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환승센터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6초

지하철역 환승구간 내 시각정보체계 개선 제안 -신도림역 행선안내서비스를 중점으로- (Suggestions of Improvements on Visual Information System in Subway Transfer Station -Mainly with Service for Destination Information in Sindorim Station-)

  • 인선아;최종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2-20
    • /
    • 2015
  • 지하철은 도시대중교통의 대표적인 이동수단이며 교통체증 없는 빠른 이동으로 복잡하고 밀집된 도시이동에 적합하다. 서울 지하철은 1974년 개통 이래 현재까지도 수도권과 외곽지역에 노선을 증축중이며 이로 인해 환승역과 환승구간이 늘어나 지하철역 이용이 나날이 복잡해지고 있다. 유동인구가 많고 동선이 겹치는 환승역에서 빠른 이동과 정확한 열차이용을 위해 역사 내에서 제공하는 시각정보체계는 매우 중요하며, 지하철 이용경험이 없는 사람일지라도 관련정보를 쉽게 제공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시각정보체계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서비스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평소 유동인구가 많고 1,2호선의 집결지인 신도림역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선행연구와 정성적 조사를 통해 환승공간에서 이용자의 행태와 인지특성을 통해 1호선 환승센터와 승강장에서의 열차정보이용이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를 근거하여 방향성 있는 유도사인을 통해 동선을 제시하고 즉각적인 안내정보의 피드백과 대중교통 초보도 이용하기 쉬운 신도림역 정보제공 서비스를 제안함으로써 지하철 사용경험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버스 동시환승체계의 적용과 효과분석 (Timed-Transfer System: its Application and Effects on Bus Transit System)

  • 신용은;남혜경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5D호
    • /
    • pp.617-625
    • /
    • 2008
  • 중소도시의 경우 저밀도 지역의 만연과 산재한 통행 기종점으로 인해 양질의 대중교통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동시환승체계는 이 같은 지역에 적절한 대중교통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운행계획이 수립된 노선망으로, 도입 시 서비스 제고와 운행효율성 증대 등 다양한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동시환승체계의 현실적 적용을 위한 접근방법론 제시와 도입 시 발생 가능한 기대효과의 파악과 분석을 목적으로, 동시환승체계의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고 구축의 방법론적 접근법을 제시하였고, 전형적인 저밀도 지역인 양산시의 기존 시내버스 노선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양산시의 양산시외버스터미널을 통과하는 11개 시내버스 노선을 양산터미널을 환승지점으로 동시환승체계를 구축하였다. 그 결과 노선 간 환승시간이 크게 감소하였고, 기존 차량대수를 유지함에도 불구하고 높은 빈도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지는 등 서비스 질이 개선 되었다. 또한 기존 노선망의 서비스 권역을 그대로 유지함에도 불구하고 노선단축 등으로 인한 총 운행거리와 요구차량대수가 감소하는 효과도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사한 문제에 처한 여타 도시에 적용이 가능하며, 계획가와 정책가에게는 노선 구축을 위한 지침과 정책결정의 근거를 제공할 것이다.

교통 연계 환승 시스템의 보행자 위치정보 수집을 위한 POI 기반 위치 보정 기술 연구 (A Study of Correcting Technology based POI for Pedestrian Location-information Detecting in Traffic Connective Transferring System)

  • 정종인;이상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84-93
    • /
    • 2011
  • 교통연계 환승센터를 이용하는 보행자에게 다양한 정보의 수집 및 가공을 통한 실시간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테스트베드(김포공항)의 통신환경 설계 및 효율적인 보행자 위치측위의 보정기술을 연구하였다. 통신환경 구축을 위한 설계는 환승 센터 구역에서 이용자에게 신뢰성이 보장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여야 한다. 또한, 위치 측위를 위해 고려 되어야 할 사항도 병행하여 검토해야 한다. 따라서 우리는 데이터 통신과 위치 측위 효율을 동시에 만족하는 통신환경 설계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효율적인 위치 측위 기술 적용을 위해 상용기술 기반의 실시간 위치 인식에 관련한 문제를 판단하고 문제를 해결하고자 새로운 접근 방법을 고안하여 테스트베드에 적용 및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전자지도상에 실제 건물이 가지고 있는 특성(구조물)을 인가하여 실제 환경과 최대한 흡사한 상황에서 무선접속점(AP: Access Point)을 위치시켰으며, 각각의 위치에서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통신환경 구축 설계를 수행하였다. 또한, 교통연계 환승 서비스에서 보행자 위치측위를 필요로 하는 주요지점(POI:Point Of Interest)을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해당 지점을 표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그 설정방법과 알고리즘에 대해서 테스트베드에서의 실험을 통해 얻어진 원시데이터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 수행하고 그 결과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복합환승센터의 도시 공원화 방안 연구 : 도봉산역 복합환승센터를 중심으로 (A Study on Designing a Transfer Center as an Urban Park : With the Case of the Dobongsan Station P & R)

  • 이성민;정욱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4-123
    • /
    • 2009
  •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discuss the public value which inevitably required in the relation between city and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nd to suggest a public space at a transfer center which is a new type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There has been little discourse on the public value of existing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Through this study. re-think of urban infrastructure from landscape architectural point of view will be examined. Through this study, three main considerations will be reflected in designing a transfer center, First, in a broad context, possibility of landscape architectural access toward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should be considered. Secondly,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fer center system will be reflected on design process. Lastly, by analysing the site context of Dobongsan station P&R, design issues will be emerged.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s a field of urban life where people gather, exchange and do diverse activities. Design of transfer center through landscape architectural approach will be a meaningful reaction to the needs of public space in the urban infrastructures.

