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환승연계성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초

대중교통 수단선택과 연계한 복합환승센터 내 보행자 최적경로 산정 (Computation of Optimal Path for Pedestrian Reflected on Mode Choice of Public Transportation in Transfer Station)

  • 윤상원;배상훈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45-56
    • /
    • 2007
  • 미래 사회로 갈수록 대중교통을 연계하기 위한 환승센터의 기능 및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환승센터 내에서 이용자를 대상으로 경로를 안내하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도로에서의 차량을 대상으로 한 최적경로에 관한 모형은 많이 제시되고 있는 반면 건물 내에서 보행자를 위한 최적경로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복합환승센터 내에서 승용차를 이용하는 개인이 지하주차장에서 환승센터 내 대중교통 수단 이용을 위한 승강장이나 상가 시설로 이동하는 최적의 경로를 제시할 수 있는 모형개발을 주요내용으로 하였다. 건물 내 최적경로 모형은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을 기본으로 하여 거리의 최소비용을 산정하고, 여기에 이동시간, 피로감, 쾌적도와 대기시간 등의 요소를 순위합, 산술합 방법 등을 통해 적용하여 객관성을 부가하였다. 또한 대중교통 수단의 이용자들의 성향이 반영된 Neuro-Fuzzy 모형을 통하여 환승센터 내 환승하는 이용자에게 최적의 교통수단을 제시하고, 그 해당 수단의 승강장까지 최적경로를 제시함으로써 모형의 효율성을 높였다. 마지막으로 가상의 시나리오들를 통하여 개발 모형의 효율성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개발모형을 통했을 경우 그렇지 않을 경우보다, 수직이동 경로차이의 시나리오에서 약 75%, 수평이동 경로차이의 시나리오에서 약 $24.5{\sim}107.7%$ 더 효율적으로 나타났다.

  • PDF

사용자 위치기반 환승정보서비스 개념모델 (A Conceptual Model for Location Based Public Transit Transfer Information Service)

  • 임정실;문영준;오영태;이철기;배명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12
    • /
    • 2008
  • 대중교통시설 및 수단간의 비효율적 교통연계에 따른 환승불편으로 인한 대중교통 이용률 저하와 국가 교통시설의 운영효율성 개선을 위하여 IT와 정보통신 등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대중교통 서비스 고급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위치기반 환승정보서비스를 제안하며 국가 ITS 아키텍쳐 개발방법론을 준용하여 사용자 위치기반 환승정보서비스를 위한 개념 및 요구사항 도출, 세부 사용자 서비스 정의, 서브시스템 도출, 논리아키텍척를 제시하였다. 환승교통센터와 주차유도 및 보행자경로안내서비스 서브시스템 논리아키텍쳐는 모바일 매체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 컨텐츠 개발과 ISP, TSP 등 Contents Provider의 비즈니스 모델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대중교통의 연계 환승은 도시규모나 대중교통 수단유형에 따라 각각의 특성이 차별화 되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대중교통 및 환승정보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유형의 서비스 모델 제시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적정연계환승체계를 감안한 역세권개발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ail Station-Influenced Area Development Combined with the Optimal Connection and Transfer Facility)

  • 정철;김시곤;김연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5D호
    • /
    • pp.519-52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역세권개발의 핵심요소로서 3가지를 제시하였다. 우선 역의 입지에 따른 주변토지이용, 철도노선 개수에 따른 역사유형, 역사개발방식을 고려한 역세권개발 유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다음은 역세권 개발이 성공하려면 역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역으로의 접근성을 판단하는 적정수준의 연계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역으로의 접근 후 승객이 편리하게 환승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하차 시설을 배치기준을 제시하였다.

