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Use of Scientific Investigation Equipment to Support Decision-making of the Resident Evacuation in the Event of a Chemical Accident

화학사고 발생에 따른 주민대피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과학조사장비 활용방안 연구

  • Oh, Joo-Yeon (Disaster Scientific Investigation Division,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
  • Lee, Tae Wook (Division of Police Administration, Planning, ICT, and Equipment, Ulsan Metropolitan Police) ;
  • Cho, Kuk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오주연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원인조사실) ;
  • 이태욱 (울산경찰청 경무기획정보화장비과) ;
  • 조국 (부산대학교 환경공학과)
  • Received : 2022.10.30
  • Accepted : 2022.12.09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After the hydrogen fluoride leak in Gumi in 2012, the government has been systemizing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such as responding to and managing chemical accidents. In particular,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MOIS) is in charge of evacuation of residents following chemical accidents based on the Framework Act on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In this study, an application plan was presented to support and utilize the decision-making support for evacuation of residents after a chemical accident using the chemical accident investigation equipment of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NDMI). In the equipment operation system for scientific information collection due to chemical accidents, the roles and purpose of use of long/short distance measurement equipment were presented according to regular and emergency situations. Using the data acquired through long/short distance measurement equipmen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sident evacuation decision-making by monitoring whether chemicals are detected in an emergency and managing data on detected substances by company in a regular situation. As a result of measuring chemical substances in order to verify on-site usability by equipment only for the regular operation system, it was confirmed that real-time detection of chemical substances is possible with long distance measuring equipmen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ecessary to check the measurable distance and range of the equipment in the future. In the case of short distance measurement equipment, hydrocarbon-based substances were mainly detected,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measured at a higher level in Ulsan-Mipo National Industrial Complex than in Onsa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support decision-making in the event of chemical accidents through continuous data construction in the future.

2012년 구미 불화수소 누출사고 이후 정부는 화학사고의 대응과 수습 등 재난관리를 체계화하고 있다. 특히, 행정안전부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을 근거로 화학사고 발생에 따른 주민대피에 대한 명령을 소관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화학사고 조사장비를 활용한 화학사고 이후 주민대피 의사결정 지원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화학사고로 인한 과학적 정보수집을 위한 장비 운용체계는 상시와 비상시로 구분하여 원거리 측정장비와 근거리 측정장비의 역할 및 활용목적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원·근거리 측정장비를 통해 취득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비상시에는 화학물질의 검출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상시에는 업체별 검출물질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함으로써 주민대피 의사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상시 운용체계에 한하여 장비별로 현장 활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화학물질을 측정한 결과, 원거리 측정장비에서는 화학물질의 실시간 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장비의 측정가능 거리 및 범위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근거리 측정장비의 경우, 탄화수소 계열의 물질이 주로 검출되며, 온산국가산업단지에 비해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에서 높은 수준으로 측정된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지속적인 데이터 구축을 통해 화학사고 발생에 따른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1. 서론

2012년 구미에서 발생된 불화수소 누출사고로 인해 우리나라는 화학사고에 대한 인식과 화학사고 대응 및 화학물질 관리에 대하여 큰 전환점을 맞게 되었다. 2012년 9월 27일 구미에서 발생한 불화수소 누출사고로 인해 사망자 5명, 부상자 18명이 발생하였으며, 막대한 재산피해를 입었다. 이를 통해 화학사고 발생에 대비한 재난관리체계 강화 및 재난관리 지원시스템 개발 등 개선이 시급하다는 시사점을 안겨 주었다(Gumi City Hall, 2013). 이후, 화학사고 및 이로 인한 재난상황을 예방·관리하기 위해 환경부, 고용노동부, 행정안전부 등 정부부처에서 화학사고 및 재난 대응시스템을 마련하여 운용하고 있다.

