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오염 저감 및 제어기술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merging Remediation Technologies for the Contaminated Soil/Groundwater in the Metal Mining Areas (금속광산지역 오염 토양/지하수의 복원기술 동향)

  • 김경웅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7 no.1
    • /
    • pp.99-106
    • /
    • 2004
  • Pollution reduction and/or control technology becomes one of the pressing post-semiconductor research field to lead an advanced industrial structure. Soil/groundwater remediation techniques may act as a core technology which will create many demands on pollution reduction areas. A plenty numbers of abandoned metal mines were left without any remediation action in Korea, and it may be potential sources of heavy metal and As contamination in the ecosystem. In order to bring this soil contamination to a settlement, the emerging soil/groundwater remediation techniques should be introduced. Main research topics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move towards the clean remediation technology without any secondary impact and the feasible application of developing technique into the field scale study. With these advantages, several soil/groundwater techniques such as electrokinetic soil processing, permeable reactive barrier, stabilization/solidification, biosorption, soil flushing with biosurfactant, bioleaching and phytoremediation will be summarized in this paper.

A Study on the Reduction Effectiveness of Vehicle Emission by Biodiesel Fuel (바이오디젤 사용에따른 오염물질 개선효과 연구)

  • 류정호;엄명도;김종춘;이태우;김선문;김기호;정충섭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81-182
    • /
    • 2003
  • 경유엔진은 가솔린엔진에 비해 연소특성상 연료소비효율이 우수하여 온실가스인 $CO_2$ 배출이 적은 반면 대기 및 인체위해성이 높은 NOx와 입자상물질(PM)의 배출이 많아 대기저감을 위한 연료의 고압분사, 전자제어식 EGR기술등 엔진개량기술과 매연여과장치, De-NOx등 후처리기술 그리고 대체연료사용 기술등 다양한 저감대책이 전세계적으로 강구되고 있다. 특히 경유엔진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로 인한 대기오염영향은 점차 증가하고 있어 대체연료사용 및 배출허용기준강화둥 우리 실정에 적합한 효율적인 대기저감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중략)

  • PDF

Design Technique of First Flush Treatment System Using Waterside Land (제외지 지하공간을 활용한 초기우수 제어 시스템 설계기술)

  • Seo, Dongil;Koo, Young Min;Kim, Jaeyoung;Kim, Byung R.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52-652
    • /
    • 2015
  • 도시유역의 소하천은 불투수 면적의 증가 및 우수관거의 설치로 인해 오염물질 및 강우의 유달률이 증가한 반면 침투 및 저류 기능의 감소로 인해 지하수위가 저하되어 비강우시에 현저하게 유량이 감소되어 하천환경에 심각한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연구에서 유역에 저영향개발기술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들은 과다한 면적을 필요로 함에 따라 설치 및 유지관리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고 기존에 개발되어 있는 도시유역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소하천의 유량과 수질 문제를 저감하기 위해 위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하천 제외지 지하공간을 이용하여 초기 우수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시스템은 도시유역에서 강우에 의해 초기에 오염물질이 다량으로 유출되는 소위 초기세척효과를 제어하기 위해 침전시스템을 설치하고 및 교체가 가능한 카트리지형 여과 시스템으로 구성하였다. 여과 시스템에서 섬유필터를 이용하여 수질을 개선하고 또한 침전 및 여과시스템에 저류가 가능하도록 하여 도시 소하천의 유량에 따라 방류를 조절함으로써 도시 하천의 건천화 감소에 도움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초기우수 제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 적용 결과와 자동모니터링 스시템을 활용하는 종합설계 및 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시범 유역에 SWMM을 구축하고 보정 및 검증을 실시하였다. ?측 및 SWMM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 연구대상 지역에서 처리시설에서 수용할 수 있는 초기우수유출량의 적정량은 초기강우 4시간 또는 6 mm의 누적강우량으로 산정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현장의 지형여건에 따라 시스템의 설계기준이 수립될 수 있다.

