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환승역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2초

보행환경개선에 따른 환승역 보행행태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Walking Behavior in Transfer Stations after the Improvement of Walking Environment)

  • 박지환;오승훈;이종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3D호
    • /
    • pp.189-196
    • /
    • 2012
  • 지난 50여 년간 고도의 경제 성장은 급격한 자동차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자동차 증가는 도시 내에서 도로혼잡, 교통사고, 환경오염,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켜, 결국 교통의 주체인 사람이 피해를 보게 되는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로 인해 녹색교통, 특히 보행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중 보행 관련시설의 설치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보행시설이 잘못 설계될 경우, 보행의 쾌적성과 안전성을 저하시킬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본 연구는 기존 지하철 환승역 내에서 조사된 보행자의 움직임을 마이크로하게 추적, 분석하여 보행동선의 문제점을 찾아 대안들을 제시하며, 대안들의 시행 전과 후의 보행환경의 변화를 추정한다. 이때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는 유럽에서 통용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적용이 미흡한 SimWalk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또한 이 프로그램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국내 적용 가능성을 진단하였다. 이와 같은 시뮬레이션의 이용은 개선 대안의 시행 전에 면밀한 사전 비교 분석을 가능케 하여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중 교통망의 네트워크 신뢰도에 관한 지리학적 분석 -서울시 지하철망을 대상으로- (Geographical Analysis on Network Reliability of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A Case Study of Subway Network System in Seoul)

  • 김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87-205
    • /
    • 2009
  • 최근 지리학 및 교통 관련 분야에서는 교통 네크워크의 잠재적 손실이 지리 공간상에서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살피는 연구가 중요한 주제로 등장하고 있다. 서울의 지하철망은 대규모의 도심 통행을 지지히는 중요한 기반시설이며, 특히 환승역은 그 기능을 상실할 경우 전체 교통망의 신뢰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교통 입지시설이다. 이 논문은 지하철 환승역의 기능 손실이 지하철망의 신뢰도과 대응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네트워크의 위상학적인 차원, 전체 지리 공간, 그리고 개별 환승역 차원에서 살펴본다. 시뮬레이션을 통한 분석 결과, 서울 지하철망은 상당히 높은수준의 네트워크 신뢰도를 보였으나 환승역 간에는지리적으로 유의미한 변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시철도 고객서비스 만족을 위한 역 특성요소의 표준화 관리방안 (A Standardized Management Plan on the Characteristic Factor of Station to Meet a Customer Service in the Urban Transit)

  • 강태수;김성호;배경석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300-305
    • /
    • 2012
  • 도시철도 이용고객이 요구하는 수요와 도시철도가 제공하는 공급인 '절약된 시간'은 상시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요소로는 통행량, 고객접점시설물, 장애건수, 고객민원(VOC), 고객이동시간, 환승역 여부로 선정하였다. 또한 각 특성요소별로 등급을 차별화시켜 5,6,7,8호선 전 역사의 종합등급을 산출하였다. 이는 특성이 상이한 역사를 차별화시키고 맞춤형 서비스의 기준을 표준화시킨 것이다. 아울러 표준화 실행의 일환으로서 인적,물적관리의 개선을 위해 시설물 관리 표준화 도면을 작성하였다. 도면에는 역 특성요소 등급 및 종합평가 등급을 표기하고, 고객의 주요 이동동선, 안전사고 발생개소 등을 도면화하였다. 결론적으로 역사의 차별화된 관리 및 점검효과의 극대화를 체질화함으로서 고객의 신속한 이동보장, 이동시간 단축 등 고객서비스 만족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자 한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서울시 지하철 지연 분석 (Seoul Subway Delay Analysis through Big Data Analysis)

  • 박수민;백재순;김성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4년도 제6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2권1호
    • /
    • pp.153-155
    • /
    • 2024
  • 본 논문은 진접선 개통 이후 급증하는 서울 지하철 4호선의 혼잡 문제와 현재 진행 중인 장애인 차별 반대 시위를 다룬다. 네이버의 지도 API를 활용해 위도와 경도 데이터를 추출하고 지하철 노선별 장애인 승객 수와 최대 지연시간을 시각화한다. 2호선과 4호선의 혼잡도가 표시되어 문제의 심각성을 알 수 있다. 평균 출퇴근 시간 탑승 및 하차 수치를 분석하여 4호선 편의시설 개선, 2·4호선 열차 운행 횟수 늘리기, 환승역 운영 최적화 등 전략적 권장 사항을 제시한다. 제안된 대책은 서울시 지하철 시스템의 접근성 향상, 혼잡완화, 전반적인 효율성 제고를 통해 보다 폭넓은 교통시설 개선과 승객 편의 증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PDF

지하공간의 구성요소 및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 대구지하철2호선 반월당 메트로센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onent and Interior Design of the Underground Space - Focused on the Banwoldang Hetero Center of the 2 Subway Line in Daegu -)

  • 김완준;이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63-172
    • /
    • 2006
  • The underground space of the Banwoldang in Daegu is the private enterprise historical development project that Daegu City & The forth construction company of the Samsung, Kolon, Daewoo, Hwasung promote, and take a role as the underground bridgehead that links east and west of the Daegu as the lunction of the 2 subway line. Accordingly, the underground space of the Banwoldang in Daegu have a import significance in that not only the alternative of the solution about the simple commercial formation or the limited ground but also compose the important axis of the city develoment. But, When I see the variety of problems, especially see the negative import in Daegu, the solution of the problems is the large underlying cause that revitalize the city. Consequently, in the study I would lik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rge underground space and the directivity of the interior design, to assistant for the develement plan of the more safe, comfort underground space.

