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행정

Search Result 1,24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Using Presidential Archives for the Free Learning Semester (자유학기제에 적용가능한 대통령기록물 활용 교육프로그램 개발)

  • Song, Na-Ra;Lee, Sung Min;Kim, Yong;Oh, Hyo-Jung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51
    • /
    • pp.89-132
    • /
    • 2017
  • The presidential records reflect the era of the times, and it has valuable evidence to support the administrative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of government operations. People's interest in the presidential records increased in response to its recent leak. The presidential archives were moved to Sejong in line with its desire to provide public-friendly services. This study will help users access the archives and utilize archiving inform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introduced the free learning semester, which all middle schools have began conducting since 2016. The free learning semester provides an environment where education can be provided by external organizations. As middle school students are still unfamiliar with archives, the free learning semester provides a good environment for accessing archives and records. Although it serves as an opportunity to publicize archives, existing related studies are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free learning semester program using the presidential archives and records for middle school students during the free learning semester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archives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shows a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program using presidential archives and record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domestic and foreign case analysis, and expert interview.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is research understood the definition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as well as its types. In addition,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four types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linked to the presidential archives. Second, through website analysis and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this research investigated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the education program. A total of 46 education programs of institutions were analyzed, focusing on student-led education programs in the foreign archives as well as the education programs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in domestic libraries and archives. Thir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four types of free learning semester education programs using the presidential archives and records, and provided concrete examples.

An Analysis of Infrastructure and Provision of Forest Welfare Service in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노인요양시설의 산림복지서비스 인프라 및 제공 실태)

  • Lee, Insook;Kim, Sungjae;Bang, Kyung-Sook;Yi, Yunjeong;Kim, Miju;Moon, Hyojeong;Yeon, Poung Sik;Ha, Ei-Yan;Chin, Young Ran
    •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 /
    • v.22 no.4
    • /
    • pp.59-69
    • /
    • 2018
  • This is a cross-sectional study that suggests ways to activate forest welfare services (FWS) by investigating the infrastructure, service status, and perception on FWS in Korea. In August 2016, a structured email survey was conducted in nation widely. The respondents were mostly directors and general secretary (75.0%). The considerable number (16.3%) of nursing homes (NH) use some floors of the complex buildings that would be difficult to have FWS infrastructure and about 30% of those without forests near the facilities. The directors of NH recognize that FWS has positive effects on the elderly. However, FWS is not an requisite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benefit, and so costly and effort-intensive that FWS has not been activated so far. In order to activate FWS in NH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seminate the guidelines on FWS that anyone can easily followed. In addition, whe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evaluates NHs, they should evaluate not only whether there is a wandering or walking space, but also whether it has forest healing factors such as forests. It is also necessary to create a barrier-free environment both inside and outside of NHs, increasing accessibility to the toilet in gardens, paving a passage for wheelchairs and lifts in forests near NHs. Through these efforts, it is expected that FWS will be activated to provide physical, mental rest and comfort, appropriate cognitive stimulation to the NH residents at the end of life.

1970 UNESCO Convention on the Illicit Trafficking of Cultural Property and its Legal Implementations in the Republic of Korea (문화재 불법 거래 방지에 관한 1970년 유네스코 협약의 국내법적 이행 검토)