정부부처에서 운용하는 화학사고 및 재난 대응 시스템은 화학사고 발생에 따라 국민(근로자 포함)의 생명(건강 포함)을 보호하고, 사고 재발방지 등 예방·관리를 하는 데에 공통의 목적이 있으나, 각 부처에서 수행하는 업무에 따라 세부적인 목적의 차이가 있다. 환경부에서는 화학사고의 대응체계 구축 및 화학물질 안전관리를 위해 2013년에 화학물질안전원을 신설하였으며(NICS, 2022a), 『화학물질관리법』에 의거하여 화학물질로 인한 국민 건강 및 환경상의 위해를 예방·관리하고, 화학사고를 신속하게 대응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고용노동부는 『산업안전보건법』에 의거하여 유해·위험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 등에서의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근로자의 안전·보건을 유지·증진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의거하여 재난 및 안전관리에 대한 체제 확립 및 재난의 예방·대비·대응·복구를 통해 국민의 신체 및 재산을 보호함에 목적이 있다.

환경부와 행정안전부에서는 화학사고 및 재난 대응 시스템과 관련하여 목적 및 업무가 유사한 것으로 보이나, 두 부처의 업무 목적 및 기능은 차이가 있다. 환경부는 사고발생 시 환경상 위해를 우선적으로 대응·관리하고 이에 따른 인근 주민의 건강 위해성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지만 행정안전부는 사고발생시 국민의 생명 및 재산을 우선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안전관리를 수행한다.

화학사고의 경우, 사고에 의한 피해가 발생지점에만 국한되지 않고 단시간 내 넓게 확산될 수 있으며, 한 가지의 재난 유형이 아닌 복합적인 형태로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사고에 대한 전문지식 및 빠른 판단이 요구된다(Kim et al., 2020; Jeon et al., 2021). 특히, 화학물질 누출사고의 경우에는 사고의 정도에 따라 주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의 주민대피가 필요할 수 있다.

이에, 환경부와 행정안전부에서는 화학사고 대응 체계 및 주민대피 등 재난관리에 대한 체계를 마련하였다(NICS, 2018; MOIS, 2020). 사고발생 시 소방은 사고현장 대응을 주된 목적으로 활동하며, 환경부에서는 화학사고대응정보시스템(Chemical Accident Response Information System, CARIS) 앱을 활용하여 사고내용을 전파하고, 사고영향범위를 예측한다. 또한, 지방환경청 및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에서 사고물질 탐지 및 주민대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생성된 많은 정보와 자료들을 바탕으로, 관계부처의 상환판단회의를 통해 지자체 및 행정안전부에서 주민대피 결정 및 알림을 시행하고 있다(NICS, 2018).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의해 주민대피 명령 권한은 지자체(행정안전부)에 있으나, 주민대피를 결정하기 위한 판단기준은 부재한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사고관련 사고물질 특성 및 피해 영향범위 예측 등의 주민대피 판단 관련 정보를 검증하는 절차도 부재하다. 이에, 주민대피에 대한 주관기관인 행정안전부에서는 신뢰성 있는 상황판단 및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사고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의 수집 및 환경부에서 제공된 자료와의 검증된 절차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자료 뿐만 아니라 행정안전부에서도 자체적으로 상황에 대한 판단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화학사고에 대한 신속한 정보취득 및 사고 조사·분석이 가능한 장비운용은 매우 중요하다.

행정안전부 소속 연구기관인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는 2014년부터 재난원인 과학조사 장비의 도입·활용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재난원인 조사 및 분석을 위한 장비를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보유·운용 중인 재난원인 과학조사 장비 중 화학사고 조사장비를 통해, 화학사고현장의 정보를 파악하고, 주민대피 의사결정 지원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국가산업단지가 위치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산업도시인 울산을 대상으로 주민대피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과학적 자료 생성을 위해 원거리 및 근거리에서 측정 가능한 화학사고 조사장비 운용체계를 마련함으로써 화학사고 발생에 따른 주민대피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활용방안의 체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2. 연구방법

1) 화학사고 조사장비

본 연구에서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원인조사실에서 운용 중인 화학사고 조사장비 중 측정가능 거리에 따라 2종의 장비를 활용하였다(Fig. 1, Table 1). 화학물질을 분석하기 위한 현장용 장비로 휴대용 가스크로 마토그래프/질량분석기(Portable 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ry, Portable GC/MS), 휴대용 푸리에 변환 적외선분광기(Portable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Portable FT-IR), 휴대용 X-선회절 장치(Portable X-Ray Diffractometer, Portable XRD) 등이 있으며, 화학사고 발생 시 사건원인물질 탐지 및 분석을 위해 활용된다(NIER, 2011; NICS, 2015). 현재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운용 중인 2종의 화학조사 조사장비도 이러한 현장용 장비와 유사한 원리로 운용되어 현장에서의 화학물질을 분석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OGCSBN_2022_v38n6_3_1817_f0001.png 이미지

Fig. 1. Chemical accidents investigation equipments: (a) HI-90 and (b) Torion T-9.