  • PDF

A Plot Scale Experiment to Assess the NPS Reduction for Non-irrigated Cropland (밭 비점오염 저감효과 평가를 위한 포장실험 연구)

  • Park, Tae-Yang;Kim, Sung-Jae;Jang, Jeong-Ryeol;Choi, Kang-Won;Kim, Sa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13-313
    • /
    • 2011
  • 오염물질은 배출원의 형태에 따라 점오염물질과 비점오염물질로 구분하고 있고 점오염물질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축산폐수, 환경기초시설 방류수 등으로 발생원이 명확하고 수집하여 처리 및 관리가 용이하나 비점오염물질은 배출위치가 명확하지 않으며, 강우 시 일시적으로 대량 배출되는 특징을 가진 농경지, 도로, 대지, 임야 등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비점오염은 전체 수질오염의 42~67%(2003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2015년에는 전체 수질오염의 65~75%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중 농업 비점오염원은 총 수질 오염량의 30%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이를 저감하기 위한 최적관리방법의 효과검증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 중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을 저감하기 위한 기법으로 다양한 규모와 형태의 Silt Fence/식생밭두렁/침사구를 설치하여 밭 비점오염에 대한 저감효과를 평가하고 제어대책을 개발하여 최적관리기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매뉴얼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실시하려 한다. Silt Fence는 주로 건설공사현장에서 홍수유출 발생 시 인접한 하천 및 호소 등으로 유사 및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임시적으로 설치하는 시설로 합성 직물 필터를 나무나 금속 막대로 연결하여 등고선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대상 지역의 토양이 교란되기 전에 그 지역 아래쪽에 설치한다. 식생밭두렁은 밭의 이랑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강우 시 빗물이 하단에 이를 때 늘어난 유량과 빠른 유속으로 토양침식이 가중되는데, 이때 30~35m간격으로 식생밭두렁을 설치하게 되면 상부와 하부의 침식정도가 유사한 경향을 보여 식생밭두렁을 설치하지 않은 지역에 비해 토양의 침식정도가 작게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Silt Fence/식생밭두렁/침사구의 밭 비점오염의 저감효과 평가 및 제어대책 개발을 위한 기초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경상남도 사천시 용현면 선진리 일대에 시험포장을 조성 하였으며, 시험포장내에 6개의 Plot을 만들어 하단부에 포장에서의 유출수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플룸을 설치하였고 실내실험을 통해 플룸의 수위-유량관계 곡선을 작성하였다. 포장의 토양특성을 판별하기 위해 Plot별로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특성을 분석 한 결과 6개 Plot모두 모래함량이 많은 점토질 사질토로 분류되었다. 향후 강우 시 시험포장에서 발생하는 유출수의 수질을 분석하고 Silt Fence/식생밭두렁/침사구의 오염물질 저감효과를 분석하여 제어대책을 개발하게 되면 농업수자원확보를 위한 관리방안 선정을 위한 정책수립에 활용될 수 있으며 비점오염 배출을 최소화시켜 수질의 개선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농업에 적합한 최적영농관리기술을 개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rends and Prospects of Adsorption Technology for Indoor Carbon Dioxide Reduction (실내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흡착 기술의 동향 및 전망)

  • Kang, Hyerin;Lee, Ye Hwan;Eom, Hanki;Kim, Sung Su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3 no.4
    • /
    • pp.1-12
    • /
    • 2020
  • 최근 실내 공기질(IAQ; indoor air quality)을 악화시키는 물질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 저감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다. 현재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방법에는 흡착법, 흡수법, 막분리법 등이 있다. 그 중 흡수법은 액체 상태의 흡수제를 분사하는 공정 특성상 실내에 적용하기 어렵고 2차 오염물 또는 폐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막분리법은 이산화탄소 분리를 위한 응집 및 침전과 같은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므로 실내 이산화탄소 저감에 적합하지 않다. 반면, 흡착법은 비교적 저렴하고 운영이 간단하여 적용 사례가 증가하였으며, 유동 인구가 많고 환기가 어려운 지하철, 버스 등의 대중교통 차량 내부 및 교실, 사무실, 공공시설에서 배출되는 실내 이산화탄소를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가장 적합한 해결책으로 알려져 있다. 흡착 공정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흡착제 종류에는 활성탄, 제올라이트, 알루미나 등이 있으며, 이 흡착제들을 개질 및 성형하여 흡착제의 성능 및 기계적 강도를 증진시키는 고도화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이처럼 적용 대상 내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흡착제 제조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며, 흡착제를 상용화 수준까지 발전시킴으로써 강화된 실내 공기질 규제 기준에 대한 대응 및 삶의 질 향상이 기대된다.

