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적 요소

Search Result 8,02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한.중.일 역사문화경관 비교를 통한 상상적 환경 복원

  • Park, Gyeong-Bok;Sim, U-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 /
    • 2007.10c
    • /
    • pp.15-19
    • /
    • 2007
  • 본 연구는 서양의 과학적 합리적 이성주의에 대한 단절된 동양문화의 상징적 사유체계에 내재된 상상적 환경을 복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상상적 환경을 복원하기 위해 한국 중국 일본의 고대도시인 서울, 북경(北京), 교토(京都) 등을 사례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이들 사례도시의 역사 문화경관을 분석하여 상상적 환경요소를 도출하고자 해석학과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활용하였다. 동북아시아 삼국(한 중 일)의 역사문화경관 비교와 재해석을 통해 그 속에서 내재된 상상적 환경을 도출한 결과, 각 도시에 내재된 장소의 정신과 자연환경요소가 인문환경요소로 반영되어 구조화되었으며, 개별요소들이 결합하여 조직화되었고, 점진적으로 장소(場所)의 혼(魂)은 더욱 성화(聖化)되었다. 본 연구는 인간생활의 실존적(實存的) 장(場)인 도시공간을 상상적 환경이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비교분석한 최초의 시도로서 의의를 가진다. 그러나 동북아시아 삼국의 역사문화경관에 내재된 상상적 환경의 보편성을 확인한 것은 의미가 있으나, 각 도시별 세부적인 요소에 이르기까지 특수성을 밝히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 PDF

Model of Game Environment Design for Adanced Game Background Graphic and Map Design (게임 배경그래픽과 배경맵 설계를 위한 게임 환경디자인 모델 연구)

  • Joo, Jung-Kyu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4 no.3
    • /
    • pp.77-84
    • /
    • 2004
  • Game environment, game map and background graphic design is very important elements and factors that support fun, look & feel, immersion and player's acting fields. In this paper we defined elements of game background environment. And then make an investigation and refer to sundry records and books, we described elements of periodic environments, historic environments, natural environments, artificial environments, cultural environments, virtual environments, weather environments. Especially, the study suggests the model of game environment desgin to apply game map and game background graphic design.

  • PDF

Growth Modeling of Plant based on Message method in virtual Environment (메시지 방식을 이용한 가상환경에서의 식물의 성장 모델링)

  • 권정우;김병주;김태한;최운돈;박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621-623
    • /
    • 2003
  • 식물의 성장을 모델링 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시스템들은 식물의 성장에 대한 환경적인 요소를 고려하기 보다 식물의 모습을 얼마만큼 실제와 비숫하게 렌더링 하느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리고 환경적인 요소를 고려한다고 하더라도 자라는 모습을 표현하기 위한 환경적인 요소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에서 식물의 성장을 적절히 표현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메시지 방식을 통해 환경적인 요소를 식물에게 전달하고 식물을 composite object로 구분하여 각각의 object들이 하는 역할과 relation을 기반으로 하여 식물이 다양한 환경에서도 논리성과 사실성을 가질 수 있는 모델을 제시 하고자 한다.

  • PDF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Factor on the Emotion and Satisfaction at the Waiting Lounge of the International Cruise Terminal (국제여객터미널 대합실의 환경요소와 감정, 만족도 간의 영향 관계)

  • Kim, Gha-Ryong;Yhang, Wii-Joo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8 no.5
    • /
    • pp.519-525
    • /
    • 2014
  •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factor on the emotion and satisfaction at the waiting lounge of the Busan International Cruise Terminal. This study focus on tourist at the waiting area in the Busan International Cruise Terminal.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the research performed to face-to-face interview. For data analysis, used SPSS 18.0 and AMOS 18.0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ound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 of the lounge influenced on the positive emotion. Second, the social factor affected the positive emotion. Finally, emotion affected the positive satisfac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environmental factor was totally affected by emotion and thus environmental management depended on an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place. The port authority will need more efforts to make a better waiting lounge setting for higher tourist satisfaction.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Factor on the Emotion and Satisfaction at the Waiting Lounge of the International Cruise Terminal (국제여객터미널 대합실의 환경요소와 감정, 만족도 간의 영향 관계)

  • Kim, Gha-Ryong;Yhang, Wii-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210-211
    • /
    • 2014
  •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factor on the emotion and satisfaction at the waiting lounge of the international cruise termina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ound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 of the lounge influenced on the positive emotion. Second, the social factor affected the positive emotion. Finally, emotion affected the positive satisfac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environmental factor was totally affected by emotion and thus environmental management depended on an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place. The port authority will need more efforts to make a better waiting lounge setting for higher tourist satisfaction.

  • PDF

Selection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Flood Risk Assessment Using DPSIR Framework (DPSIR 체계를 이용한 홍수위험도 평가을 위한 평가인자의 선정)

