the Airfield Facilities Manual for the Air Leisure. We analyzed the problems of the closure and the currently used of the LSA Airpark, through site visits. We presented the re-usability for the closure LSA Airpark, the improvements for the currently used of the LSA Airpark.

경량항공기 이착륙장의 최소 요구조건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Minimum Requirements for the Design of an Airpark used in Light Sport Aircraft Operations)

  • 신대원;신홍철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8-22
    • /
    • 2009
  •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operating status of the Light Sport Aircraft(LSA) in Korea, and reviewed the minimum requirements of the airpark for LSA in other countries. Based on the information, we presented the airpark standards to ensure the safe take-off, landing, and operation of LSA in Korea.

  • PDF

활주로안전구역 위험평가 개선모델 적용 연구 (An Application of the Improved Models for Risk Assessment of Runway Safety Areas)

  • 김도현;홍승범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
    • /
    • 2015
  • The RSA is intended to prevent the following five types of events from becoming an accident: landing overruns, landing undershoots, landing veer-offs, takeoff overruns and takeoff veer-offs. The improved models are based on evidence from worldwide accidents and incidents that occurred during the past 27 years. The analysis utilizes historical data from the specific airport and allows the user to take into consideration specific operational conditions to which movements are subject, as well as the actual or planned RSA conditions in terms of dimensions, configuration, type of terrain, and boundaries defined by existing obstacles. This paper shows how to apply the improved models for Risk Assessment of Runway Safety Areas (Airport cooperative research program(ACRP) Report 50) into an airport and the outcome differences between the old models based on ACRP report 3-Analysis of aircraft overrun and undershoots for runway safety areas and the new models from ACRP report 50 in the specific airport.

항공기 과주방지 포장시스템에 적합한 저강도 펄라이트 콘크리트의 개발 및 적합성 연구 (A Suitability Study and Development of Low Strength Perlite Concrete as Aircraft Rapid Arresting System)

  • 김춘선;이영수;하욱재;한재현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59-70
    • /
    • 2010
  • 최근 몇 년간 국내 외에서는 연평균 10건 이상의 항공기 과주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고자 활주로 종단안전구역 기준을 설정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공항은 종단안전구역 기준을 설정하기 전에 시공되어 기존 활주로의 경우 대부분이 활주로 종단안전구역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자연장애물, 환경, 지역개발 등으로 활주로 종단안전구역의 기준에 부합하도록 활주로 종단을 확장하기 곤란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 미연방항공청은 활주로 종단에 항공기 과주방지 포장시스템을 설치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현재 많은 미국 공항에서 설치완료 하였거나 설치 중에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국내 기술을 이용하여 항공기 과주방지 포장시스템에 적합한 재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저강도 펄라이트 콘크리트의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저강도 펄라이트 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은 배합조건에 따라 $4.5{\sim}6.4kN/m^3$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일축압축강도는 $400{\sim}1,470kN/m^2$의 강도 범위를 가지고 있었다. CBR 시험기를 이용하여 관입압축강도시험을 수행한 결과 전체 높이에서 관입량이 약 60% 이후부터 강도가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덤프트럭을 이용하여 관입시험을 수행한 결과 약 40%의 관입량이 측정되었다.

수치해석을 이용한 항공기 과주방지 포장시스템의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Aircraft Rapid Arresting System Using the Numerical Analysis)

  • 이영수;김춘선;하욱재;한재현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185-195
    • /
    • 2011
  • 항공기 관련 사고는 많은 인명피해 및 물질적 손해가 크게 발생한다. 현재 국내 항공기 활주로 관련 사고는 전체 사고의 28%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제적으로 33%의 항공기 활주로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FAA에서는 규정에 미치지 못하는 활주로 종단안전구역에 과주방지 포장시스템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활주로 종단안전구역이 규정에 만족하더라도 과주방지 포장시스템의 설치를 권고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 정세에 맞추어 국내에서도 과주방지 포장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과주방지 포장시스템의 국내 도입에 대한 절차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과주방지 포장시스템에 대한 합리적인 성능평가를 하기위하여 FAA에서 사용하고 있는 ARRESTOR 프로그램과 3차원 비선형 동적해석이 가능한 LSDYNA를 이용하여 항공기의 활주로 과주에 따른 제동거리, 견인력, 수직력 및 관입량을 비교하였다. 해석 결과 제동거리는 비슷하게 해석되었고, 견인력 및 수직력은 다소 차이가 발생하였으나 경향은 비슷하게 도출되었다. 추후 다양한 항공기 조건 및 포장재료의 특징을 고려한 3차원 시뮬레이션 해석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시뮬레이션 해석 기법을 개발하여 보다 정확한 해석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활주로종단안전구역의 위험빈도 추정 연구 (A Study on Risk Frequency Estimation of Runway End Safety Area)

