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조절

Search Result 5,67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he effects of emotion, home environment, school environment on self-regulated learning: focusing on motivational and behavioral regulation (정서, 가정환경, 학교환경이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동기조절 행동조절 중심으로)

  • Lee, Shin-dong;Park, Hye-Yeong
    • (The)Korea Educational Review
    • /
    • v.22 no.2
    • /
    • pp.133-15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 home environment, school environment on self-regulated learning, focusing on motivational and behavioral regulation. Participants are 2070 students from 95 middle schools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KCYPS). The variables of emotions, home environment, school environment and motivational regulation, behavioral regulation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motion, home environment, school environment were correlated with on motivational and behavioral regulation. Second, emotion explained motivational regulation and behavioral regulation of self-regulated learning as well as home envi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All subvariables of emo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behavior control. Third, among subvariables of home environment, parents education and occupations, and annual household income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motivational regulation and behavioral regulation. However, home economic level perceived by students and parents' interest and abuse on students had great effects. Forth, school environment has a greater explanatory effect on motivational regulation and behavioral regulation. Particularly, friendships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during learning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These results showed that emotion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learning environment are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suggests the need for researches on these variables.

Object-Oriented Analysis for Bio-Environmental Control System (생물 환경 조절 시스템에 대한 객체 지향적 분석)

  • 강석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2.11a
    • /
    • pp.279-284
    • /
    • 2002
  • 생물생산에 따른 생산시설 및 환경조절에 대한 생물 환경 조절 시스템은 식물이나 동물과 같은 생물을 보호하기 위한 간단한 구조물에서 환경조절, 생물의 성장, 그리고 공간과 노동력의 이용 둥이 효율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복잡하며 정교한 시스템도 있다. 이 시스템이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어있더라도, 가장 중요한 목표는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고, 경제적인 이윤을 남기고 또한 경제적으로 살아남을 수 있는가에 있다. (중략)

  • PDF

A Design Study of Phase Changing Heat Exchanger for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환경조절장치용 상변화열교환기의 개념설계연구)

  • Yoo, Young-June;Oh, Chang-Mook;Lee, Hyung-Joo;Min, Seo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0.11a
    • /
    • pp.628-635
    • /
    • 2010
  • Properties of bleed air that is air source of ECS(Environmental Control System) can be rapidly changed with airplane engine operating conditions during flight. Therefore, ECS can be operated at a high performance or not during flight. So, high performance ACM has to be developed in order to flight safely. A adaptability of phase changing heat exchanger was esteemed at ACM type ECS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found that ECS outlet temperature can be controlled in a certain range with the phase changing phenomenon.

  • PDF

An Observation on Environmental Modification Behavior: Implications for University Apartments' Design (환경조절 행태에 대한 관찰연구: 대학 아파트 설계를 위한 시사점)

  • Kim, DukS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18 no.3
    • /
    • pp.9-17
    • /
    • 2012
  • 본 연구는 미국 소재 T 대학교의 학생아파트를 대상으로 하여 창밖으로 보이는 외부 환경의 차이와 거주자의 환경조절 행태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관찰연구로 진행되었다. 거주자와 거주환경간에 발생하는 부조화는 환경 스트레스의 한 원인이 된다. 이러한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대응 전략으로 거주자는 그들의 환경을 조정하곤 한다. 본 연구는 실내에서 식물을 키우거나 거주자의 취향에 따라 커튼을 교체하는 등의 환경조절 행태를 분석의 대상으로 한다. 창문과 현관 영역에서 발생하는 환경조절 행태의 정도를 비교 관찰하기 위해 군집형과 일자형으로 되어 있는 두 개의 배치 유형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군집형 유형(cluster type: type A)은 상대적으로 도로에 가깝고 거실 창문의 조망이 다른 건물에 가로막혀 있으며, 일자형 유형(parallel type: type B)은 가로막고 있는 건물이 없어 자연경관을 거실 창문을 통해 조망할 수 있는 배치상의 두드러진 차이점이 있다. 관찰연구를 통해 군집형 유형에서 일자형 유형보다 더 높은 빈도로 식물 화분과 개별 커튼 등을 이용한 개인적 환경조절이 이루어진 흔적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창문을 통해 보이는 외부 경관의 특성이 거주자의 환경조절 행태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암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관찰연구에서 나타난 거주자의 환경조정 행태를 반영하여 디자인 고려사항을 제안하였다.

생산 및 환경조절기술의 향상을 통한 시설원예 경쟁력 강화

  • 손정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2.11a
    • /
    • pp.33-44
    • /
    • 2002
  • 우리나라의 시설원예는 짧은 역사에 비하여, 괄목할 만한 성장을 거듭해 왔다. 특히 원예 산업이 농업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면서 국가적인 차원에서 온실의 첨단화 및 대규모화가 추진되었고, 수준 높은 작물 재배기술 및 환경조절 기술 등이 도입되어 시설원예의 발전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중략)

  • PDF

Analysis on the transmittance of shading materials (차광재의 광 투과율 분석)

  • 이현우;이석건;김길동;이종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9.11a
    • /
    • pp.241-244
    • /
    • 1999
  • 시설원예는 노지원예와 달리 인위적인 환경조절을 통하여 주년안정생산이 가능하여야 하고 단위면적당 생산성을 증대시키면서 품질향상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생산의 목표이다. 따라서, 주년안정생산을 위하여 고온기에 작물생산이 가능하도록 시설내 고온환경을 조절해야할 것이다. 고온환경을 조절하기 위한 냉방방식에는 자연환기 및 팬을 이용한 온실내부의 공기를 치환하는 방법, 온실내ㆍ외부에 차광망을 설치하여 온실내로 유입되는 일사량의 일부를 차단하는 방법, 수분증발을 통하여 온실내부의 잠열을 빼앗는 증발냉각방식, 히트펌프나 에어컨을 이용한 기계적인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Simulator for Environment Control of Agricultural Production Facility - Construction of Basic System with Numerical Model - (농업생산시설의 환경조절용 시뮬레이터에 관한 연구 - 수치모델에 의한 기본시스템 구축 -)

  • 손정익;최규홍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5 no.2
    • /
    • pp.111-119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main system of simulator for the environment control of agricultural production facilities. The model describing the system was based on the energy and mass balance in an unsteady - state situation. The model consist of the three major parts : the main model, the light model, and the environmental control model, and each part was separated to be developed individually. The main model which is the core of this system includes the thermal model, the soil model, the ventilation model, the cultivation model, and the carbon dioxide model. And also the environmental control model includes the thermal curtain model, the heater/cooler model and the underground heat exchanger model. The equations used in this model were written in analog programming methods using PCSMP The simulator was evaluated through comparison between simulated and measured temperatures controlled during daytime and night. The results showed good agreements between the predicted and measured temperatures.

  • PDF

Analysis of Actual State of House Structures for Vegetable Production (채소재배용 하우스의 구조현황 분석)

  • 이석건;이현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2.12a
    • /
    • pp.27-28
    • /
    • 1992
  • 장래 우리나라의 원예시설은 국내외 여건, 경제성장도, 식생활습관 및 농업정책 등에 의하여 그 형태와 규모, 피복재의 종류, 환경조절장치, 배지의 종류 및 사용에너지 등의 변화형태가 다소 차이가 있겠지만, 재배면적, 철골재의 사용, 경질필름이나 경질판의 사용이 증대될 것이며, 환경조절 및 작업의 자동화, 난방용 화석에너지의 대체에너지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