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Using Presidential Archives for the Free Learning Semester

자유학기제에 적용가능한 대통령기록물 활용 교육프로그램 개발

  • 송나라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 이성민 (전북대학교 교육학과 대학원) ;
  • 김용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문화융복합 아카이빙연구소) ;
  • 오효정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문화융복합 아카이빙연구소)
  • Received : 2017.12.23
  • Accepted : 2017.01.17
  • Published : 2017.01.31

Abstract

The presidential records reflect the era of the times, and it has valuable evidence to support the administrative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of government operations. People's interest in the presidential records increased in response to its recent leak. The presidential archives were moved to Sejong in line with its desire to provide public-friendly services. This study will help users access the archives and utilize archiving inform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introduced the free learning semester, which all middle schools have began conducting since 2016. The free learning semester provides an environment where education can be provided by external organizations. As middle school students are still unfamiliar with archives, the free learning semester provides a good environment for accessing archives and records. Although it serves as an opportunity to publicize archives, existing related studies are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free learning semester program using the presidential archives and records for middle school students during the free learning semester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archives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shows a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program using presidential archives and record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domestic and foreign case analysis, and expert interview.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is research understood the definition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as well as its types. In addition,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four types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linked to the presidential archives. Second, through website analysis and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this research investigated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the education program. A total of 46 education programs of institutions were analyzed, focusing on student-led education programs in the foreign archives as well as the education programs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in domestic libraries and archives. Thir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four types of free learning semester education programs using the presidential archives and records, and provided concrete examples.

