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활성탄흡착

Search Result 59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활성탄에 의한 염소가스의 흡착특성

  • 이재의;윤세훈;김동현;김준형;오원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397-402
    • /
    • 1998
  • 염소가스의 활성탄 흡착성능을 흡착평형과 flow system 두 단계의 흡착실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활성탄은 surface area와 pore size distribution이 구별되는 세가지 이상의 시료를 선정하였고 활성탄의 표면특성에 따른 염소가스의 흡착관계를 검토하였다. Flow system에서는 염소가스를 500ppm의 농도(v/v in helium) 를 가지는 염소가스를 선택하였고 GC로 흡착경향을 분석하였다. 주어진 흡착탑(long bed)에서 흡착용량의 증가변화에 대한 흡착속도의 감소변화의 추이를 관찰하였으며 이로부터 염소가스 단일성분의 활성탄 흡착탑에 대한 흡착모델의 설계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Investigation of SO2 Adsorption Capacity of the Activated Carbon with O2-NH3 Treatment (O2-NH3 처리로 인한 활성탄의 SO2 흡착능 조사)

  • 고윤희;서경원;박달근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4 no.1
    • /
    • pp.76-84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코코넛 껍질로부터 제조한 활성탄을 열 및 산소-암모니아의 혼합가스로 전처리하여 표면의 특성 변화와 이산화황 흡착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전처리한 활성탄으로 이산화황 흡착실험을 수행한 결과, 전처리한 활성탄은 기본 활성탄 시료보다 높은 흡착능력을 보였다. 본 연구의 전처리 실험에서는 산소와 암모니아를 주입하여 활성점을 제공하는 산소와 환원성 분위기를 조성하는 질소관능기를 도입하였다. 전처리 조건은 0∼25%의 암모니아와 473∼1273K의 온도이며 처리조건을 변화시킴으로써 표면 기능의 척도가 되는 세공구조와 원소조성 및 표면 관능기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흡착능력은 고정층 반응기에서 전자 비틀림 저울로 이산화황 흡착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이 과정 중의 활성탄 표면의 특성변화를 원소분석, 승온탈착법, 산-염기 적정법, 주사현미경법 등의 분석 방법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이산화황의 최대 흡착 능력은 온도조건 973∼1173K에서 나타났다. 또한, 암모니아로 처리하지 않은 활성탄에 비하여 암모니아로 처리한 활성탄은 그 주입농도에 관계없이 이산화황의 흡착제거율을 약 48% 정도 향상시켰다.

  • PDF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Effects of Improvement of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for the Application of Activated Carbon Co-Regenerated System in Sihwa/Banwal Industrial Complex (시화반월산업단지 활성탄 공동재생시스템 적용을 위한 활성탄 흡착탑 개선에 따른 환경적 효과분석)

  • Choi, Ye Jin;Rhee, Young Woo;Chung, Gu Hoi;Kim, Duk Hyun;Park, Seung Joon
    • Clean Technology
    • /
    • v.27 no.2
    • /
    • pp.160-167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nvironmental effects of improving the general-typ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used at the Sihwa/Banwol Industrial Complex with use of a cartridge-typ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for the application of an activated carbon co-regenerated system. Four general-typ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s and two cartridge-typ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properties of activated carbon and to compare the efficiency of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a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tivated carbon used in the cartridge-typ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s was high quality activated carbon with an iodine adsorption force of more than 800 mg/g and that a good adsorption performance was maintained within the replacement cycle. From a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pollutant reduction efficiency, it was confirmed that the cartridge-typ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functioned properly as a prevention facility for handling emissions pollutants with a treatment efficiency of total hydrocarbons (THC), toluene, and methylethylketone (MEK) components of 71%, 77%, and 80%, respectively. The general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which was confirmed to use low-performance activated carbon, had a very low treatment efficiency and did not function properly as a prevention facility for dealing with emission pollutants. It is believed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pollutants during operations by changing from the general-typ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to a cartridge-typ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활성탄 카트리지 흡착설비의 설계 및 유동해석