Table 1. Specification of chemical accidents investigation equipments used in this study

OGCSBN_2022_v38n6_3_1817_t0001.png 이미지

(1) 원거리 측정장비

원거리 측정장비는 Bruker사의 Hyperspectral Imaging System (HI-90)이며, 적외선 분광기법을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화학물질에 대한 정보를 원격으로 감지할 수 있다. 10 km 이내에서 측정이 가능하여 원거리에서도 화학물질의 종류를 신속하게 선별할 수 있으며, 자사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약 300여종의 물질에 대해 화학물질 식별이 가능하다.

(2) 근거리 측정장비

근거리 측정장비는 Perkin Elmer사의 Torion T-9를 활용하였으며, 이는 Portable GC/MS 로서 고상미량추출(Solid Phase Micro-Extract, SPME)을 활용하여 대기/수환경/토양 등의 다매체에서 분석이 가능하다. 실험실 규모의 GC/MS의 경우, 기기분석 시간이 최소 30분 이상 소요되며 분석 후 데이터처리까지 추가시간이 필요하지만, Torion T-9의 경우에는 5분 이내 분석부터 데이터 처리까지 수행되어 사고현장 등에 적합하게 활용 할 수 있다. 또한, 미국국립표준기술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최대 240,000종의 화학물질을 검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Portable GC/MS를 활용하여 화학물질의 농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검량선 작성이 필요하며, 화학물질별 표준물질 확보 등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NIER, 2012; Park et al., 2013). 이러한 장비적 특성에 따라 근거리 측정장비도 정성분석에 적합하지만, 원거리 측정장비에서 측정하기 어려운 물질(적외선 분광법으로 분석하기 어려운 물질)을 추가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 원거리 측정장비와 함께 활용에 보다 많은 화학물질 분석에 활용할 수 있다.

2) 연구흐름 및 연구지역

본 연구는 화학사고 조사장비의 운용을 통한 의사결정 지원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이를 통해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장비 운용체계(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Fig. 2). 장비 운용체계에 활용될 장비를 선정한 후 각 장비를 활용하여 측정된 결과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장비활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비상시와 상시로 장비 운용 목적을 구분하여 주민대피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상황별 장비 운용체계(안)을 제시하였다.

OGCSBN_2022_v38n6_3_1817_f0002.png 이미지

Fig. 2. Equipment operation system (draft) for resident evacuation decision support.

비상시 운용체계의 목적은 화학사고현장의 물질정보 취득 및 주민대피 판단에 대한 근거자료 제공이며, 상시 운용체계의 목적은 장비 측정 데이터 구축을 통한 의사결정 판단 시 기초자료 제공이다. 비상시 장비 운용체계는 주민대피 대비물질(16종) 여부에 따라 원거리 측정장비 단독적으로 운용되거나 근거리 측정장비와 함께 운용되며, 상시 장비 운용체계는 화학물질 배출량이 높은 지점을 측정지점으로 선정하여 원거리 측정장비를 통한 이상물질 배출 감시 및 근거리 측정장비를 활용한 화학물질의 배출 경향을 파악 등 데이터를 구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화학사고 조사장비 운용지역은 울산으로 선정하였다. 울산은 대표적인 산업도시로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및 온산국가산업단지와 17개의 일반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다(Ulsan Metropolitan City, 2022). 대부분의 유치업종은 석유정제, 석유화학, 비철금속, 화학펄프 공업, 조선기자재, 자동차 제조업 등으로 다양한 화학물질을 취급·저장하고 있다. 화학물질안전원에서 운영하는 화학물질종합시스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울산에서는 연간 8,203,015 kg의 화학물질이 배출되었으며, 전국에서 두번째로 높은 수준이었다(NICS, 2022b). 또한, 2017년 기준 울산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의 화학사고 관련 출동횟수가 시흥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Cho et al., 2018). 이에 따라 울산이 연구대상지역으로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연구대상지역인 울산 내에서 화학사고 발생 확률이 높은 국가산업단지 내 화학물질 취급업체 등을 상시 운용체계에서의 장비 운용지점으로 선정하였다. 원거리 측정장비의 운용지점으로 온산국가산업단지가 포함된 울산 이주민망향비 공원을 선정하였으며, 근거리 측정장비의 운용지점으로는 온산국가산업단지 내 화학물질 배출·이동량(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s, PRTR)이 높은 10개 지점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Fig. 3).