대도시권 대중교통 환승센터의 이동편의시설 서비스수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 new Level of Service (LOS) for a pedestrian facility in a transportation transfer center)

  • 김성은;김시곤;장병만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68-1776
    • /
    • 2007
  • This paper suggests a new Level of Service (LOS) for a pedestrian facility in a transportation transfer center. They include the road, stair, and waiting place for a pedestrian. A current situation of several pedestrian facility was surveyed for the existing transportation transfer center at both Seoul and Pusan metropolitan cities. A new LOS was developed based on the output according to foreign criteria as well as an interview of pedestrians for their satisfaction.

  • PDF

사용자 위치기반 환승정보서비스 개념모델 (A Conceptual Model for Location Based Public Transit Transfer Information Service)

  • 임정실;문영준;오영태;이철기;배명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12
    • /
    • 2008
  • 대중교통시설 및 수단간의 비효율적 교통연계에 따른 환승불편으로 인한 대중교통 이용률 저하와 국가 교통시설의 운영효율성 개선을 위하여 IT와 정보통신 등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대중교통 서비스 고급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위치기반 환승정보서비스를 제안하며 국가 ITS 아키텍쳐 개발방법론을 준용하여 사용자 위치기반 환승정보서비스를 위한 개념 및 요구사항 도출, 세부 사용자 서비스 정의, 서브시스템 도출, 논리아키텍척를 제시하였다. 환승교통센터와 주차유도 및 보행자경로안내서비스 서브시스템 논리아키텍쳐는 모바일 매체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 컨텐츠 개발과 ISP, TSP 등 Contents Provider의 비즈니스 모델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대중교통의 연계 환승은 도시규모나 대중교통 수단유형에 따라 각각의 특성이 차별화 되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대중교통 및 환승정보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유형의 서비스 모델 제시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복합환승역사 통행자 기반 통합 모빌리티 평가 기법 개발 (Methodology for Assessing an Integrated Mobility of the Passenger Passing through Intermodal Transit Center)

  • 유소영;김경태;정은비;이준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2-28
    • /
    • 2017
  • Mobility 4.0으로 일컬어지는 교통서비스의 핵심은 유연성 있는 모빌리티 구현이며, 이를 위해 수요-공급을 실시간, 유기적으로 이어줄 수 있는 플랫폼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즉, 교통 정보 혹은 통합 모빌리티를 빅데이터 기반의 표준화 및 상시 업데이트가 가능한 DB로 구축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분석 체계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행 통행을 포함하는 복합환승역사와 이를 기반으로 통행 전주기로 확장하여 분석하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복합환승역사를 이용하는 통행자 중심의 통합 모빌리티 분석 체계를 3단계로 구성하여, Data Repository 생성 모듈, 통합 모빌리티 분석 모듈, 공간 정보를 융합한 결과해석 모듈로 정의하였다. 철도 및 광역버스 환승역사(사당, 신도림, 교대, 광화문, 삼성, 강남, 잠실) 7개 역사를 분석 대상 역사로 지정하여 사례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대상 역사는 통계적 유의성에 근거하여 3개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자료 기반으로 한 통행 전주기 분석과 해석을 통해 보다 다양하고 체계적인 복합환승역사 분석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복합환승센터의 시설설계를 위한 수요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mand calculation for facility design of Complex Transfer Center)

  • 김연웅;조창희;김시곤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22-729
    • /
    • 2010
  • Deciding peak-time demand will be most important factor to decide facilities' capacity of complex transfer centers. Concentration of demand is growing more and more in urban railroad that has 3 minutes headway by using MOE of 15 minutes demand. It is far from reality. Moreover there are various demand and reflection of business facilities' demand and commerce facilities' demand is being requested in complex transfer centers. This study focused on it and suggested demand calculation method about facility design of complex transfer centers.

  • PDF

공간정보와 통합 스마트카드 자료를 활용한 도시철도 역사 보행 기종점 분석 기법 개발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Estimating Pedestrian OD Matrix Using Spatial Information and Integrated Smart Card Data)

  • 정은비;유소영;이준;김경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09-422
    • /
    • 2017
  • TOD (Transit-Oriented Development)는 대중교통 중심의 복합기능을 가진 집약적인 도시구조이며, 미래지향형 지속가능한 도시를 유지하기 위해 제시되는 개념이다. 최근 도시철도 역사를 중심으로 복합 환승센터 개발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으며, 사업의 규모와 복잡성으로 인해 보다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분석을 통한 계획과 유지관리 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와 통합 스마트카드 자료를 활용하여 도시철도 역사 보행 기종점 추정을 위한, 표준화된 분석 절차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삼성역 사례 분석을 통해 제시된 분석 절차 및 방법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분석 절차는 자료 수집 기술과 빅데이터 DB 분석 기법 발전에 따라 유기적 확장 가능한 분석 환경을 마련하였다는 데 큰 의의를 가진다.

지반응력 및 지하수위 변화가 지하철구조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Effects on Underground Structure due to Changes in the Groundwater Level and Ground Stress)

  • 정지승;이선길;이규영;정해욱;김홍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9호
    • /
    • pp.13-21
    • /
    • 2015
  • 최근 도심지에서는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지반침하 및 싱크홀이 다수 발생함에 따라 안정된 지하수위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의 지하수위 및 유효응력의 변화가 지하철구조물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버스환승센터 조성 구간 부지 하부로 통과하는 지하철구조물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하철구조물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수행된 연계해석 및 구조해석 결과 지하수위 저하에 따른 구조물의 안정성은 확보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같이 도심지 터파기 시공 전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지반거동 및 인접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검토하고 예측하여 효율적인 공사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