  • Kim, Jiho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3 no.4
    • /
    • pp.274-291
    • /
    • 2020
  • This year is the 50th anniversary of the adoption by UNESCO in 1970 of the Convention on the Means of Prohibiting and Preventing the Illicit Import, Export, and Transfer of Ownership of Cultural Property (the '1970 Convention'). Since its ratification of the 1970 Convention in 1983, the Republic of Korea has domestically implemented the Convention through its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which was first enacted in 1962. This is a different form of implementation than is normally used for other UNESCO Conventions on cultural heritage, in that the Republic of Korea has recently adopted special acts to enforce the 2003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he 1972 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In addition, the 1970 Convention has been developed further through the introduction of new Operational Guidelines in 2015 for the concrete enforcement of the Convention, which has provided momentum for the Republic of Korea to analyze its current national legislation related to the 1970 Convention as well as consider its amendment in the future. Overall,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of the Republic of Korea effectively reflects the duties of States Parties under the 1970 Convention. These include measures to introduce export certificates, prohibit the import of stolen cultural property, return other state parties' cultural property, and impose penalties or administrative sanctions in the event of any infringements. Indeed, the Republic of Korea's implementation of the 1970 Convention was introduced as an example of good practice at the Meeting of State Parties in 2019. However, changes in the illegal market for cultural property and development of relevant international law and measures imply that there still exists room for improvement concerning the legal implementation of the 1970 Convention at the national level. In particular, the Operational Guidelines recommend States Parties to adopt legal measures in two respects: detailed criteria for due diligence in assessing bona-fide purchasers, referring to the 1995 UNIDROIT Convention on Stolen or Illegally Exported Cultural Objects, and measures to address the emerging issue of illegal trade in cultural property on internet platforms. Amendment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nd other relevant law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duly reflect these issues. Taking that opportunity, concrete provisions to facilitate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respect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1970 Convention could be introduced as well. Such measures could be expected to strengthen the Republic of Korea's international legal cooperation to respond to the changing environment regarding illicit trafficking of cultural property and its restitution.

A Study on the Use of Scientific Investigation Equipment to Support Decision-making of the Resident Evacuation in the Event of a Chemical Accident (화학사고 발생에 따른 주민대피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과학조사장비 활용방안 연구)

  • Oh, Joo-Yeon;Lee, Tae Wook;Cho, Kuk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8 no.6_3
    • /
    • pp.1817-1826
    • /
    • 2022
  • After the hydrogen fluoride leak in Gumi in 2012, the government has been systemizing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such as responding to and managing chemical accidents. In particular,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MOIS) is in charge of evacuation of residents following chemical accidents based on the Framework Act on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In this study, an application plan was presented to support and utilize the decision-making support for evacuation of residents after a chemical accident using the chemical accident investigation equipment of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NDMI). In the equipment operation system for scientific information collection due to chemical accidents, the roles and purpose of use of long/short distance measurement equipment were presented according to regular and emergency situations. Using the data acquired through long/short distance measurement equipmen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sident evacuation decision-making by monitoring whether chemicals are detected in an emergency and managing data on detected substances by company in a regular situation. As a result of measuring chemical substances in order to verify on-site usability by equipment only for the regular operation system, it was confirmed that real-time detection of chemical substances is possible with long distance measuring equipmen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ecessary to check the measurable distance and range of the equipment in the future. In the case of short distance measurement equipment, hydrocarbon-based substances were mainly detected,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measured at a higher level in Ulsan-Mipo National Industrial Complex than in Onsa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support decision-making in the event of chemical accidents through continuous data construction in the future.

Trends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Research in Korea (우리나라 예비 과학교사 교육 연구의 동향)

  • Lee, Gyeong-Geon;An, Taesoo;Mun, Seonyeong;Hong, Hun-G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2 no.1
    • /
    • pp.127-147
    • /
    • 2022
  • Pre-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is important to elaborate the quality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in schools. Therefore, many pre-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researches have been done in Korea. However, almost no research has comprehensively reviewed those literatures including secondary teacher education context. This study reviewed 410 pre-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researches in Korea, from 1995 to 2021 published by 17 journals in KCI. The trends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article according to period, keyword frequency, and qualitative features. The qualitative features were coded in multiple aspects of pre-service teachers' type, major, subject-matter in research context, research approach, data type,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has increased by about 40 for every 5-year period. JKASE has published most articles, and the diversity of journals has increased since 2010. Keyword frequency revealed that scientific concepts, science teaching efficacy, nature of science, and other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s were emphasized. In qualitative features, the most frequent pre-service type was secondary in 'general' science context. For research topic,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perception and cognitive domain' were the most frequent. Most of the articles have 'analyzed' the phenomena or consequence of educational issue. Most research was conducted with 11 to 30 participants. These patterns of qualitative features have differed according to period, and types of pre-service teacher. Suggestions for the future pre-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research topic were explored, such as policy-administrative research, integrated science teacher education, teacher agency, and environmental education.