  • Lee, Gyu-Min;Chung, Eun-Sung;Jun, K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51-51
    • /
    • 2011
  • 유역의 홍수위험도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홍수의 발생가능성과 유역의 홍수방어 능력 등의 환경적, 공학적 요소 이외에도 홍수로 인한 피해 및 영향의 종류에 따라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공학적인 요소를 반영해야 한다. 이들 홍수 피해 요소는 그 중요성이나 특성별로 홍수로부터의 방어 비중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지역별로도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인자 선정에 지속가능성 평가 모형인 DPSIR (Driving force-Pressure-States-Impacts-Response)을 이용하여 환경적, 공학적 요소뿐만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인 요소를 반영하고자 한다. DPSIR 모형은 유역의 영향 인자들을 지표로 선정하며 각 지표간의 유기적 관계를 반영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홍수로 인하여 인자 간에 발생하는 반응을 묘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전문가 및 이해당사자들의 견해에 따른 평가 지역의 특성과 지속적인 변화 가능성 등을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평가요소로 반영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추가 연구를 통해 남한강의 하도구간 별로 적용될 예정이며 각 인자들에 대한 자료는 문헌조사, 통계자료 조사 및 수리학적 수치모형 등의 분석을 통해 수집될 예정이다. 인자들에 대한 가중치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할 예정이다. 향후 하천의 구간별 상대적 홍수취약도를 사회, 경제, 문화, 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한 인자들을 반영하여 정량적으로 제시하므로 하천 구간별 치수관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플로팅 건축물 특성을 고려한 냉난방 부하산정 요소에 관한 연구

  • Im, Deok-Min;Kim, Ik-Hyeon;Hwa, Na-Hyeon;Gang, Yeong-Hun;Do, Geu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199-200
    • /
    • 2014
  • 최근 국내에서는 경제적 여유와 함께 웰빙에 관심이 높아지며 도심생활에서 벗어나 수변공간, 해양레저활동 등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수상에서의 다양한 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플로팅 건축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플로팅 건축물을 이용한 다양한 용도와 기능의 건축물들이 수상에 설치되고 있다. 플로팅 건축물 역시 사람들의 생활을 위한 공간으로 육상의 일반 건축물과 같이 쾌적한 거주환경 제공을 위하여 다양한 설비들이 설치되고 있다. 하지만 플로팅 건축물은 수상에 위치한 입지적 특성으로 인하여 육상의 일반건축물과 다른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설비시스템 도입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수상환경을 고려한 설비시스템의 설치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실내의 쾌적한 거주환경 유지를 위하여 중요한 요소인 냉난방설비는 충분한 성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시스템설계 전 충분한 환경적 요소를 고려한 부하산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플로팅 건축물의 입지적 특성을 고려하여 냉난방 시스템 설계 시 일반건축물에 적용되는 부하산정 요소 외 해수온도, 해수면 반사일사 및 창면적비를 부하산정 요소로 도입하고 각 요소별 특성을 고찰하여 플로팅 건축물 냉난방부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 PDF

Evaluation of the Habitat Suitability of the Hantan Dam Reservoir (한탄강 댐 저수지 생태환경 서식적합도지수 산정)

  • Gang, Hyeong-Sik;Bang, Seok-Bae;Park, Dae-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17-517
    • /
    • 2017
  • 본 연구는 저수지 주변 생태환경 서식적합도지수를 산정하여 댐 건설 전후의 생태환경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생태적 가치에 대한 평가 모델 고려 인자로는 고도, 경사 및 각과 같은 물리적 요인, 산림 지형, 식생 유형, 연령층, DBH 등급과 같은 초목 요인들, 그리고 생태 자연상태, 식생 보존 분류 및 야생 생물 출현 지점과 같은 서식지 요인을 이용하였다. 각 요소의 생태학적 기능을 고려한 평가기준을 정량화하여 개발된 모델은 한탄강 댐 저수지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댐 건설 이전의 생태 가치가 100이라고 가정했을 때, 댐 건설 이후에 물리적 요소는 83.9, 초목요소는 92.4, 그리고 서식처 요소는 84.5로 저하되었다. 전반적인 생태 가치는 건설 후 86.9 %, 13.1 % 감소하였다. 또한, 평가 요소를 쌓은 방법을 통해 생태학적으로 건강한 지역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댐 저수지에 생태 복원 계획을 수립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Multiple Sensory Modalities in Virtual Environments (가상 환경 하에서 다감각 변수들의 영향도 평가)

  • Hong, Jeong-Hun;Jeong, Dong-Hyeon;Sim, Song-Yong;Song, Chang-Geu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7 no.9
    • /
    • pp.931-941
    • /
    • 2000
  • 본 논문은 가상환경 속에서 사용되는 다감각(시각, 청각, 후각, 촉각)요소가 현실감에 끼치는 영향력을 평가한다. 이번 실험에 80명의 피실험자가 참여하였으며, 여러 감각 요소들을 조합한 가상환경을 경험하게 하여 얻은 실험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각 요소들의 영향도를 평가한다. 주된 평가 요소는 가상 현실 환경 속에서 피실험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현심감과, 감각 요소들이 피실험자들의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한 결과를 가지고 분산분석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여 본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우리는 이러한 다중 감감 요소들이 단일한 감각요소가 있을 때에 비하여 가상 환경 속에서의 사물에 대한 기억력과 현실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얻는다. 또한 피실험자가 느꼈던 가상환경 속의 현실감과 사물에 대한 기억력에 대하여, 시각적인 요소를 증가시키는 것보다 그 외의 다른 요소(청각, 후각, 촉각)들을 첨가시키는 것이 현실감과 기억력을 배가시키는 요소로써 더 효과적이고 민감하게 반응한다.

  • PDF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Elements for Physical Computing Game Development (피지컬 컴퓨팅 게임 개발을 위한 환경적 요소에 관한 연구)

  • Lee, Jun Suk;Rhee, Dae Woong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21 no.1
    • /
    • pp.81-90
    • /
    • 2021
  • In this study, we derive the important environmental elements for developing physical computing game. Environmental elements are sele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hysical computing environment in the area including physical computing itself, existing physical computing games, digital art, and information education. The derived elements are verified by Delphi's investigation methodology. The 27 factors are chosen in terms of development environment, development case, and development service. Among them the environmental aspects of physical computing are ranked as the highest impor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