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친화적 의류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Reactive Dyeing Properties of Raime/Rayon Blends Fabrics (Ramie/Rayon계 복합소재의 반응성 염료에 대한 염색성 비교 고찰)

  • Kim, Kyung-Hak;Park, Eun-Ho;Choi, Byung-Hun;Koh, Joo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21-21
    • /
    • 2011
  • 개인적 삶의 질 향상과 함께 사회적인 삶의 가치를 추구하여 인체친화적이며 동시에 환경 친화적인 제품 소비에 가치를 두는 LOHAS 트렌드의 영향으로 의류 제품에서는 소비자의 요구 수준에 맞춘 고급화, 고기능화된 의류 상품 및 소재 중심의 소비와 함께 친환경 소재, 리사이클 소재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Ramie 복합 소재는 이러한 트렌드에 적합한 대표적인 소재로서 고감성/웰빙 신섬유 제품 개발을 통해 신시장 개척이 가능한 아이템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편, Ramie는 땀에 대한 흡습성과 속건성이 우수하고 청량감이 있어 주로 여름 소재로 활용되어 왔으나 촉감이 좋지 못하고 광택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촉감이 좋고 광택성이 뛰어난 레이온 계열의 소재와 혼방하여 고급스럽고 환경 친화적인 의류소재로써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레이온계 섬유 중에서 상품성이 modal 섬유 Tencel 섬유를 각각 혼방한 Ramie/Modal(28's,30's), Ramie/Tencel(28's) 복합소재의 반응성 염료에 대한 염색특성을 비교 고찰해 보았다. 실험은 Heterobifunctional type 반응성 염료 3종(Red, Yellow, Blue)을 이용하여 흡진 거동, 빌드업 특성, 겉보기 색상농도 등을 비교하였으며 1/1 standard 농도에서의 제반 견뢰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 PDF

The Effect of Eco-friendly Attitude and Benefits Pursued in Clothing on Purchase Satisfaction of Eco-friendly Consumers for Infants and Children's Underwear (친환경 유.아동 속옷 소비자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의복추구혜택이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Hong, Byung-Sook;Lee, Eun-Jin;Park, S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4 no.4
    • /
    • pp.686-696
    • /
    • 2010
  • This study analyzes how the eco-friendly attitude and benefits pursued in clothing influence the purchase satisfaction of eco-friendly consumers for infants and children's underwear.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1^{st}$ to $20^{th}$ in 2009, and 303 responses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A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eco-friendly attitude is classified by environmental concern, awareness of environmental consump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environmental movement. The benefits pursued in clothing are classified by fashion pursuit, brand pursuit, functional pursuit, personality pursuit, and economical pursuit. The awareness of the environmental consumption factor in the eco-friendly attitude influences the purchase satisfaction of eco-friendly consumers for infants and children's underwear. The fashion, brand, functional, and personality benefits pursued in clothing effect the purchase satisfaction of eco-friendly consumers for infants and children's underwear.

A Study on the Consumer Behavior on Environmentally Beneficial Clothing (환경(環境) 친화적(親和的) 의류제품(衣類製品)에 대(對)한 소비자(消費者) 태도(態度)에 관(關)한 연구(硏究))

  • Lee, Ji-Eun;Kim, Il;Park, Sun-Kyung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 /
    • v.6 no.2
    • /
    • pp.77-92
    • /
    • 2002
  • This study analyzed the consumer behavior on the environmentally Benefical clothing through the substantial verification, which was based on theoretical reviews. It also aimed to provided marketing aspects on the design, raw material, product quality, price, and brand recognition of environmentally Benefical clothing. For the substantial, verification following questions were developed. 1) Consumers' interests in purchasing environmentally Benefical clothing. 2) The consumer behavior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design, raw material, product quality, price, and brand recognition of environmentally Benefical clothing. 3) The changes in the consumer behavior on negative aspects of environmentally Benefical clothing. 4) The reasons of unfavorable behavior of environmentally unconscious consumers on environmentally Benefical clothing. Substantial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conducted on two hundreds and twenty-nine male and female students in graduate and undergraduate schools, resided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for Windows, version 8.0, and X2 and T-test were performed. Those results and issues, developed in the analysis of consumer behavior on the environmentally Benefical clothing, could be utilized in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the marketing activity for the clothing companies.