Health Promotion Through Healthy People 2010 ("2010년대 건강한 시민" 정책을 통한 미국의 건강증진 방향)

  • Cho, Jung 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4.10a
    • /
    • pp.17-58
    • /
    • 2004
  • 뉴저지주 보건교육/건강 증진정책을 논하기전에 건강증진과 보건 교육사의 뜻을 먼저 기술하기로 한다. 건강증진이란 일상 사회생활과 행동과학의 응용에서 시작하며 교육의 효율적 작전 및 기술, 질병 역학 조사, 개인 및 가족단위 건강 위해 행위 절감, 사회연관 구축망 조성, 그리고 적게는 이웃, 더 나아가 조직체계 및 지역 사회의 네트웍 실시등을 실시한다.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 전문가란 ' 전국 보건교육 인증 위원회(NCHEC) ' 에서 채택된 다음 7개 활동 영역에서 개인적, 그룹, 각주단위, 그리고 범 국가적 조직에서 종사하는자로 한다. 개인 및 지역사회 보건 교육 필요성 분석- 계회, 실행, 효율성 평가, 사업 진행 조정, 자문, 컴뮤니케이션 등의 활동범위를 들 수 있다. 공인 보건 교육사(CHES)란 대학 및 대학원에서 보건 교육학 소정의 필수 과목을 이수하고 학.석사 소지자로서 ' 전국 보건 교육 인증 위원회 ' 에서 그 자격을 인정 받고 공인 자격 시험에 합격한자로 한다. 합격자는 자기 성명뒤에 CHES란 칭호를 부치며 매 5년마다 75단위이상 인정된 전문 직업 보수 교육을 받아야 한다. 보건 교육사 고용 분야는 연방, 주, 지방 정부의 보건 교육사(10-15%) 및 건강 증진 전문가로 종사하며; 이들은 지역 사회 조직화, 프로그람 기획, 공공사업 마켓팅, 메디아, 컴뮤니케이션 자질을 갓추어야 하며; 상해 예방, 학교 보건, 지역 사회 영양 실태 향상, 그 외 모든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에 일익을 담당 하여; 의사, 간호사, 약사, 영양사,환경 위생사드의 전문분야종사자들괴 한팀이 되어 지역 사회 보건 사업에 기여한다. 쥬저지 보건 교육사들은 주법령 8조 '||'&'||' 보건행정 표준 시행령 ' 에 따라 포괄적 보건교육/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총체적으로 조절 관장한다. 특희 ' 미국 학술원 의료 연구원 ' 에서 제정한 ' 10대 필수 공중 보건 사업 ' 에 기준을 두고; 1) 개인 및 지역사회 필수 보건 여건 분석 평가, 2) 보건 교육 이론에 따른 사업 계획 설정, 3) 교육 전략과 보건문제 발굴에 따라 일반 대중 대상 보건 교육 실행 (프로그람 기획, 연수 교육, 미디어 캠페인, 공중보건 향상책 옹호), 4) 사업 진행 과정 정리, 그 결과에 대한 영향력과 결과 평가, 5) 프로그램진행, 인사 및 예산관리 참여, 6) 근무향상을 위한 보수교육 프로그램 개발, 7) 보건 의료 업무 종사자 상호 협조성 향상 훈련, 8) 지역 사회자원 밭굴, 9) 적절한 고객 의뢰 체제 시행, 10) 위기 관리 컴뮤니케이션 체제 개발실시, 11) 일반 대중에게 공중 보건 향상 고취, 12) 각종 협력 지원금 신청서 작성 제출, 13) 문화/인종적으로 적절한 시청각 교재 발굴, 15) 질적 및 양적 보건교육/건겅증진책 연구 실시, 16) 비 보험 가담자, 저 보험자, 빈곤자, 이민자 색출 선도, 17) 관활 구역내 상재하는 각 건강증진 프로그램 밝혀 내서 불필요한 중복 회피등이다. 그 외에도 보건 교육사들은 사회 복지 단체인 미국 암 협회, 미국 심장 협회,미국 폐장 협회 등 각종 사회 복지 비영리단체 와 자선 사업 단체들과 긴밀희 협조하거나 그 단체 임직원으로서 건강 증진 사업에 종사한다. 병원 및 의료기관에선 임직원 보수 교육, 환자의 질병 예방및 건강증진 교육, 그리고 의료 사업장내 건장 증진업무에 종사한다. 건강 유지 의료 기관(HMO)에선 예방주사, 정기검진 촉진등을 통한 입원일수 절감, 응급실 사용도 절감등으로 의료비 감축, 삶의질 향상상에 종사한다. 사업장 보건 교육사는 스트레스 관리, 금연 및 흡연 중단선도, 체중 절감, 종업원 건강증진 생활화참여 유치, 컴뮤니케이션 개발, 마켓팅, 질병 예방등에 그 전문 직업적 노하우를 사업체 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접목한다. 뉴저지 2010년대 건강 증진책은 5대 목표 설정하여 현재 시행하고 있다. 특이한점은 2001년 9.11사태 이후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상당한 예산 지원을 그랜트 지원금 형식으로 받아 연방, 주정부, 지방 정부, 의료 기관등에서 일사 불란하게 생물/화학/방사성 테러에 대비하는데 보건 교육사들은 시민 인지도 향상과 위기관리 컴뮤니케이션 영역에서 활약한다. 총체적인 보건 교육/건강 증진책은 다음 천년간 뉴저지 건강증진 백서와 미연방 정부 건강증진 2010에 준하여 설립한 뉴저지 건강 증진 2010 에 의한다. 그 모델을 보면; 1) 생활 습관 향상으로 위해 행위 절제; 적절한 영양 섭취 와 과체중화 차단 불필요한 투약 절제와 그 관리 흡연 탐익 절감, 금연, 흡연관련 신체/정신적 피해 관리/치료 습관성 약물 중독 조기발견 예방 낙상 예방 폭력, 의도적/비의도적 상해 예방 2) 심장질환, 암, 뇌졸중, 당뇨, 폐염, 인프루엔자등 주사망원인 질병 조기 발견 예방 책 마련; 독감.폐렴 예방 주사 실시 3) 보건 교육 대상과 표적 설정 특히 보건사업 참여 동반자 발굴하여 그 동참과 책임분담 책려; 주. 지방 정부기관, 의료 종사자, 의료 보험 업자, 대학 등 교육 기관, 연구 기관, 교육자, 지방 보건소, 지역 사회 비 영리단체, 종교 단체 및 교역자 등의 참여 촉구., 지역 사회 비 영리단체, 종교 단체 및 교역자 등의 참여 촉구.