  • Im, Gyeong-Su;Lee, Si-Hun;Park, Hyeon-S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124-126
    • /
    • 2008
  • 활성탄 흡착설비에서는 활성탄에 대한 차압특성 및 활성탄 층에서의 적절한 유동분포가 이루어져야 활성탄층에서의 고른 흡착분포를 보이게 된다. 즉, 흡착설비로 주입된 VOCs 가스는 활성탄층를 통과할 때 활성탄층 전 영역에서 고르게 유량이 분배되면서 통과를 해야만 활성탄의 파과시간과 교체주기가 같게 된다. 따라서 고안된 활성탄 카트리지 및 흡착설비가 이러한 고른 유동분포를 갖는지를 먼저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VOCs 흡착제로 쓰이고 있는 활성탄에 대한 차압특성을 알아보고 차압에 따른 유동장을 해석하여 유입된 VOCS를 포함한 오염가스가 활성탄층에 고르게 분포되는가를 해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 활성탄 카트리지내의 구조에 따른 활성탄의 높이 및 양을 제시하였다.

  • PDF

항균성 활성화 탄소의 제조 및 특성

  • 오원춘;임창성;오근호;김종규;김명건;고영신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Crystal Growth Conference
    • /
    • 1997.10a
    • /
    • pp.99-103
    • /
    • 1997
  • 활성탄의 특성을 이용하여 상업적으로 문제시되고 있는 수질 및 공기 정화용 항균성 Ag-활성탄을 제조하여 흡착특성, 표면구조 및 박테리아 저항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높은 비표면적을 가진 활성탄에 대하여 AgNO$_3$를 사용하여 Ag-활성탄을 제조하였다. 0.1에서 1.0까지의 AgNO$_3$ 몰농도에 침적된 Ag-활성탄의 비표면적 값은 874-1475 $m^2$/g의 범위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AgNO$_3$몰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표면적이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어 흡착된 Ag가 원료 활성탄의 표면구조에 영향을 주었다. Ag는 활성탄 표면의 기공 주위에 고르게 분포되었으며 활성탄의 표면에 물리적 흡착에 의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균실험을 위하여 박테리아로서 대장균의 일종인 Escherichia coli를 사용하였으며, 흡착된 Ag의 양이 증가됨에 따라 활성의 범위가 증가되었고, Ag가 흡착되지 않은 활성탄의 경우에 있어서는 활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 PDF

칼럼실험을 통한 계면활성제 용액에서 phenanthrene의 선택적 제거에 관한 연구

  • An Chi-Gyu;Kim Yeong-Mi;U Seung-Han;Park Jung-M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162-165
    • /
    • 2006
  • 유해성 유기물질로 오염된 토양의 복원을 위한 토양세척공정에서 계면활성제를 선택적으로 재이용하기 위해 활성탄을 이용한 흡착 칼럼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계면활성제로는 Triton X-100을 소수성 유해 유기물질로는 다환방향족 탄화수소의 하나인 phenanthrene를 사용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계면활성제의 흡착은 phenartthrene에 비해 빠른 흡착 특성을 보였으며 phenanthrene은 계면활성제의 포화흡착상태에서도 지속적으로 흡착이 이루어졌다. 이는 계면활성제의 흡착이 종료된 이후에도 유해성 유기물질의 지속적인 흡착을 기대할 수 있어 계면활성제의 지속적인 재이용과 활성탄 사용시간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활성탄 칼럼에서의 유해성 유기물질의 우수한 선택적 흡착 결과는 기본적으로 소수성 정도의 차이와 size exclusion에 의한 기작뿐만 아니라 활성탄에 흡착된 계면활성제에 의한 다환방향족 탄화수소의 추가적인 흡착이 일어나 전체적인 성능이 향상되는 것에 기인한다.