카이트 추진형 레저보트의 자동항해에 관한 연구

  • Gang, Min-Su;Sin, Il-Sik;Yun, Cheol-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93-94
    • /
    • 2013
  • 카이트 보딩은 윈드서핑, 요트 등과 같이 바람을 이용한 수상레저기구이며 국내에서는 소수의 동호인을 중심으로 매니아 층을 형성하고 있다. 최근 해양레저장비 분야에서도 친환경기술과의 접목이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해외에서는 대형선박의 연료비 절감 및 환경오염 인자 저감을 위한 선박 추진용 카이트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카이트 추진형 레저보트를 대상으로 풍속, 풍향, 카이트의 위치 등에 따라 자동제어 및 운항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Water Quality Impact Assessment in Korea - Comparing with the Integrated Control of Pollutant-Discharging Facilities - (수질분야 환경영향평가의 개선방안 - 환경오염시설의 통합관리와 대비하여 -)

  • Lee, Jong Ho;Cho, Jae He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5
    • /
    • pp.331-343
    • /
    • 2017
  • The important changes in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in Korea can be summarized as the enactment of Act on the Integrated Control of Pollutant-Discharging Facilities. Therefore water quality impact assessment should be reexamined and be revised. This study examines the present water quality impact assessment items (permissible discharge limits, standards for effluent water quality including Total Pollutant Load Management System) and considers the land use regulation for water quality conservation and NVZs(Nitrate Vulnerable Zones of EU and England). It also considers lately adopted standards(maximum discharge standards,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s, and marginal discharge standards etc) based on Act on the Integrated Control of Pollutant-Discharging Facilities and then compares Korean BAT and its counterpart control technology of U.S.A. And it also compares the items of water quality impact assessment with those of Integrated Control of Pollutant-Discharging Facilities, based on EIS reporting items. This study suggests five improvement measures for water quality impact assessment. First reflection of discharge impact analysis on impact prediction and assessment, second reflection of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s on agreed standards in the EIA procedure, third, reflection of diversified BAT on mitigation measures in the EIA procedure, forth introduction of land use regulation such as NVZs, finally strengthening linkage between water quality items and land use items etc.

Study on the Reduction of NOx in Plasma-Catalytic Hybrid Reactor (플라즈마 촉매 복합공정에서 질소산화물 저감 연구)

  • 정원석;이용환;최유리;정재우;조무현;남궁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423-424
    • /
    • 2002
  • 산성비의 원인이자 주요 대기오염물질로 규제되고 있는 질소산화물은 주로 이동오염원, 발전소 및 산업시설에서 배출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배출 기준이 점차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질소산화물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기술도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는데, 이중 플라즈마와 촉매를 동시에 이용할 경우 상승효과가 있음이 보고된 이후 복합공정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electronic EGR valve control method (전자식 EGR밸브 제어기법에 관한 연구)

  • Choi, Sang-Yun;Lee, Sang-Hun;Lee, Seon-B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5
    • /
    • pp.2594-2602
    • /
    • 2014
  • As environmental awareness increases, regulations on exhaust gas of automobile, which is a cause of air pollution, have been strengthened. In order to meet emission regulation, automobile companies and engine manufacturers have actively developed the related technologies. Because the emission control has become severe, the systems using electronic motor or solenoid valve for high precise control are needed. For this reason, it is required not only the optimization of composition of components for improving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the system but also the development of optimal design technology of electronic control system by securing the designing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of the components. In this paper, it is proposed the position characteristics for electronic EGR valve module through the applied control logic and experiment results.

Determination of Detention Basin Size for NPS Control in TMDL Area (수질오염총량관리제하에서 친환경 개발사업을 위한 자연형 비점저감시설의 규모 산정)

  • Jung, Yong-Jun;Lee, Eun-Ju;Lee, So-Young;Lim, Keong-Ho;Kim, Lee-Hyu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9 no.2
    • /
    • pp.1-8
    • /
    • 2007
  • Since 2000, environmental policies and regulations in Korea are rapidly changing to TMDL(Total Maximum Daily Load) and nonpoint source control. This is due to bad water quality in drinking water sources. Although many environmental facilities having high removal efficiency are constructed and applied in nationwide for controling various pollutants from wastewaters, the water quality in rivers is worse and worse because of nonpoint pollution. In fact, TMDL is a new environmental regulation controling total daily loadings from watershed areas. Actually, the nonpoint pollutant is originated from various landuses and its control is based on TMDL regul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size of detention basin to control nonpoint pollutants from resort developing areas. The detention basin is one of best management practices, which is useful for controling pollutants and flooding from the developing areas. However, it should be designed and constructed with cost effective method. Recent 10 years rainfall data are used to determine the size of detention basin. The cost effective size is determined to 7.4mm accumulated rainfal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