OGCSBN_2022_v38n6_3_1817_f0003.png 이미지

Fig. 3. Location of this study area.

3. 연구 결과 및 고찰

장비 운용체계는 화학사고 발생에 따른 주민대피 판단 등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상시와 비상시로 구분하여 활용방안을 제시하였으며(Fig. 4), 각 운용체계에서의 장비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상시를 대비한 장비운용 숙련도 향상 및 정기적인 데이터 축적을 위해 상시 운용체계에 한하여 운영하였으며, 장비별 측정결과 및 특성을 통해 상시 운용체계에서의 장비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OGCSBN_2022_v38n6_3_1817_f0004.png 이미지

Fig. 4. Equipment operating system for decision-making of the resident evacuation.

1) 원거리 측정장비 활용 화학물질 측정결과

원거리 측정장비의 화학물질 검출성능 확인 및 온산국가산업단지의 화학물질 배출현황 파악을 위해 울산 이주민망향비 공원에서 HI-90 장비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HI-90의 측정 결과는 Fig. 5와 같으며, 공장시설 및 굴뚝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단시간 내 검출할 수 있었다. 검출된 물질은 Methane, Ethylene, Aniline으로, 석유 정제 과정에서 발생되는 물질이었다. 미국화재예방협회(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NFPA)의 위험성 코드를 확인한 결과, Methane과 Ethylene은 건강위험성 및 반응위험성이 높지는 않으나 화재위험성이 높은 물질이며, Aniline은 화재위험성 및 반응위험성은 낮으나 건강위험성이 다소 높은 물질이었다. Aniline의 경우에는 건강위험성이 높은 유해물질로 노출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나 Aniline이 굴뚝에서 검출이 되어 직접적인 노출 영향이 크지 않아 건강에 미치는 영향도 미미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화학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HI-90 장비를 활용하여 화학사고로 인한 주변 지역의 화학물질 영향 및 오염 수준 파악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OGCSBN_2022_v38n6_3_1817_f0005.png 이미지

Fig. 5. Results of chemical measurement using HI-90: (a) methane, (b) ethylene, and (c) aniline.

온산국가산업단지에는 석유정제, 비철금속, 화학펄프공업 등의 업종을 가진 업체 및 공장시설들이 조성되어 있으나 업체별로 취급·저장하는 물질은 상이하여 다양한 물질들을 검출할 수 있었다. HI-90은 적외선 분광기법을 통해 화학물질을 식별할 수 있으므로 짧은 시간 내 물질정보를 취득할 수 있었다. 화학사고 발생시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빠른 시간 내 현장에 대한 정보취득이 중요하다. HI-90은 실시간적으로 화학물질을 검출 할 수 있어 의사결정을 위한 장비 운용체계에 적합한 장비로 판단되었다. 다만, 사고현장에서는 물질의 종류도 중요하지만 그 물질의 농도수준 또한 중요한 정보이므로 현재 운용장비에서 검출된 물질들의 농도정보를 취득함에 있어 발생하는 한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원거리 측정장비는 먼 거리에서도 사고현장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현장운용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장비의 측정가능 범위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HI-90의 경우에는 장비 규격상에는 10 km 이내 측정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기상조건 및 주변 온도에 따라 측정결과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기상조건에 따라 HI-90의 측정가능 거리 및 범위를 확인함으로써 사고현장에서의 장비활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통해 원거리 측정장비의 측정 정확도가 향상되어 보다 정확한 자료를 활용하여 의사결정 판단 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2) 근거리 측정장비 활용 화학물질 측정결과

