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을 위한 디자인

Search Result 1,21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the Children's Hospital Waiting Room Environmental Graphic Design to Ease Phobic Psychology (심리적 공포 완화를 위한 아동병원 대기공간의 환경 그래픽 디자인 연구)

  • Yin, Xiang-Hua;Zhang, Chao;Yoo, Woo-J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3
    • /
    • pp.401-412
    • /
    • 2022
  • Children will present phobic psychology in the special environment in hospital. Therefore, children's psychological emotion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construction of the hospital environment. After that, the three stages and seven emotional factors which stimulate children's emotions will be summarized and applied to the graphic performance in children's hospitals, so as to alleviate children's fear. Plus, through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cases, the graphic representation types of children's hospitals are divided into modern design, illustration design, three-dimensional design, interactive design, and these emotional factors are integrated into the graphic representation for evaluation. Here comes the evaluation results: there are little or no emotional factors in modern design; there are less emotional factors in illustration design and three-dimensional design due to less feelings and experiences. However, the results show that children feel much better from all aspects because there are more emotional factors with the help of interactive design. Based on the above evaluation results, here comes the graphic design guidelines for children's hospital waiting room.

A Study on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Countermeasures for Subway Stations - Mainly development of checklist for the Subway stations - (유니버셜 디자인 측면에서 지하철역 환경 평가와 개선방안 - 지하철 역 환경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을 중심으로 -)

  • 황원경;신경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Conference
    • /
    • 2002.04a
    • /
    • pp.130-134
    • /
    • 2002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better design of subway station based on universal design principle.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ate as follows: Checklists were developed to evaluate the subway stations facilities based on universal design principles Modified and/or complementary lists can be employed to develop the evaluation tools and can construct a database for defining the standard items in order to improve the facilites.

  • PDF

A study on Agricultural Brand naming and packaging design for online sales - Focusing on egg packaging design development - (세미나 - 온라인 판매를 위한 농산물 브랜드네이밍과 포장디자인 - 계란 포장디자인 개발을 중심으로 -)

  • Kim, Gok-Mi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70
    • /
    • pp.88-99
    • /
    • 2015
  • 본 고는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제40호 논문집에서 발췌한 것으로 학회의 동의 아래 게재함을 밝힌다. 최근 무역환경 변화에 따라 경쟁력이 열악한 국내 농산물 시장은 혼란이 가중되고 있으며, 시장이 세분화되고 고객의 욕구가 다양해지며 농산물 제품도 품질, 기능, 가격 등의 경쟁력만으로는 더 이상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다. 급속도로 변화하는 사회 환경과 시장 변화에서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고 기존 농산물과 차별화된 독창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농산물 마케팅이 중요 과제로 연구되고 있다. 또한 농업 마케팅 분야에서 포장디자인이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유발시키는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며 제품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 생산물 중계란 포장디자인 개발을 중심으로 소비자가 기억할 수 있는 브랜드네이밍, 구매 욕구를 유발시킬 수 있는 포장디자인 콘셉트를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온라인 판매용으로 개발되는 계란 포장디자인은 브랜드네이밍이 매우 중요하며 유통과정에서 제품의 운반, 보호를 위한 기능까지도 고려하여 하기 때문에 조형성, 기능성, 심미성, 합목적성으로 제작, 설계된 디자인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 PDF

Create New Service for Hometown Mart (부산지역 홈마트 신개념 서비스창출에 관한 연구)

  • Lee, Seong-Pil;Hyeong, Seo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8.10a
    • /
    • pp.155-158
    • /
    • 2008
  • 오늘날 다양해지는 산업구조에서 가장 핵심적인 분야로 떠오르고 있는 서비스는 국가의 미래전략사업으로 현재 각 국가들은 서비스를 중요한 이슈로 타 학문과의 연계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서비스란 국가의 생활환경과 문화 수준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신 개념의 서비스는 접근방법에 있어서 소비자가 원하는 요구조건을 개인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서비스라는 공통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동양에서의 서비스란 단순히 무료로 가치를 보상받지 않고 육체적, 물리적 가치를 상대에게 제공한다는 의미로 해석되고 있는 반면, 서양에서 서비스 개념은 가치를 제공함 으로서 합당한 대가를 돌려받는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러한 서비스의 개념은 디자인을 서비스라는 시각에서 볼 때 소비자에게 가치의 제공이라는 개념으로 지금까지 많은 기업 및 산업체에서는 디자인을 실시하는 행위가 소비자를 위한 서비스 제공이라는 개념으로 생각하지만 실제 디자인에서 서비스 접근방법은 명확한 기준과 근거가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부산 관광자원의 중요 요소인 쇼핑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소비자의 이용 빈도가 높은 부산시 마트(Mart)를 중심으로 이용자에게 좀더 편리한 쇼핑환경을 제공하기 위한서비스디자인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실제 마트(Mart)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심리분석과 문제점, 행동분석을 통해 쇼핑환경을 개선하고 이용자에게 편리한 제품디자인 방법을 연구하여 마트(Mart)의 서비스 디자인 방법을 찾아본다.

  • PDF

A Study on practice for an Environment Friendly Design (환경친화적 디자인을 위한 실천을 관한 연구)

  • 송인호;이종석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3 no.4
    • /
    • pp.33-41
    • /
    • 2000
  • More recently, the ecocide like an environmental shocks of acid rain, oil spills and now the ozone layer have driven home the fact that we're all responsible for looking after our natural environment and threaten the our right to live. At such a situation enterprises has been to develop techniques of enhancing environment friendly design.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oducing environment friendly product - especially at electronic product like a high accumulated thing and produced with a small amount - while they know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Because of a direct and actual disadvantage of enterprise and customer. Moreover it is rare and negative for physical point that an adaptation case of recycled material or natural one for design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ositive consideration and action of design process for the nature. In this paper the focus of interest is find out the active and real environmental friendly design practice scheme as a designer and understanding of basic of the environmental friendly design for a coexistence of the enterprise, customer, and environment.