장소지시단서로서 지하철 노선색 활용에 관한 연구 - 서울과 홍콩의 지하철환승역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nvironmental Applications of Subway Line Color as Place Indicating Cues - Focused on Subway Transfer Stations of Seoul and Hong Kong -)

  • 박혜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229-238
    • /
    • 2009
  • Currently, subway is becoming a major part of transportation and living environment in large cities such as Seoul or Hong Kong. As the numbers of subway lines and stations increase, visual cues indicating places are needed for users with various destinations, and environmental colors as well as line colors can be expected as effective informations for easy wayfin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color applications in terms of creating regional differentiation and informing subway lines in the transfer stations of Seoul and Hong Kong, by field investigation. The investigation has been proceed on 24 transfer stations from February to April, 2009 by taking photos and measuring environmental colors using Minolta spectrophotometer CM-2600d. As a result, regional differentiation in color application appeared generally low in both Seoul and Hong Kong but various 'hues' differing each station are used in Hong Kong, compared to limited use of 'hues' in Seoul, In terms of 'value', the rate of Seoul appeared lightly higher than that of Hong Kong, and the use of medium high rate of 'saturation' of main and secondary colors are shown as a remarkable character of Hong Kong.

기술적 해결을 통한 위험관리의 가능성과 한계: 지하철 스크린도어를 중심으로 (The Possibility and Limit of Risk Management through Technological Fix: A Case Study into the Platform Screen Door (PSD))

  • 강윤재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77-105
    • /
    • 2010
  • 이 글은 지하철 위험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스크린도어를 대상으로 "기술적 해결"(technological fix)의 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하고 있다. 지하철 위험은 그 유형에 따라 모두 다섯 종류―"전철운행 사고", "역사 내 사고", "승강장 사고", "지하의 공간적 위험", "범죄 및 테러의 위험"―로 분류할 수 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궤도와 역사의 접촉면에 위치한 승강장에서 발생하는 승강장 사고이다. 스크린도어는 승강장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술적 수단으로 여겨진다. 여기에는 사고를 기술적 수단을 통해 해결하려는 기술적 해결의 이데올로기가 강하게 작용한다. 신설되는 역이 아니라 기존 역의 승강장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하는 것이 세계적으로 유래를 찾기 힘든 경우라는 사실이 이를 잘 보여준다. 스크린도어는 현실적 수단으로서 가시적 효과를 낳았지만 예상치 못한 비가시적 위험을 가중시킨 측면도 없지 않다. 승강장 내부, 특히 출퇴근 환승역 승강장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스크린도어는 승객의 탈출로를 차단하는 "통곡의 벽"으로 돌변할 수 있다. 기술적 해결에 대한 지나친 기대와 의존은 금물이며, 그 한계에 대한 성찰이 요구되는 이유이다.

  • PDF

지하철 환승공간에서 경로탐색(wayfinding)을 위한 시환경 지각 요소에 관한 연구 - 지하철 사당역, 서울역, 종로3가역, 공덕역을 중심으로 - (Visual Performance Evaluation Study of Wayfinding Factors in Subway Transfer Station - Focus on the Sadang Subway Station, Seoul Subway Station, Jongro3-ga Subway Station and Gongduck Subway Station -)

  • 송현지;김남효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167-177
    • /
    • 2013
  • The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should be taken into full consideration in order to make the use of ground space as comfort and efficient as that of ground space. The visual environmental factors which provide visual informations in underground spaces where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can be acquired only by the surroundings expand their role as affordance for wayfinding. This study focuses on the visual performance evaluation of wayfinding factors on the subway transfer station platform and aisle as major space for movement in four subway transfe stations and analyzes the material, pattern, color, and lighting provided by the visual environment in underground space as directional marked label, regional differentiation and sign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omes are as follows. First, As to the directional marked label at the subway platform and transfer aisle, following patterns are colors, finishing materials and lighting for the sake of safety and convenience, And regional differentiation, following colors are patterns for the space division. Finally sign system which practically provides the most information, however, it is most insufficient to be a space-preception element. Second, According to the type of platform structures, such as an island platform and a separate platform, the main areas of and necessity for the space-perception elements may bring about changes. Third, these four stations that has been analyzed for this study, lighting, compared with color, finishing material and pattern, has been highly insufficient to be a perception element.

스마트폰 서버 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 버스운행정보시스템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Bus Information System(SBIS) based on Smartphone Server Network)

  • 문재영;임광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458-465
    • /
    • 2013
  • 기존의 버스정보시스템(BIS)은 주로 공급자 중심의 운영 및 관리체계로 시설도입과 전국 확산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지하철 역, 버스정류장, 환승역 등과 같은 주요 교통지점에 GPS 단말기, Windows CE, Win XP embeded 및 LCD 패널로 구성된 하드웨어 장비를 설치하여 일방향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시스템 운용 및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과 인력이 소요된다. 본 연구는 GPS 단말기 및 기타 하드웨어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스마트폰과 데이터 서버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저비용으로 운용 및 유지보수가 가능한 버스운행정보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은 하드웨어 장치를 이용한 대도시권의 버스운행정보시스템보다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도심 외곽 지역 및 지방 중소 도시에 서비스할 수 있으며, 기능상으로는 운행노선 디자인 기능, 노선 지도상의 실시간 위치표시 및 운행 통계분석 기능 등 제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면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