울산국가산업단지 내 장비 운용지점에서 근거리 측정장비인 Torion T-9를 활용하여 측정한 결과는 Table 2 및 Fig. 6과 같다. Toluene, 2,6,7-Trimethyl-decane 등 탄화수소로 구성된 화학물질들이 주로 검출되었으며, 이는 측정지점인 석유화학단지의 영향으로 석유 및 콜타르의 주성분인 탄화수소 물질이 검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GC/MS는 시료를 기화하여 혼합물에서 특정 화합물을 분해하는 방식으로 분석되며, 유기화합물의 분석에 주로 활용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GC/MS를 활용하여 측정한 결과에서는 석유화학과 관련된 유기화합물이 주로 검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Torion T-9의 측정 결과를 통해 석유화학과 관련된 유기화학물의 생산·취급이 많은 울산국가산업단지의 환경정보를 측정하는데 적합한 장비임을 확인하였으며, 국가산업단지 등에서 사고발생 시 의사결정 지원을 위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able 2. Measurement results using Torion T-9 at each sampling site

OGCSBN_2022_v38n6_3_1817_t0002.png 이미지

OGCSBN_2022_v38n6_3_1817_f0006.png 이미지

Fig. 6. Results of chemical measurements with Torion T-9.

전체 측정지점에서 사고대비물질인 Toluene이 검출되었으나 타 검출물질에 비해 저농도(1 ppm 미만)로 검출되었다. Toluene은 사고대비물질 97종 중 하나의 물질로서 NFPA 위험성 코드에서도 화재위험성이 높은 물질로 분류되어 취급에 주의가 필요하나, 작업장 허용노출기준(Time Weighted Average, TWA) 50 ppm 및 위험노출기준(Immediately dangerous to life or health, IDLH) 500 ppm 기준보다 낮게 나타나 건강상 위해도는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측정지점별 화학물질 검출수준을 확인해본 결과, 온산국가산업단지(1~4번 지점)에서 타 측정지점에 비해 다소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7~10번 지점)에서 높은 수준으로 화학물질이 검출되었다. 본 연구결과에서는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가 온산국가산업단지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측정 시점 및 풍량에 영향을 받아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정기적인 모니터링 및 데이터 구축을 통해 울산 국가산업단지에서의 화학물질 검출 추이와 기상정보 마련이 필요하며, 이 자료를 통해 사고발생 시 주민대피 및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Torion T-9는 SPME를 활용하여 Fiber에 시료 흡착을 통해 분석한다. 시료 흡착 방식은 직접 흡착과 대기포집백(gas sampling bag)을 활용한 흡착방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Fig. 7과 같이 시료 흡착 방식에 따라 동일시료를 측정한 후 결과를 비교해보았다. 상시(사고 미발생) 화학물질의 배출농도가 높지 않아 직접 흡착의 경우 화학물질이 검출되지 않았다. 동일 시료를 대기포집백에 포집한 후 일정시간(20분 가량) 정치 후 분석한 경우에는 화학물질이 검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사고발생에 따라 고농도로 화학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직접 흡착 방식이 효율적이며, 상시모니터링을 위해서는 대기포집백을 활용하는 방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GCSBN_2022_v38n6_3_1817_f0007.png 이미지

Fig. 7. Sample adsorption methods: (a) direct adsorption and (b) use of gas sampling bag.

화학사고 발생에 따른 의사결정 지원을 위해 화학사고 조사장비를 적절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각 장비에 대한 특성 및 활용가능 범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활용된 원거리 및 근거리 측정장비의 특성을 비교하였다(Table 3). Torion T-9와 HI-90는 휴대용장비로 단시간 내 물질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공통적인 장점이 있어 사고현장에서 활용하기 적합한 장비로 판단된다. 그러나 두 장비의 가장 큰 차이점은 화학물질을 측정할 수 있는 거리이며, 측정원리에 따라 검출가능한 물질이 구분된다. Torion T-9는 석유화학 분야에서 유기화합물을 분석하는 장비로서 원거리 측정장비인 HI-90의 측정원리 및 분석가능 물질과는 차이가 있다. 이에, 사고현장의 화학물질 종류에 따라 적절한 장비활용이 필요하다.