  • PDF

VOC 흡착 분말활성탄의 폭발특성

  • 김성규;이경덕;김영수;신창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63-268
    • /
    • 2001
  •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은 연소배기가스중의 NOx, SOx와 함께 대기환경오염의 주 요인이 되는 물질로서, 제거방법의 하나로 활성탄 흡착법을 주로 사용한다. 흡착제로서 석탄이나 나무에서 제조된 활성탄(Activated Carbon)을 사용하는데, 활성탄 자체는 폭발하지 않으나 어느 정도 유기증기를 흡착하면 분산상태에서 폭발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활성탄에 대한 연구는 자연발화위험성에 대해서만 연구가 진행되었을 뿐, 휘발성유기화합물이 흡착된 활성탄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중략)

  • PDF

활성탄 흡착반응기에서의 기상 톨루엔의 흡착특성

  • 임진관;감상규;이민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203-206
    • /
    • 2004
  • 활성탄 흡착을 통한 도장공정의 건조작업시 발생하는 VOCs 가스중에서 많은 양을 차지하는 톨루엔의 흡착실험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활성탄을 충전한 고정흡착탑에서 톨루엔의 흡착에 있어서 파과곡선의 파과점은 흡착제의 포화특성에 좌우되며, toluene 가스의 농도, 유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활성탄의 동일한 충전층에 대해 toluene 가스의 유량, 농도가 증가할수록 MTZ와 LUB도 증가함으로 흡착층의 효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ore Structure and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Metals and Nutrient Salt of Activated Carbon Produced from Different Chemical Treatment (서로 다른 약품처리를 이용하여 제조한 활성탄의 세공구조 및 중금속과 영양염류 흡착특성)

  • Lee, Young-Dong;Kang, Hwa-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2 no.7
    • /
    • pp.1319-1330
    • /
    • 2000
  • Activated carbons prepared by chemical activation of organic waste sludges with $ZnCl_2$ and $K_2S$ have been studied in terms of their pore development and adsorptivity. Pore development of the carbons prepared from organic waste sludges was characterized by the nitrogen adsorption at 77K. The $ZnCl_2$-activated carbon produced by chemical activation with zinc chloride exhibited type I isotherm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BDDT classification, suggesting the presence of micropores formed by activation process. The isotherms of the commercial powdered activated carbon and $K_2S$-activated carbon reveal a hysteresis similar to that of type IV in BDDT classification, indicating the formation of mesopores.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major pores of $K_2S$-activated carbon are composed of meso and micropores, and a macropores are minor. The adsorptive capacities of metal on the $K_2S$-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organic waste sludges were found to be superior to those on a commercial granular activated carbon. The Langmuir and Freundlich isotherms yield a fairly good fit to the adsorption data, indicating a monolayer adsorption of metals onto $K_2S$-activated carbon. The adsorptive capacity of the $K_2S$-activated carbon was superior to $ZnCl_2$-activated carbon for $PO_4$-P, and vice versa for $NO_3$-N. From the results of the studies reported here, it can be concluded that activated carbons with adsorptivity superior to commercial granular activated carbons can be produced from organic waste sludge using a two-step carbonization/activation procedure with zinc chloride or potassium sulfide as the activating agents.

  • PDF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Sulfonamide Antibiotic Compounds in GAC Process (GAC 공정에서의 Sulfonamide계 항생물질 흡착특성)

  • Son, Hee-Jong;Jung, Jong-Moon;Roh, Jae-Soon;Yu, Pyung-J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0 no.4
    • /
    • pp.401-408
    • /
    • 2008
  • Adsorption performance of sulfonamide antibiotic compounds such as sulfadimethoxine(SDM), sulfachloropyridazine(SCP), sulfamethazine(SMT), sulfathiazole(STZ) and sulfamethoxazole(SMX) on granular activated carbon(GAC) was evaluated in this study. The coal-based activated carbon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other carbons in adsorption of sulfonamide antibiotic compounds. The wood-based activated carbon was less effective than coconut- and coal-based carbon in adsorption nevertheless having larger pore volume and specific surface area than others carbons.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ies(X/M) of coal-based activated carbon for the five sulfonamide species was 1.3$\sim$1.5 and 1.8$\sim$2.1 times larger than coconut- and wood-based activated carbon, respectively. Carbon usage rates (CUR) of coal-, coconut- and wood-based activated carbons for SCP were 3.55 g/day, 4.29 g/day and 6.47 g/day, respectively.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adsorption of the rest four sulfonamide species. It is concluded that coal-based activated carbon could removed the sulfonamide antibiotic compounds better than other material-based activated carb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