  • PDF

A Study on the Difficulties Faced by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in Operating LMO Laboratories (고등학교 LMO 실험실 운영에서 과학교사가 갖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 Seongjae Lee;Jiwon Yeo;Sang-Hak J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3 no.1
    • /
    • pp.1-15
    • /
    • 2023
  • As the social and economic value of living modified organisms (LMOs) increase, so do the potential risks they pose to humans and the environment. Therefore, all laboratories using LMOs must establish an LMO laboratory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s required by regulations. Recently, in high school, LMO-related experimental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for their educational effects. Also,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comply with the regulation for LMO laboratories. However, high schools are still unfamiliar with the LMO laboratory, and it is difficult for teachers to manage an LMO laboratory because its implementation applies the same standards to general research institutes. In this study, we used causal chain analysis to discover the difficulties each teacher faced while setting up an LMO laboratory by examining three cases.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eachers are as follows: the first problem is "reluctance to set up an LMO laboratory," because of "administrative tasks for laboratory registration" and "difficulty in persuading colleagues." The second problem is a difficulty for teachers to operate LMO laboratory in blind spots, due to "inflexible installation and closure," "medical waste disposal," and "LMO education that does not fit the school context." Through this study, although the difficulty of running an LMO laboratory is caused by a lack of necessity and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school context, the more fundamental cause was a lack of collaborative planning between the educational field and the operating institutions. The teachers who participate in this research suggest that "using shared LAB" and "preparing opportunities for knowledge sharing" can be considered as strategies for operating the school's LMO laboratory. We feel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 useful reference for teachers or schools planning to build an LMO laboratory.