상황인식기반 환승보행 유도안내서비스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Transfer Pedestrian Concierge Service Based on Context-Awareness)

  • 강경훈;이승택;오승;김황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1D호
    • /
    • pp.1-6
    • /
    • 2011
  • 최근 유비쿼터스 환경에 있어서 중요한 기반기술로 시간과 장소를 초월한 다양한 정보들을 종합적으로 연계하고 판단하여 사람은 물론 대상 개체들에게 가장 적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상황인식(Context-Awareness)에 대한 연구들이 다양한 영역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 중 하나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와 LBS(Location Based Services) 기반의 상황인식 시스템 개발에 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기술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일상 곳곳에 편재된 센서들이 수집한 각종 환경정보를 효과적으로 상호 공유하여 이용자와 주변 환경의 상황을 알아내고, 다양한 정보에 근거하여 환승센터를 이용하는 보행자에게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인식(Context Awareness) 기반의 환승보행 유도안내서비스를 개발하여, 환승을 목적으로 한 이용자의 혼란과 통행비용에 관한 경제적인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테스트베드 환경에서 서비스 프로토타입 자체 검증 결과 상황인식 정보수집 정확도는 90%정도였으며, 서비스 응답 신속성은 10초 이내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어 현재의 기술 수준으로도 충분히 서비스가 가능하였으며, 기반 인프라의 고도화에 따라 신뢰도 높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교통 연계 환승 시스템의 보행자 위치정보 수집을 위한 POI 기반 위치 보정 기술 연구 (A Study of Correcting Technology based POI for Pedestrian Location-information Detecting in Traffic Connective Transferring System)

  • 정종인;이상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84-93
    • /
    • 2011
  • 교통연계 환승센터를 이용하는 보행자에게 다양한 정보의 수집 및 가공을 통한 실시간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테스트베드(김포공항)의 통신환경 설계 및 효율적인 보행자 위치측위의 보정기술을 연구하였다. 통신환경 구축을 위한 설계는 환승 센터 구역에서 이용자에게 신뢰성이 보장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여야 한다. 또한, 위치 측위를 위해 고려 되어야 할 사항도 병행하여 검토해야 한다. 따라서 우리는 데이터 통신과 위치 측위 효율을 동시에 만족하는 통신환경 설계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효율적인 위치 측위 기술 적용을 위해 상용기술 기반의 실시간 위치 인식에 관련한 문제를 판단하고 문제를 해결하고자 새로운 접근 방법을 고안하여 테스트베드에 적용 및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전자지도상에 실제 건물이 가지고 있는 특성(구조물)을 인가하여 실제 환경과 최대한 흡사한 상황에서 무선접속점(AP: Access Point)을 위치시켰으며, 각각의 위치에서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통신환경 구축 설계를 수행하였다. 또한, 교통연계 환승 서비스에서 보행자 위치측위를 필요로 하는 주요지점(POI:Point Of Interest)을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해당 지점을 표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그 설정방법과 알고리즘에 대해서 테스트베드에서의 실험을 통해 얻어진 원시데이터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 수행하고 그 결과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고속철도와 연계교통수단간 연계성 지표 개발 (Development of Intermodal Connectivity Index for High-Speed Rail)

  • 김병관;하오근;신현주;김현구;왕연대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59-69
    • /
    • 2014
  • 국가 전체의 지속가능한 교통체계 확립을 위한 연계교통체계의 구축이 중요한 교통정책으로 대두되고 있고 철도 및 대중교통은 통행의 완결성 부족으로 인해 수단간 연계성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고속철도는 우리나라 교통체계의 획기적 변화를 가져왔고 고속철도역은 다양한 수단이 연계되어야 하는 중요한 교통 결절점으로 수단간 연계교통망 차원에서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고속철도역의 연계교통망 차원에서 고속철도와 연계교통수단의 연계기능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새로운 연계성 분석 기법을 제시하였다. 서울역, 부산역, 울산역, 신경주역을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였고 고속철도 역사내의 내부환승 시설을 제외한 고속철도역과 영향권내 기 종점간을 연결하는 연계교통수단의 세부 연계기능 지표를 조사 분석하였다. 구축된 자료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한 연계성 분석 기법을 제시하고 연계성 지표를 개발하였다.

서울시 자전거 보관소의 개선방안 -서울시 지하철 연계 환승 보관소를 중심으로- (A study on bicycle storage improvement in Seoul -Focusing on the bicycle storage in Seoul subway transit links-)

