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emotion, home environment, school environment on self-regulated learning: focusing on motivational and behavioral regulation

정서, 가정환경, 학교환경이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동기조절 행동조절 중심으로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 home environment, school environment on self-regulated learning, focusing on motivational and behavioral regulation. Participants are 2070 students from 95 middle schools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KCYPS). The variables of emotions, home environment, school environment and motivational regulation, behavioral regulation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motion, home environment, school environment were correlated with on motivational and behavioral regulation. Second, emotion explained motivational regulation and behavioral regulation of self-regulated learning as well as home envi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All subvariables of emo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behavior control. Third, among subvariables of home environment, parents education and occupations, and annual household income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motivational regulation and behavioral regulation. However, home economic level perceived by students and parents' interest and abuse on students had great effects. Forth, school environment has a greater explanatory effect on motivational regulation and behavioral regulation. Particularly, friendships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during learning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These results showed that emotion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learning environment are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suggests the need for researches on these variables.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이 중학교 2학년이 된 5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정서, 가정환경, 학교환경이 자기조절학습의 구인인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95개교 2070명의 중학교 2학년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정서, 가정환경, 학교환경과 동기조절, 행동조절과의 상관분석과 정서, 가정환경, 학교환경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 가정환경, 학교환경과 동기조절, 행동조절과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는 자기조절학습의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을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환경 변인 중 물리적 환경변인인 부의 최종학력 및 직업 그리고 가구연간소득은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생이 지각한 가정경제수준과 심리적 환경변인인 부모의 관심과 학대는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환경이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의 가장 큰 설명력을 가지며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와 교사관계 모두가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