Impacts of health and environment consciousness on pro-environmental clothing purchasing and disposal behaviors (건강의식과 환경의식이 환경친화적 의류 구매 및 처분행동에 미치는 영향)

  • Kim, Yongsook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
    • v.22 no.3
    • /
    • pp.371-382
    • /
    • 201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ategorize of pro-environmental clothing purchasing and disposal behaviors and to identify impacts of health and environment consciousness on pro-environmental clothing purchase and disposal behaviors. The subjects were homemakers (n=381), and they were segmented into LOHAS group, environment conscious group, unconscious group, and wellbeing group according to their health and environment consciousness. Older homemakers were included in LOHAS group and environment conscious group. And these homemakers performed pro-environmental clothing purchasing and disposal behaviors better than wellbeing group or unconscious group. Health consciousnes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second-hand clothing purchasing and recycling. Environment consciousnes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clothing made with organic, natural or functional materials, or the second-hand clothing purchasing, and recycling of the second-hand clothing. There was a need to develop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o strengthen homemakers' health and environment consciousness, or to upgrade their pro-environmental clothing purchase and disposal behaviors.

소비재 물품중에 함유된 유기 주석 화합물(MBT, DBT,TBT)의 분석과 농도에 관한 연구

  • 이원진;양성봉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373-376
    • /
    • 2003
  • 본 연 구에서 얻어진 결과 제조업체별 수집한 합성피혁, 섬유, 플라스틱, 폴리우레탄, 실리콘수지등의 MBT, DBT의 농도는 대략 0 - 1000 ${\mu}g$/kg 정도의 분포를 나타내었고 TBT는 0-500 ${\mu}g$/kg 정도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합성피혁, 실리콘수지, 플라스틱 & 폴리우레탄, 천 등의 순으로 높게 검출 되었다. 이결과는 우리가 현재 가장 밀접하게 접하고 있는 신발, 스포츠의류, 가죽의류 등의 제품에서 유기주석 화합물의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 대해서는 선진국에서 규제하는 수준에는 부합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갈수록 선진국에서 환경인증에 대 한 요구를 강화함에 따라 국제적 환경인증 마크인 ‘에코텍스 스텐더드(Oeko-tex standard) 100’ 에서는 다음과 같이 규제하고 있다. TBT, DBT의 두 화합물로 기준치는 TBT의 경우, Product Class I은 0.5 ppm. II, III, IV의 경우는 1.0 ppm이며, DBT 는 Product Class I(유아용) 에만 해당하고 1.0 ppm이다. 우리나라도 대부분의 선진국처럼 유기 주석 화합물의 사용을 적극 억제하는 등 법적인 장치 가 마련돼야 한다고 여겨진다. 또한 유독성의 유기주석 촉매 대체물질로서 환경 친화형인 즉, MBT, DBT, TBT가 전혀 함유되지 않은 무독성의 유기금속촉매를 개발하는데 노력을 기울여 야 할 것이다.

  • PDF

의류밴드용 Thermoplastic Polyurethane 필름의 물성 분석

  • 박준호;전병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62-166
    • /
    • 2003
  • 탄성체는 크게 열경화성 탄성체(thermosetting elastomer)와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들 가운데 대표적인 소재로 반복하여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소재이며 환경친화적인 소재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왔고 그에 따른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은 가공의 용이성과 양호한 물리적 ㆍ화학적 성질 때문에 섬유용 소재에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산업용 소재로의 개발을 통하여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를 보이고 있다. (중략)

  • PDF

나주배 적과중 유과 생즙의 염색성

  • 이상필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4.04a
    • /
    • pp.116-117
    • /
    • 2004
  • 천연염색은 자연의 식물, 광물, 동물 등에서 염료를 추출하여 직물에 착색하는 것을 의미한다. 합성염료가 발명되기 이전까지 천연염료를 이용하여 의류 및 생활용품 등의 직물에 염색을 하고 인체에 장식을 하였다. 천연염색 중 대부분은 식물성 염료로서 식물의 껍질, 줄기, 열매, 뿌리 등으로부터 색소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천연염색은 그 색상이 차분하고 은은하며, 생리적 측면에서 항균성, 소취성이 있으며, 염색공정이 환경친화적인 저공해 염색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Customer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Smart Clothiong based on the customer's Lifestyle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수요 경향 -패션 라이프 스타일과 디지털 라이프 스타일을 중심으로-)