  • 박연경;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405-411
    • /
    • 2016
  • 서울시는 대체 교통수단으로서의 자전거 분담률을 높이기 위해 매년 자전거 이용시설정비 및 관리계획을 꾸준히 발표하고 있지만 지난 10년간의 자전거 분담률은 거의 제자리에 머물렀고 이용객들은 여전히 관련 시설물 이용에 불편을 겪고 있다. 이런 문제점은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과의 연계 교통수단으로서의 자전거 활용도를 떨어트리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자전거 분담률이 높은 선진국, 네덜란드, 독일, 일본의 사례를 분석하고 환승 이용객 수가 많은 서울시 지하철역인 신도림역의 사례와 비교하여 적용 가능한 해결 방안을 살펴보았다. 독일, 네덜란드의 사례에서는 지하철 환승객에게 자전거와 대중교통의 연계를 돕고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는 자전거 주차 시스템을 살펴보았고, 일본의 사례에서는 지하 매립형 타워 형태의 자전거 주차장 등과 같은 협소한 공간에 많은 자전거 수용이 가능하며 보안의 측면이나 접근성 또한 우수한 새로운 보관소의 형태를 살펴보았다. 서울시의 자전거 분담률을 높이기 위해서 시설의 양적 증가보다는 현재 시설물의 사용성 문제를 파악하고 사용자 관점에서 접근하여 주차시설에 대한 서비스와 형태적인 해결방안이 요구된다.

지반응력 및 지하수위 변화가 지하철구조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Effects on Underground Structure due to Changes in the Groundwater Level and Ground Stress)

  • 정지승;이선길;이규영;정해욱;김홍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9호
    • /
    • pp.13-21
    • /
    • 2015
  • 최근 도심지에서는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지반침하 및 싱크홀이 다수 발생함에 따라 안정된 지하수위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의 지하수위 및 유효응력의 변화가 지하철구조물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버스환승센터 조성 구간 부지 하부로 통과하는 지하철구조물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하철구조물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수행된 연계해석 및 구조해석 결과 지하수위 저하에 따른 구조물의 안정성은 확보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같이 도심지 터파기 시공 전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지반거동 및 인접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검토하고 예측하여 효율적인 공사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수도권 지하철 길 찾기 정보 디자인 연구 -연계버스안내를 중심으로- (A study on way-finding information design of Seoul metropolitan subway -Focused on Bus transfer information-)

  • 윤소희;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425-430
    • /
    • 2016
  • 본 연구는 이용자들이 지하철 하차 후, 환승 버스정류장까지 올바르게 길을 찾을 수 있도록 연계버스안내의 정보 디자인을 개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진행하였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정보 디자인과 길 찾기 정보 디자인에 대한 정의와 길 찾기 정보의 가장 효과적인 전달 방법을 알아보았다. 둘째, 국내외 사례조사로 문제점의 개선방안을 고찰하였다. 셋째, 쌍대비교법으로 길 찾기 지도를 평가하고, 인터뷰를 통해 이용자 요구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연계버스안내도의 활자 크기와 글자 간의 간격 그리고 일관성이 없는 정보와 표기로 정보 전달에 문제가 있었고, 다음과 같은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정보구성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심벌을 활용하여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활자는 최소판독 가능 거리 식으로 값을 산출하고, 색상은 바탕색과 글자색의 명도 대비를 70% 이상으로 적용하여 가시성을 높인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공공장소를 위한 정보 디자인의 개선과 발전에 도움이 되는 참고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대중교통 접근성이 카셰어링 이용수요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ublic Transit Accessibility on the Car-sharing Use Demand)

  • 김숙희;이규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11
    • /
    • 2016
  • 본 연구는 카셰어링의 대중교통 접근성이 카셰어링 이용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원시에서 운영 중에 있는 그린카의 대여이력 데이터베이스와 대중교통 GIS DB를 활용하여 카셰어링 대여소별로 대중교통 접근성에 따른 카셰어링 이용수요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카셰어링 대여소로의 접근수단은 도보가 73%로 가장 많으며, 자전거 3%, 버스와 도시철도는 20%로 나타났다. 버스와 도시철도의 접근성이 반영된 카셰어링 이용 모형의 적합도는 0.818로 대중교통 접근성은 유의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즉, 카셰어링의 대여소는 대중교통과의 환승이 용이한 장소에 설치되는 것이 보다 이용수요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대중교통 수단 중 버스 접근성은 유의한 변수로 확인된 반면, 도시철도 접근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타 대중교통 수단과의 상호 이용수요 증진 측면에서 도시철도와 카셰어링간의 원활한 연계를 위한 환승할인 및 편도 반납 정책 등 다양한 보완적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카셰어링에 대한 기초적 연구에 불과하지만, 대중교통간 환승수요를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