  • PDF

Critical Discourse of Postmodern Aesthetics in Contemporary Furniture (III) - Consideration of the Ecology of Our Environment in New Design Furniture in terms of the Postmodern Aesthetics of Communication

  • Moon Sun-Ok;Daniel Vesta A. H.
    •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 /
    • v.14 no.1
    • /
    • pp.23-34
    • /
    • 2003
  • 이 논문은 우리 환경의 생태계 보호를 위하여 뉴 디자인 가구가 어떻게 창조되고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즉, 오늘날 포스트 모던 시대에 뉴 디자인 가구 디자이너들이 환경 문제의 해결점의 하나로 새롭고 다른 방향으로 자신들의 가구를 창조할 수 있는가에 관한 담론이다. 우리가 안고 있는 생태계 보호를 위한 가구를 디자인할 때 필요한 재사용 및 재활용이 가능한 재료들, 유행을 초월한 가구, 가구의 견고성, 대량 생산 가구 등이 심각하게 분석되었다. 이 분석에 따르면 뉴 디자인 가구 디자이너들은 재활용된 재료들, 주거 환경 및 지속성, 새로운 가구 미학을 내포한 새로운 가구 디자인 철학을 얻을 수 있었다. 대량 생산된 가구는 경제성 때문에 많은 대중에게 접근되는 좋은 점보다는 우리에게 더 많은 쓰레기 더미를 준다라는 사실이 뉴 디자인 가구 다자이너들에게는 매우 심각한 문제였다. 따라서 가구 디자이너들이 양보다는 질에 중점을 둔 가구를 창조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환경적 책임을 느낀 뉴 디자인 가구 디자이너들은 튼튼하면서 재활용될 수 있으며 유행을 초월한 기능적이면서도 미적인 가구를 창조할 때만이 뉴 디자인 가구론 구입하는 소비자들이 뉴 디자인 가구를 올바른 방향에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Designing User Experiences in Network Environment with Scenario-Based Design - PACT Analysis Approach to Conceptual Design - (시나리오 기반 디자인을 이용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사용자 경험 설계 - PACT 분석을 적용한 개념 디자인 연구 -)

  • Lee, Sang-Hee;Kim, Joon-Hwan;Yim, Jin-H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240-245
    • /
    • 2006
  • 시스템의 복잡도가 증가하고 컨버젼스 제품들이 늘어나면서 기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방법론으로 미래의 사용자 환경을 예측하기엔 한계를 보인다. 또한, 제품 개발 시 관련 부서간 협업의 비중이 늘어난 반면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가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경험 설계 방법론으로써 PACT 분석을 응용한 시나리오 기반 디자인(Scenario-Based Design)을 채택하여 디지털 가전제품간의 네트워크 사용 환경에 대한 개념 디자인 방향을 효율적으로 제시하였다. PACT 분석은 People, Activity, Context, Technology 등 4 가지 요소를 시나리오 전개의 중요한 인자로 삼고 있는 방법론으로써 미래 사용 환경에 대한 예측과 체계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다양한 전공자들로 구성된 관련 부서간의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활용되어 각 분야의 전문성을 결과물에 반영하기에 효율적이었다. 추후 연구과제로는 본 방법론을 체계화하여 복잡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도메인을 위한 사용자 중심의 설계 프로세스를 구성할 예정이다.

  • PDF

A Case Study on Child-Friendly Public Design in The Surrounding Areas of Shenzhen Elementary Schools in China (초등학교 주변구역의 아동친화도시형 공공디자인에 관한 연구 -중국 선전시(深圳市)를 연구대상으로-)

  • Zhao, Duo-Duo;Hong, Kwan-S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6
    • /
    • pp.354-366
    • /
    • 2020
  •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propose improvement options and guidance methods for public design around elementary schools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 friendly cities. The study first takes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s a benchmark, and integrates relevant United Nations documents on child friendly cities and those on child friendly cities in Shenzhen to derive five principles of public design around child friendly schools, namely, safe environment, protective measures, pedestrian friendly environment, independent environment for going out, convenient and fun environment. Subsequent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ublic design of 25 elementary schools in Futian District, Shenzhen, China, evaluates the quality level of public design according to the five principles, and points out the problems that exist in public design with lower quality level. Furthermore, in response to the existing problems of public design around elementary schools in Shenzhen, this study improves them from three aspects: public space, public facilities and public media design. More importantly, the design reinforces the safety and child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facilitates children's walking and independent going out, and provides a convenient and fun design that meets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needs of children, designed to be child-friendly. Not only does this design provide guidanc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environment around the elementary school in Shenzhen, but also provides guidelines for the construction of a child-friendly city in Shenzhen.

디자인 중심의 칼라 콘크리트 도로포장을 위한 레드머드의 재활용 연구

  • Jeong, Dong-Yeong;Choe, Gyeong-Rak;Hong, Jong-Hyeon;Kim, Mun-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354-358
    • /
    • 2007
  • 레드머드와 피그먼트의 미세구조분석과, 이를 이용한 칼라 콘크리트의 강도 특성 연구, 초기 건조수축 실험, 그리고 색상분석 결과, 레드머드를 사용한 칼라 콘크리트는 산업현장에 실용화될 수 있는 충분한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뿐만아니라 종래의 산화철 피그먼트를 사용한 칼라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월등히 우수한 디자인 특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레드머드는 디자인 중심의 도로포장 조성에 대량 이용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향후, 장기적인 색상분석과 강도특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