  • Cho, Ha-Kyung;Lee, Joo-Hye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114-1121
    • /
    • 2009
  • 1990 년대 후반 이후 스마트 의류 연구는 기능성 및 인간 친화적인 측면으로의 접근 필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기능 및 사용자 중심의 연구로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스마트 의류의 발달은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세분화되어 개발되고 있다다변하는 의류 시장에서 스마트 의류 상품기획은 기존의 의류 상품기획과 같이 소비자 트렌드 중심의 경향과 함께 소비자의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그 중요성은 날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스마트 의류의 연구는 기능성, 사용성 기반의 연구자 중심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어, 소비자 중심, 마켓 중심의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의류 기획에 있어 가장 밀접한 관련이 예상되는 의복 및 의복행동 라이프 스타일과 디지털 라이프 스타일을 중심으로 라이프 스타일의 유형을 분석하고,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 수용도와 인지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추후 스마트 의류의 수요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20 대, 30 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수용도와 인지 여부 및 스마트 의류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그 결과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은 유행추구형, 감각적 정보추구형, 실용적 기능추구형의 세 유형으로 도출되었으며, 유행추구형 집단이 스마트 의류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행추구형은 엔터테인먼트 의류군을 선호하였으며, 스마트 의류 속성 중 외관을 다른 집단에 비해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감각적 정보추구형은 감성교감의류 및 생체 신호 측정의류의 선호도 및 필요성을 높게 인지하고 있었으며, 실용적 기능 추구형은 생체 신호 측정의류 및 환경과의 상호작용 하는 의류에 대해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스마트 의류의 필요성을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 의류의 인식 및 선호도 등 상품화에 실질적인 평가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추후 스마트 의류의 상용화에 있어 시장 가능성 및 상품화를 위한 스마트 의류 기획 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 PDF

유아용 종이기저귀내의 다이옥신분석 -용출실험을 중심으로-

  • 신정화;안윤경;김은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4.05a
    • /
    • pp.177-177
    • /
    • 2004
  • 섬유제품의 유해물질의 유해성에 관한 연구로서는 가공처리제의 공해실태, 시판되고 있는 천 및 의류제품의 formaldehyde 함량조사와 인체장해실태가 조사된 정도이며, 무기 화합물, 유기 화합물질의 발암성 주요인이 되는 다이옥신에 관한 유해성평가는 전무한 실정이다. 환경친화적인 활동이 활발한 유럽 각국에서는 섬유제품의 환경마크인 Eco-Label를 기준으로 하며, 미국과 일본에서는 발암성의 원인이 되며 내분비계 장애물질인 다이옥신에 관한 피복의 유해성 평가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Home Economics Education Lesson Plan Design Using Gamification: Focusing on 'Eco-friendly Clothing Life Cycle' Theme (게이미피케이션을 활용한 가정과 수업 설계에 관한 연구: '환경친화적 의류 라이프 사이클' 주제를 중심으로)

  • Jang, Eun Ju;Kim, Hye Rin;Lee, Su Kyung;Kim, Eun Jo;Hwang, Shin Hye;Kim, Ji Seul;Kim, Nam Eu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34 no.1
    • /
    • pp.35-57
    • /
    • 2022
  • This study developed an 'Eco-friendly Clothing Life Cycle' class applying gamification. And the effect of and learners' satisfaction on the class were examined after implementation. The developed class was applied to 40 sophomore students from "A" high school in Gyeonggi-do from February 3, 2022, to February 10, 2022, in a total of 4 sessions. The class was conducted in the stages of production-distribution-consumption-disposal, and was conducted in a way that a mission is solved after learning in Gather Town. It is designed so that learners continuously repeat learning until they accomplish the mission. The learners completed pre-class and post-class questionnaires.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a randomly selected group of three learners. According to the pre-/post-class test comparison, the gamification class on the theme of "Eco-friendly Clothing Life Cycle" was found not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ers' immersion or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However, in the case of the learners with high levels of non-immersion tendency, the level of immersion in the class increased, and the satisfaction leve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immersion and self-directed attitude. Learners expressed 'concern' and 'expectation' about the gamification class, and said that although the developed class was using a 'new teaching method', 'appropriate use' was necessary. And learners were evaluated this class as a 'student-centered class' and acknowledged that it allowed 'self-directed learning'. The teacher who implemented the class said that this class was more effective in attracting students' expectations and interest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lasses, and that the class in the meta-verse environment was perceived as a new type of class in the non-face-to-face era. The teacher also mentioned that when applied to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a detailed design is needed that allows the learners to proceed smoothly, and the role of the teacher in the class was more important. And the teacher also mentioned that the class should be properly designed so that the expectations given by the 'game' do not obscure the essence of the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