A Study on the Linkage and Development of the BRM Based National Tasks and the Policy Information Contents (BRM기반 국정과제와 정책정보콘텐츠 연계 및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Younghee, Noh;Inho, Chang;Hyojung, Sim;Woojung, Kwa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9 no.4
    • /
    • pp.191-213
    • /
    • 2022
  • With a view to providing a high-quality policy information service beyond the existing national task service of the national policy information portal (POINT)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it would be necessary to effectively provide the policy data need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national tasks. Accordingly, in this study, an attempt has been made to find a way to connect and develop the BRM-based national tasks and the policy information contents. Towards this end, first, the types of national tasks and the contents of each field and area of the government function's classification system were analyzed, with a focus placed on the 120 national tasks of the new administration. Furthermor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national tasks of the previous administration and the current information, the contents ought to be reflected for the development of contents related to the national tasks identified. Second, the method for linking and collecting the policy information was sough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policy information and the national information portal.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examining the 1st stage BRM of the national tasks,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21 tasks for social welfare, 14 for unification and diplomacy, 17 for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in industry and trade, 12 for general public administration, 8 for the economy, taxation and finance, 6 for culture, sports and tourism, science and technology, and education each, 5 for communication, public order and safety each, 4 for health,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and environment each, 3 for agriculture and forestry, 2 for national defense and regional development each, and 1 for maritime and fisheries each, among others. As for the new administration, it is apparent that science technology and IT are important, and henc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uch when developing the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core national tasks. Second, to link the database with external organizations, it would be necessary to form a linked operation council, link and collect the information on the national tasks, and link and provide the national task-related information for the POINTs.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Cadastral Cultural Heritage : Focusing on LX museum collection (지적 문화유산 분류체계 연구 - LX국토정보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

  • Kim, Ji-Hyun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54 no.1
    • /
    • pp.63-74
    • /
    • 2024
  • The fundamental basis for revitalizing cultural resources and developing content is national heritage(cultural property). In national heritage, cultural heritage is a tangible cultural heritage that represents the uniqueness of history and tradition, identity, and changes in life. In the case of museums, the collections (a museum-owned cultural heritage) represen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 In South Korea, it is recommended that museum collections be registered and used in the Cultural Heritage Standard Management System so that cultural heritage can be managed and utilized in connection with academics, industry, and administration. However, due to a lack of awarenes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eritage, the thematic classification chronology of the system was set mainly before the Joseon Dynasty, and a cultural heritage classification system suitable for national land information has not been establish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classification system for cadastral cultural heritage, based on the modern era when cadastral terminology was first used, using the cultural heritage owned by the LX Museum. Cadastral cultural heritage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although it is a field of specialized technology, the surveying or the production of it is not done by specific individuals only, and that while the production is professional, there are many educational aspects in its use. Therefore, unlike other specialized museum collections that are classified based on the functional aspects of their production methods, intended use, and creators, the classification method for cadastral cultural artifacts should b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dastral tools and the outputs. This classification follows a three-tier stages with reference to the items in the Cultural Heritage Standard Management System. This classification aims at the effective use of knowledge by categorizing concepts and systematizing the subjects of data into a series of orders. A saf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environment for cadastral cultural heritage can be established, and academic and socio-cultural interpretation of the collection is possible by this classfication. Moreover, It is also expected to serve the basis for the national land information as well as searching for the national land information research, planning a exhibition, and the field of education in museum.

AN EXPLORATORY STUDY TO DETERMINE HOW ADOLESCENT STUDENT NURSES VIEW PEDIATRIC NURSING EXPERIENCE AS STRESSFUL SITUATION (소아과 간호학 실습시에 느끼는 성년기 간호학생들의 긴장감에 대한 실험적 연구)

