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환자안전 문화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8초

상급 종합병원 종사자들의 융합형 환자안전 문화 인식 (Awareness about Convergent Patient Safety Culture of Health Professional Working in Tertiary Hospital)

  • 최선욱;전민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03-109
    • /
    • 2018
  • 최근 환자안전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환자안전 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의료계의 환자안전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융합되어 많은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다양한 직종의 의료종사자들의 환자안전 문화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고 유용한 지표로 활용되고자 시도하였다. 의료종사자 총 180명을 대상으로 부서(병동) 및 병원의 환자안전 문화 인식, 직속상관/관리자, 의사소통과 절차, 환자안전 사건보고, 가장 위험하다고 생각되는 환자안전 사고에 관해 평가한 결과, 부서(병동)의 환자안전 문화 인식 영역은 보건직, 직속상관/관리자 영역은 간호직이 높은 결과를 나타냈고, 방사선사와 물리치료사는 낙상, 임상병리사와 간호사는 검사 전 중 후 오류를 가장 위험한 환자안전 사고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환자안전 문화 인식을 높이기 위해 경영진 및 실무자는 적절한 인력 확보, 직원 간 또는 부서 간 협조 시스템 및 안전관리 활동에 필요한 동기 부여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환자안전역량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복합 연구 (The Effects of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and Patient Safety Competencies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Nurses)

  • 최은아;권영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281-288
    • /
    • 2019
  • 환자 안전사고는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고 의료서비스 질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환자안전관리활동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개 지역 병원 간호사 134명을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역량 및 환자안전관리활동을 조사하고 이에 따라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분석결과 환자안전문화 식은 평균 4.25/5점, 환자안전역량은 평균 4.37/5점, 환자안전관리 활동 정도는 평균 4.26/5점이었으며,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역량(r=.765, p<.001), 환자안전역량과 환자안전관리활동(r=.837, p<.001) 및 환자안전역량과 환자안전문화인식(r=.728, p<.001)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안전역량(β=.582, p<.001), 환자안전문화인식(β=.3632, p<.001), 직위(β=-.132, p=.009) 순이었다. 환자안전을 위해서는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을 강화하고 병원조직 차원에서 체계적인 교육과 지속적인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환자안전역량, 안전간호활동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ption about Patient Safety Culture, Patient Safety Competence, and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Emergency Room Nurses)

  • 김미정;김종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268-279
    • /
    • 2017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환자안전역량, 안전간호활동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9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1년 이상의 경력간호사 중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2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는 환자안전문화, 환자안전역량, 안전간호활동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은 5점 만점에 3.51, 개인차원의 환자안전 지식/태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환자안전역량은 5점 만점에 3.60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은 태도 3.91, 기술 3.47, 지식 3.24 순이었다. 안전간호활동은 5점 만점에 3.85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은 투약 간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안전간호활동과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r=.40, p<.001), 환자안전역량과 안전간호활동(r=.70, p<.001), 환자안전역량과 환자안전문화(r=.40, p<.001) 모두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환자안전역량, 안전간호활동에 차이를 보이는 특성 중 최근 1년 이내 안전교육을 받은 것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임상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안전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또한 환자안전역량의 하위영역 중 지식 영역의 점수가 가장 낮게 측정되어 환자안전 관련 지식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환자안전문화 인식에 따른 안전사고발생 (Safety Accident Occurrence to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of Hospital Nurses)

  • 이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17-124
    • /
    • 2012
  • 본 연구는 환자안전문화 인식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알아보고 환자안전문화의 관계를 파악하여 환자안전문화 프로그램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강원도에 소재하고 있는 종합병원의 간호사 1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1년 11월 10일부터 11월 15일 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평균 3.46점이었고, 세 가지 영역에서는, 병동의 환자안전문화 점수와 병원조직의 환자안전문화 점수 및 병동의 안전의식 수준의 점수는 각각 $3.59{\pm}0.3$점, $3.41{\pm}0.5$점, $3.41{\pm}0.4$점 이었다. 환자안전사고 발생은 간호사의 안전교육 경험과 병원근무 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환자안전문화 인식점수는 간호사의 결혼상태, 안전교육, 직무 만족도,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환자안전사고 발생은 간호사의 안전교육경험과 근무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환자의 안전사고발생은 간호사의 안전교육과 병동의 환자안전문화, 병원조직의 환자안전문화, 병동의 안전의식수과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환자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고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며, 간호사의 안전교육과 직업만족도를 증가시키고, 간호사의 건강상태를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중국동포 간병인의 환자안전문화인식 및 환자안전지식이 환자안전 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and Patient Safety Knowledge on Patient Safety Activities of Chinese-Korean Caregivers)

  • 김세영;노인선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29-139
    • /
    • 2021
  • 본 연구는 중국동포 간병인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지식이 환자안전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연구로 대상자는 중국간병인 102명이었다. 환자안전문화인식의 평균점수는 3.25점, 환자안전지식 평균 3.10점, 환자안전활동 평균 3.39점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한국어 말하기 능력은 환자안전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측인자로, 환자안전활동 변인을 45.8%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동포 간병인의 환자안전활동을 위해서 환자안전문화인식을 증진시키고 그들의 한국어 말하기 능력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동포 간병인의 환자안전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자료와 노인요양병원 돌봄 서비스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환자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리더십 워크라운드(Leadership WalkRounds)의 융복합적 적용 효과 (Effect of Leadership WalkRounds Convergence to Establish a Patient Safety Culture)