  • 김도현;신동진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4-41
    • /
    • 2010
  • 'Aviation Safety' is the state in which the risk of harm to persons or of property damage is reduced to, and maintained at or below, an acceptable level through a continuing process of hazard identification and risk management in the aviation field. 'Risk' is the assessed potential for adverse consequences resulting from a hazard and 'Risk assessment' involves consideration of both the frequency and the severity of any adverse consequence. This study focused on the risk frequency about a case airport which does not meet the 'Runway end safety area' requirement of ICAO SARPs and Korea standards and used 'RSA risk model' for estimating the risk frequency. As results of this study, risk frequency of the runway end safety areas in the case airport is higher than that of 'Runway end safety area' requirement of ICAO SARPs and Korea standards, which means that alternatives for risk frequency mitigation to a level as low as reasonably practicable is required in the case airport. The optimum solution analysed from this study is to impose restriction of aircraft operation when the runway condition is poor(icing condition) and also it snows in the case airport.

EO/IR 카메라 및 레이더를 이용한 공항 이물질(FOD) 자동탐지 실험 (Experiment on Automatic Detection of Airport Debris (FOD) using EO/IR Cameras and Radar)

  • 홍재범;강민수;김윤섭;김민수;홍교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522-529
    • /
    • 2018
  • FOD는 항공기에 위험을 줄 수 있는 위험요인을 지닌 각종 금속, 비금속의 이물질을 총칭한다. FOD는 활주로 및 유도로, 정비시설 등 특정구역 및 시간을 가리지 않고 발생하며, 항공기의 이동 및 이착륙 시 항공기의 안전에 치명적인 위험을 내재하고 있다. 이에 활주로 내 FOD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탐지 및 제거가 필요하다. 최근 항공 안전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공항 내 활주로 이물질 자동 탐지 시스템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서대학교 태안캠퍼스에서 EO/IR 카메라 및 레이더를 이용한 이물질 자동 탐지 실험을 진행하여 주야간 정상적으로 탐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의 비행장 장애물 제한구역 밖의 장애물이 항공안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ltitude Restrictions of Obstructions outside Airport Obstacle Limitation Surfaces of Korea)

  • 양한모;김병종;김도현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41-53
    • /
    • 2005
  • 비행장 주위의 자연장애물이나 인공구조물들은 비행장운영의 효율성에 중대한 영향을 주며, 기상조건에 따라 항공기의 이착륙을 제한한다. 이런 이유로 인하여 비행장 주위의 장애물은 활주로나 관련되는 시설보다도 공항의 효율성과 비행안전에 더 큰 영향을 준다. 따라서 ICAO를 비롯한 대다수의 국가에서는 비행장 주위의 장애물을 제한하는 장애물제한표면을 설정하여 장애물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장애물제한구역 밖의 장애물도 제한하고 있다. 이런 장애물 제한표면을 침투하는 장애물은 영구적인 장애물에 의하여 차폐되어지거나, 항공학적 연구를 통하여 항공기운항에 영향이 없다는 것이 판명되지 않는 한 제거되어 진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장애물제한구역에 외측수평표면이 없어 다른 나라에 비하여 협소할 뿐만 아니라, 장애물제한구역 밖의 장애물에 대한 제한도 법적근거가 없이 시행되고 있어 비행안전과 재산권보호라는 상반된 문제가 대립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서울공항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비행장장애물제한구역 밖의 장애물이 비행안전과 공항운영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장애물의 위치에 따라 장애물제한구역 밖의 장애물이 비행안전과 비행장의 운영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장애물제한구역 밖에 있는 150m를 초과하는 물체는 항공학적 연구를 통하여 항공기운항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것이 증명되기 전에는 장애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네 가지 대안이 제시되었으며, 규제대상을 가능한 축소하기 위해서는 ICAO의 권고사항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정 조건의 비행장에서 장애물제한규정 적용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Obstacle Limitation Criteria for Specific Conditions of Airports)

  • 김도현;김웅이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5-30
    • /
    • 2016
  • Obstacle defines all fixed and mobile objects, or parts thereof, that are located on an area intended for the surface movement of aircraft or extend above a defined surface intended to protect aircraft in flight or stand outside those defined surfaces and that have been assessed as being a hazard to air navigation. The airspace around airports are maintained free from obstacles so as to permit the intended aeroplane operations at the airports to be conducted safely and to prevent the airports from becoming unusable by the growth of obstacles around the airports. This is achieved by establishing a series of obstacle limitation surfaces or airspace imaginary surfaces that define the limits to which objects may project into the airspace. This is a case study that shows an application of obstacle limitation criteria, which must be maintained free from an critical obstacle, for specific conditions of two airports. For the purpose of the application, aeronautical studies/flight safety influence assessments were used to identify possible solutions and select a solution that is acceptable without degrading aviation saf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