  • Oh, Kasil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4 no.3
    • /
    • pp.33-56
    • /
    • 1974
  • 간호를 장래의 전문직으로 택하려고 공부하는 간호학생들은 완전한 성인으로서의 발달 과정중 후기 성년기에 속한다. 이시기는 자아를 발견하고 인간이 무엇을 믿으며 인간의 가치가 무엇인가를 추구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다시 말해서 어른과 어린이의 과도기에 서서 자신의 이상적 가치와 기성사회의 기존 가치를 잘 융화시켜 독립된 인간으로서 성숙하려는 노력의 시기이다. 그러므로 성년기의 갈등은 인생의 어느 시기보다도 그 정도가 심하게 나타난다. 간호학생들은 이상의 일반적인 성년기 발달의 요구 외에도 간호대학이라는 특수한 배움의 여건 때문에 좀 더 심각한 문제에 대두된다. 특히 소아과 간호대학이라는 실습환경은 여러 가지 복잡한 병실 사정으로 많은 긴장감을 주는 학습경험이다. 어린이의 간호에는 그들의 발달과정에 따른 다양한 역활이 요구된다. 또한 병원이라는 낯선 환경과 어머니를 떨어져야하는 두려움으로 불안한 어린이와 그 어린이의 불안과 두려움으로 인해 우울과 죄의식에 있는 어머니의 간호는 여러 면에서 성년기 학생들에게 긴장감을 일으키게 하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의 문헌조사는 주로 미국 문헌에 나타난 간호 대학생들의 성년기 성숙을 위한 발달의 요구와, 소아병실의 복잡한 여건으로 발생되는 긴장감을 다루고 있다. 문헌을 기초로 하여 저자는 긴장감을 주는 간호활동을 크게 다섯 부군으로 묶었다. 1. 어린이 환자의 신체적 간호, 2. 어린이 환자나 부모와의 원만한 대화와 상호관계를 위한 간호활동 3. 소아병실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간호원의 역활 4. 어린이나 부모의 간호에 대한 의뢰심 5. 간호의 가치나 이상적 간호. 연구방법으로는 49개의 폐쇄식 질문 항목을 가진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 항목들은 문헌연구에서 소아과 간호학 실습시 학생들이 긴장감을 느낀다고 밝혀진 내용들이 다. 학생들은 자신의 경험을 "긴장감이 없었다. ""긴장감이 있었다. ""심한 긴장감이 있었다. ""실습 중 경험이 없었다. "의 사항 중 택일을 하게 되어 있다. 연구대상으로는 모 대학교 간호대학 학생으로 산부인과 간호학 실습을 마친 후 소아과 간호학 실습 8주를 완료한 4학년 학생 42명이었다. 자료분석의 결과는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소아과 간호학 실습은 긴장감을 주는 경험이 있다고 나타났다. 다음은 연구결과 주목할만한 몇 가지 사항들이다. 1. 어린이 환자의 신체적 간호는 성년기 학생들에게 긴장감을 주는 실습 경험이었다. 특별히 심하게 긴장감을 주었던 간호활동은 어린이환자의 상태가 중한 경우로, 장기간 앓는 아이, 선천성 기형이 있는 아이, 회복이 불가능하여 죽게될 아이나 사망하는 경우의 어린이 간호였다. 이 결과는 간호학의 기본과정 즉, 기초간호학이나 내 외과 간호학 실습만으로 소아과 간호학 실습을 위한 충분한 준비가 되지 못한다는 것을 뜻 할 수도 있다. 한편, 문헌연구에서 밝힌바와 같이 어리고 연약해 보이는 어린이들의 신체조건이 학생들의 간호활동을 어렵게 하는 경우도 될 수 있겠다. 2. 간호학생들의 어린이 환자와의 대화나 원만한 인간관계에서의 긴장감은 이 연구결과로 평가나 제언이 힘들다. 조사결과에서 학생들은 주로 어린이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 심한 긴장감을 가졌고 일반적인 간호의 경우에는 별로 긴장감이 없었다. 이것은 질병의 상태나 화제, 이야기 할 때의 상황에 따라 긴장감의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결론이 되겠다. 3. 소아병실에서의 다양한 역활을 수행하는 것은 비교적 긴장감이 많이 생기는 간호활동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재미있는 사실은 학생들이 간호원으로서의 전문가적인 입장에서, 환자나 보호자를 가르칠때는 별로 문제가 없었으나 어린이 기르는 방법이나 어린이 이해면에서 좀 더 잘 안다고 생각되는 어머니가 지켜 볼때의 어린이 간호에는 긴장감을 가진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Jewett의 연구에서 밝힌바와는 상반되는 결과다. 