  • 이미향;김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6호
    • /
    • pp.185-195
    • /
    • 2015
  • 본 연구는 일 대학병원의 환자안전문화 정착을 위해 리더십 워크라운드(Leadership WalkrRounds, LWR)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한 후 의료직의 환자안전문화 인식정도를 비교한 것이다. 리더십 워크라운드는 미국 의료질향상 연구소(IHI)의 도구와 미시건 대학의 환자안전 라운드(Patient Safety Rounds, PSRs)를 기반으로 준비-일정계획-운영-보고-문제해결 5단계로 구성하였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0.9세, 방사선사가 55.2%, 간호사가 26.0%, 약무직이 18.8%였다. 중재 후 환자안전문화 인식 총점은 2.63점에서 3.36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약무직, 여자, 30대 및 근무경력 1년 이하 그룹에서 인식정도가 가장 많이 상승하였다. 환자안전문화의 모든 영역에서 인식정도가 유의하게 상승했는데(p<.001), 특히 안전사고보고영역(p<.001), 의사소통영역(p<.001)이 가장 많이 상승하였다. 새로운 형태의 리더십과 환자안전관리 개념의 융합으로 의료 질관리에 새로운 관리방안을 시도한 리더십 워크라운드는 의료인의 환자안전문화 인식 향상에 유용한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몰입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General Hospital Nurses)

  • 임선애;박민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259-270
    • /
    • 2018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몰입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는 2017년 8월 2일부터 8월 16일까지 종합병원 간호사 19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하였고, SPSS WIN Version 22.0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은 환자안 전문화인식과 조직몰입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영향요인은 환자안전문화인식, 조직몰입 및 환자안전교육 경험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3.3%였다. 따라서,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환자안전문화인식, 조직몰입 및 환자안전교육을 고려하여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텍스트마이닝 및 CONCOR 분석을 활용한 환자안전문화 융복합 연구주제 분석 (The Study on the patient safety culture convergence research topics through text mining and CONCOR analysis)

  • 백수미;문인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359-36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 마이닝 및 CONCOR 분석을 활용해 국내 환자안전문화 연구주제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자료수집, 데이터 전처리, 텍스트 마이닝과 사회연결망 분석, CONCOR 분석 단계로 진행하였으며, 2021년 9월1일 기준으로 '환자안전문화'의 주제어를 검색하여 중복된 논문과 본 연구 목적에 부합되지 않는 논문을 제외한 총 136편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텍스톰(Textom)과 UCINET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환자안전문화 관련 연구의 TF(빈도)는 환자안전(patient safety), TF-IDF(문서상의 중요도)는 간호(nursing) 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CONCOR 분석결과 환자안전문화를 구성하는 지식 및 태도, 커뮤니케이션, 의료서비스, 팀, 작업환경, 구조, 조직 및 경영의 총 7개의 클러스터가 도출되었다. 추후 환자안전문화 구축과 환자결과와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환자안전 문화에 대한 방사선사의 인식도 조사 (A Survey on Perception Level of the Radiological Technologist's about Culture of Patient Safety)

  • 전민철;김영일;장재욱;한만석;서선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423-430
    • /
    • 2014
  • 환자안전 문화에 대한 종합병원 방사선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방사선사의 환자안전관리를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 안전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환자안전 문화에 대한 종합병원 방사선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본 연구의 조사기간은 2012년 6월 13일부터 6월 20일까지 대전광역시 소재 5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들을 대상으로 19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SPSS 19.0v). 환자안전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부서 내, 직속상관, 의사소통, 의료사고, 병원 별, 환자안전도에 대한 안전문화와 보고된 사고, 위험하다고 느끼는 환자 안전사고, 가장 많이 발생한 환자 안전사고를 평가한 결과 의료사고 보고체계에 따른 환자안전 문화에 관한 인식에서는 근무기간 25년 이상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환자안전도 평가에서는 근무기간 10년~15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종합병원 방사선사의 환자안전문화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인력 배치, 환자안전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접근, 그리고 안전사고의 재발 방지를 위해 방사선사의 근무기간을 고려한 임무 부여 등으로 체계적인 의료사고 보고 체계를 활성 시켜야 할 것이다.

조직안전문화가 방사선사의 환자 안전에 대한 의식 및 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Analysis of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on Radiology Technologists Awareness of Patient Safety and Safety Behavior)

  • 김원태;김현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615-623
    • /
    • 2023
  • 본 연구는 조직 안전 문화가 방사선사의 환자 안전에 대한 인식도와 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진행된 연구이다. 연구는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진행하였으며 설문조사는 일반적 특성, 환자 안전을 위한 노력, 환자 안전 문화의 3개 요인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환자 안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나타내는 요인은 일반적 특성에서 연령, 업무경력, 업무에 대한 만족도가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고 성별이나 학력, 근무 형태는 환자 안전에 대한 인식도의 차이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포함되지 않았다. 환자 안전을 위한 노력으로는 병원의 지원 및 교육, 환자 안전 활동 및 오류에 대한 대응 방식 모두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오류에 대한 대응 방식이 다른 항목에 비하여 더 높은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환자 안전 문화는 팀워크와 개방적인 의사소통 두 가지 항목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 두 항목 모두 방사선사의 환자 안전에 대한 인식도와 높은 관련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