Table 3. Characteristic comparison between HI-90 and Torion T-9

OGCSBN_2022_v38n6_3_1817_t0003.png 이미지

4. 결론

본 연구에서는 화학사고 발생에 따른 의사결정 지원을 위해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운용 중인 화학사고 조사장비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사고발생 여부에 따라 상시 및 비상시 운용체계를 구분하고, 원거리 및 근거리 측정장비의 활용목적 및 역할에 대해 제시하였다. 비상시 상황에 대비하여 장비 운용 훈련 및 장비별 데이터 취득을 위해 상시 운용체계에서의 장비 활용결과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장비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근·원거리 측정장비의 분석결과를 통해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활용방안인 장비 운용체계에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화학사고 조사장비 활용방안 및 축적된 데이터를 통해 화학사고 발생 시 지자체 및 행정안전부에서 의사결정을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제시된 한계점에 따라 원거리 측정장비는 측정가능 거리 및 범위에 대한 확인과 기상조건에 따른 측정결과 비교를 통한 장비 현장운용범위의 검토가 필요하며, 근거리 측정장비에서도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지속적인 데이터 취득 및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실제 사고발생 시 비상시 운용체계를 적용하여 화학사고 조사장비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고, 타 기관과의 교차검증을 통해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추후 연구를 통해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여 장비 측정결과의 정확성을 확보한다면 의사결정 판단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높은 활용도가 기대된다.

사사

본 연구는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주요사업인 재난원인 실증실험 분석기술 개발(NDMI-주요-2022-06-01) 및 재난원인 현장감식 기술개발(NDMI-주요-2019-05-01)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Cho, C., D.W. Lee, and S.Y. Kim, 2018. A review of statistics & analysis on the chemical accidents in Korea 2017: Focus on the NFA, National 119 rescue headquarters, Korea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6(1): 37-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31333/kihm.2018.6.1.37
  2. Gumi City Hall, 2013. Hydrofluoric acid, Change the Gumi! Huve Global Co., Ltd. Hydrofluoric acid leak accident white paper, Gumi City Hall, Gumi, Korea.
  3. Jeon, B., H. Kim, M. Lee, J. Yun, W. Jung, and S. Oh, 2021. A study on development of damage impact distance calculation formula for accident response and prevention in case of leakage of substances prepared for evacuation of residents in Chungju,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2(1): 703-7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5762/KAIS.2021.22.1.703
  4. Kim, H., B. Jeon, M. Lee, J. Yun, H. Lee, W. Jung, and J. Jo, 2020. A study on development of damage impact distance calculation formula to determine evacuation and notification of residents in case of ammonia release accid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1(10): 308-3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5762/KAIS.2020.21.10.308
  5. MOIS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20. Guidelines for responding to chemical accidents by local governments,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Sejong, Korea.
  6. NICS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2015. Standard operation procedure for substance requiring preparation for accidents - analysis vehicle for scene of chemical accidents -,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Cheongju, Korea.
  7. NICS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2018. Local government resident notification in the early stages of a chemical accident-evacuation decision support system,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Cheongju, Korea.
  8. NICS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2022a.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web site, http://nics.me.go.kr, Accessed on Oct. 14, 2022.
  9. NICS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2022b, Integrated Chemicals Information System web site, http://icis.me.go.kr, Accessed on Oct. 19, 2022.
  10.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1. A study on the on-site detection and analysis methods for accident preparedness substance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11.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A study on the on-site detection and analysis technique for chemical accident substanc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12. Park, Y., H. Noh, H. Yang, and G. Seok, 2013. The study on analysis method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portable GC/M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9(3): 249-2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Ulsan Metropolitan City, 2022, Ulsan Industrial Complex web site, http://www.ulsan.go.kr, Accessed on Oct. 16,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