그의 연구에서 학설들은 부모나 어머니들에 의해 전문가로서 인정받고 기대되는 경우가 제일 어려운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4. 어린이 환자나 그들 부모의 간호에 대한 의뢰심은 학생들에게 심한 긴장감을 주는 경험이 있다. 특히 신체적 간호에 대해 의뢰하는 경우에는 더 심한 긴장감을 준다고 표현한다. 일반적으로 부모가 병실에 상주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의뢰심이 심하며 이것은 학생들에게 감당하기 힘든 긴장과 어려움을 주게된다. 왜냐하면 성년기의 학생들은 그들 자신이 먼저 타인에게서 이해받기를 원하며 또 관용을 베풀어주기를 원하는데 그것을 남에게 주어야 하는 입장은 학생들을 긴장되게 하는 실습활동인 것이다. 5. 학생들은 그들이 배운 간호의 이상이나 가치가 실습지에서의 여러 경우와 맞지 않는 것을 보았을 때 극심한 긴장감을 갖는다고 밝혔다. 의사나 병원 행정의 사실이 자신의 이상과 맞지 않는다는 것보다는 간호원의 간호업무의 차이에서 더 비판적인 반응을 보였다. 대부분의 성년기 학생들은 그들의 이상적인 간호원상을 그들의 선배나 실무 간호원 중에서 찾으려는 시기에 그들의 간호활동이 이론과 다른 점이나 학생 자신의 소아과 간호의 가치와 다른 것을 보았을 때는 심한 반감과 긴장감을 갖게된다. 이 문제는 어린 사람이 윗 어른과 함께 동료의식을 갖고 일하기 어려운 한국적 사회구조 때문에 더 심하게 긴장감을 주는 경험인지도 모른다. 선배 간호원의 전문인으로서의 권위와 어린이 환자 보호자의 어른으로서의 권위 사이에서 자신의 이상과 가치의 추구는 용이하지 않으며 내적 갈등은 어쩔수 없는 일 일 것이다. 6. 대부분 높은 백분율의 긴장 반응은 죽음이나 환자의 사망에 관련된 간호활동 항목에서 나타났다. 이 연구의 대상 학생들은 2, 3학년에서 죽음에 대한 강의를 들었지만 이 연구 결과에 의하면 충분한 학습 경험이 주어진 것 같지 않다. 어떠한 경우의 죽음에라도 어린이 환자나 그 보호자들의 심리를 잘 이해하고 반응을 잘 관찰해서 적절한 간호를 해 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학습 경험이 필요하다고 보겠다. 7. 학생들의 긴장도가 어린이 간호에 더 심한가, 보호자 간호에 더 심한가를 알기 위한 비교 결과는 비교적 비슷한 정도로 나타났다. 8. 학생들의 소아과 간호학 실습시의 긴장도는 과거의 병실 실습기간의 장, 단이나 가정에서의 어린인 간호의 경험과는 별 연관성이 없었다. 연구의 대상자가 적기 때문에 단정을 하기는 힘이 들지만 소아과 간호학 실습이 다른 병실의 실습과는 분리되어서 완전히 다르게 다루어 져야만 하며 간호교육자들의 주의 깊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실습교육이 라 하겠다. 이상의 전반적인 고찰에 의하면 한국 성년기 간호학생들의 소아과 간호학 실습은 미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긴장감을 주는 경험이다. 문화배경의 다른 점은 무시하고라도 Davis와 Oleson이 결론한 바와 같이 "간호대 학생은 어디를 막론하고 다 같은 성격과 문제를 가지고 있다. "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학생들의 소아과 간호학 실습을 위한 연구를 위해 다음의 몇 가지를 본 연구의 결과를 가지고 제언한다. 1. 보다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교육 방법을 가진 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필요성. 2. 학생들이 실습 전 선입견이나 이미 들어서 생긴 긴장감의 개입 여부를 밝힐 수 있는 연구. 3. 학생 개인의 과거 경침이 긴장감 유발에 미치는 영향을 위한 연구 4. 이 연구의 결과를 입증할 수 있는 종단적 연구. 5. 이 연구에서 나타난 긴장감이 학습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한 관찰적 연구. 이 연구를 위해 많은 도움을 주셨던 보스턴대학의 Dr. Kennedy와 연세대학의 여러 선생님께 심심한 감사를 드립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