대통령기록물은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하고 국가 국정운영의 행정투명성과 설명책임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적 가치를 지닌 자료이다. 최근 잇따른 대통령기록물 유출 사건으로 인해 국민들의 대통령기록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세종 신청사 이전으로 국민친화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대통령기록관의 목적에 맞춰 본 연구는 이용자가 기록관에 접근하고 기록물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자유학기제가 2016년부터 전면적으로 시행되면서 중학생은 한 학기동안 외부기관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는 기록관이 낯선 중학생들에게 기록관과 기록물에 접근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을 마련해주고 기록관을 홍보할 수 있는 기회이나 아직 관련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국내 외 기관의 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하고 대통령기록관에 적용가능한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을 파악함으로 써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한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 국내 외 사례분석, 전문가 인터뷰 등을 통해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자유학기제의 정의 및 유형을 이해하고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 4가지 유형의 대통령기록관에 연계 가능한 교육프로그램을 파악하였다. 둘째, 웹사이트 분석과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국외 기록관과 국내 도서관 및 기록관의 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하였다. 국외 기록관은 학생 주도의 교육프로그램, 국내 도서관 및 기록관은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총 46곳의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셋째, 앞선 결과를 바탕으로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한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 4가지 유형과 구체적 적용 예시까지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효길. 2003. 단기과정 진로탐색활동이 중학생의 진로 성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2. 교육부. 2014. 자유학기제: 예술.체육활동 운영 매뉴얼. 세종: 교육부.
  3. 교육부. 2015. 학생의 꿈과 끼를 키워 행복교육을 실현하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계획(안). 세종: 교육부.
  4. 권덕원, 석문주, 최은식, 함희주. 2008. 음악교육의 기초. 파주: 교육과학사.
  5. 권일남. 2015. 자유학기제 청소년 진로체험이 진로탐색과 진로직업역량에 미치는 영향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13(1), 17-26.
  6. 김 솔. 2013. 대통령기록물 온라인 콘텐츠의 초등학교 활용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1), 59-79.
  7. 김종표, 이복희. 2006. 평생교육방법론. 파주: 양서원.
  8. 남성우. 2015. 자유학기제 요인분석과 수업모형 개선방안 연구: 수학과목의 수업방법 및 자율과정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노영희, 김혜인. 2016. 도서관의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수요조사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7(3), 187-211.
  10. 문성호, 박승곤, 윤동엽, 정지윤. 2016. 청소년진로활동의 실태와 프로그램 분석. 청소년학연구, 23(4), 319-343.
  11. 박미자. 2015. 중학생이라는 수수께끼 풀이. 우리교육, 39-47.
  12. 신성미. 2015.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운영보고서 및 교과연계 학생선택프로그램 운영학교 사례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심성보. 2007.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정보콘텐츠 서비스의 구성 및 개발. 기록학연구, 16, 201-256.
  14. 이능금, 김용, 김건. 2015.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한 NIE기반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6(2), 107-127.
  15. 이은영. 2012. 기록관리전문직의 핵심역량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1), 117-139.
  16. 이정은. 2016. 대학생의 기록물 및 기록관 인식현황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83-188.
  17. 이주은. 2016. 자유학기제에 따른 영어 수업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도 분석.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18. 이지연. 2008. (예비교사를 위한 실제적)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고양: 서현사.
  19. 이진영. 2012. 기록자원에 기반한 대통령기록관의 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전용호. 2008. 대통령기록관의 기록정보 서비스 체계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관리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1. 장효정, 송나라, 최효영, 김용. 2015. 집단탐구(GI)협동학습 모형을 활용한 대통령 기록관 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6(3), 51-81.
  22. 조이현. 2008. 소장기록물 편찬 및 콘텐츠 구축. 대전: 국가기록원.
  23. 지서윤. 2016. 자유학기제에 대한 사회과 교사들의 인식과 사회과 교육의 변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지수걸. 2008. 국가기록을 활용한 중등학생용 교육콘텐츠 개발사업의 의미. 대전: 국가기록원.
  25. 지은림, 원효헌, 민경석, 손원숙, 김태일, 이선경, 강창혁. 2014. 중학교 자유학기제 평가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6. 황금숙, 김수경. 2016. 자유학기제를 위한 도서관기반 독서문화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3), 99-128.
  27. 황영미. 2013. 영화를 활용한 이과생 대학 글쓰기 교육 방법 연구. 교양교육연구, 7(4), 109-135.
  28. James M. O'Toole. 1990. Understanding Archives and Manuscripts. Chicago: Society of Amer Archivists. (이승억 역. 2004. 기록의 이해. 서울: 진리탐구).
  29. 국가기록원. 2016. 검색일자: 2016.8.7. http://www.archives.go.kr/next/viewMain.do
  30. 대통령기록관. 2016. 검색일자: 2016.8.7. www.pa.go.kr/
  31. 국립세종도서관. 2016. 검색일자: 2016.10.29. http://sejong.nl.go.kr/
  32. 서울특별시교육청 정독도서관. 2016. 검색일자: 2016.10.29. http://jdlib.sen.go.kr/jdlib_index.jsp
  33. 경상남도교육청 통합공공도서관. 2016. 검색일자: 2016.10.29. http://gnelib.gne.go.kr/
  34. 진양도서관. 2016. 검색일자: 2016.10.29. http://jinlib.gne.go.kr/
  35. 자유학기제. 2016. 검색일자: 2016.8.1. http://www.ggoomggi.go.kr
  36. Dwight D. Eisenhower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2016. Retrieved 2016.8.9. http://www.eisenhower.archives.gov/
  37. Franklin D. Roosevelt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2016. Retrieved 2016.8.9. http://www.fdrlibrary.marist.edu
  38. George H. W. Bush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2016. Retrieved 2016.8.9. http://bush41.org/
  39. George W. Bush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2016. Retrieved 2016.8.9. http://www.georgewbushlibrary.smu.edu/
  40. Gerald R. Ford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2016. Retrieved 2016.8.9. http://www.fordlibrarymuseum.gov/>
  41. Harry S. Truman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2016. Retrieved 2016.8.9. http://www.trumanlibrary.org/
  42. Herbert Hoover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2016. Retrieved 2016.8.9. http://www.hoover.archives.gov/
  43. Jimmy Carter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2016. Retrieved 2016.8.9. http://www.jimmycarterlibrary.gov/
  44. John F. Kennedy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2016. Retrieved 2016.8.9. http://www.jfklibrary.org/
  45. Lyndon B. Johnson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2016. Retrieved 2016.8.9. http://www.lbjlibrary.org/
  46. Richard Nixon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2016. Retrieved 2016.8.9. http://www.nixonlibrary.gov/index.php
  47. Ronald Reagan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2016. Retrieved 2016.8.9. http://www.reagan.utexas.edu/
  48. William J. Clinton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2016. Retrieved 2016.8.9. http://www.clintonlibrary.gov/
  49. TNA. 2016. Retrieved 2016.8.8. http://www.nationalarchives.gov.uk/

Cited by

  1. 국가기록원 나라기록관의 기록문화프로그램 운영 사례와 발전방안 vol.62,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19.62.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