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에 대한 소양

Search Result 14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Ecotope Diversity Transition Analysis in the Middle of Mankyung River (만경강 중류 에코톱다양성 추이분석 연구)

  • Kim, Woo Ram;Kim, Ji Sung;Kim, Kyu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80-480
    • /
    • 2016
  • 에코톱은 생태학적 지휘체계(Niche)와 서식처(Habitat)가 결합된 환경을 의미하며 도면에서 최소한의 단위로 일반적인 구성요소의 상태, 잠재자연식생, 잠재생태계 기능으로 균일하게 분류가 가능한 요소로서 천이단계 또는 토지이용이 서로 다른 패치들로 이루진 생태공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에코톱과 비오톱은 식물과 동물의 특정 군집에 요구되는 서식공간의 개념에서는 의미가 같지만 비오톱은 서식공간의 일부분 또는 한 개 이상의 생물이 서식가능한 공간의 개념으로 사용된다. 현재 네덜란드, 스페인을 포함한 유럽국가에서는 에코톱분류를 통한 하천을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 중류 소양천 합류점에서 전주천 합류점까지 약 3.5km 구간의 제외지포함 제내지 1km 폭을 대상으로 1918년 고지도 토지피복을 분류하고, 1948년 해방이전 항공사진, 2003년 2014년 항공사진을 활용한 에코톱을 분류하여 이에 대한 에코톱 다양성지수를 추이분석하여 하천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별 에코톱다양성지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과거 제방축조 이전인 1918년 에코톱 다양성 지수는 하천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안정적으로 감소하였으나 1948년 이후의 하천은 제내지에서부터 지수값이 급격히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1948년 이후의 만경강은 과거 1918년 하천에 비해 구하도 공간이 농경지 증가, 보설치 등으로 인한 인위적 교란에 의한 감소로 분석되어지며 에코톱다양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생물종다양성 역시 감소하였음을 유추할 수 있다.

  • PDF

Evaluation of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for Watershed Scale According to Application of BMPs by Crop Land (유역단위 경작지별 비점오염저감시설 저감 효율 평가)

  • Lee, Gwanjae;Lee, Seoro;Yang, Dongseok;Lee, Jimin;Lim, Kyoung Jae;Jang, Won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04-404
    • /
    • 2021
  • 기후변화에 따른 물 순환과정의 변화는 유역내 강우패턴 및 강우강도, 유출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유역내 강우패턴 및 강우강도 등 물 순환과정의 변화는 강우에 의한 유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비점오염원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고랭지밭에 밀집되어 있어 강우에 따른 토사로 인한 탁수가 빈번하게 문제가 되고 있는 소양호 유역은 비점오염원관리지역으로 지정되어 탁수를 저감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노력들 중 환경부에서는 개별 경작지마다 BMPs(Best Management Practices)를 적용하여 강우에 의한 탁수를 저감하고자 하였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설치할 계획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적용하였을 때의 저감효율은 밭의 면적이나 경사도, 경사장 등 다양한 조건을 고려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에 따라, 각 경작지에 적용된 개별 비점오염저감시설이 유역 말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역시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나 비점오염저감대책 및 계획은 유역 말단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많고, 유량 및 수질에 대한 모니터링 자료 역시 유역 말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개별 비점오염저감시설이 유역 말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역단위 평가모델 중 하나인 SWAT을 이용하여 각 경작지 별로 실측 경사장 및 경사도, 개별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적용하였으며, 개별 비점오염저감시설이 유역말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 PDF

The Composition of Curriculum to Improve ICT Instructional Media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 (유아교사의 ICT 수업매체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구성 방안)

  • Lee, Young-Mi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12
    • /
    • pp.588-59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ICT-oriented teacher curriculum in order to improve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y using ICT instructional media.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and current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y. After identifying the necessity of ICT instructional media competency, the contents of an ICT-oriented teacher curriculum were designed. A survey of teacher competency among 207 teachers showed the highest educational need for ICT instructional media competency. In addition, ICT-based teacher curriculum was classified into ICT literacy education and ICT utilization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sub-indexes on ICT instructional media competency. Each part was hierarchized into three levels of awareness, application, and spread according to the teacher's competency level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goals set for each level. In this study, it consisted of ICT literacy education, including understanding educational policy related to ICT utilization, understanding the goals and assessment of the ICT curriculum and ICT utilization education, including the use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pplication of digital technology, ICT learning environment building and management for developing teacher professionalism related to ICT instructional media.

Sediment Unit Loads from Developing Areas during Storms (개발사업장에서의 강우시 토사 유출원단위 산정)

  • Kim, Cheol Min;Lee, Eun Ju;Lee, So Young;Kim, Young Chol;Kim, Lee Hyu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0 no.1
    • /
    • pp.59-68
    • /
    • 2008
  • Three phases of development in construction projects (i.e. pre-development, construction and post construction) diversely effect the environment, hydraulics and ecosystem. Currently, the domestic environmental policy is in control of the various environmental hazards produced after completion of development operations. Nevertheless, with the enforcement of water pollution total amount management system, improving the water quality; also the water and ecosystem preservation law recommends enforcing the sediment management for development operations in order to lessen the negative impacts to the environment. Recently, the country is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various development project locations due to insufficiency of interpreting the fundamental data for sediment loss and miscalculation of soil loss unit loads of sediment. This research utilizes data from 2000 to 2005 discussing a total of 1,036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projects gathered from various ministries and offices namely Ministry of Environment (MOE), Ministry of Agriculture, the Office of Forestry, and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Moreover, quantity of sediment from high land agriculture reports involving contaminant discharge characteristic investigation previously did concerning old land agriculture and So-Yang lake non-point pollution source management area as well as management measured data from MOE.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that the highest soil loss rate occurred from mountain district for pre-development and post construction and sports facility during construction.

  • PDF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Kindergarten Teachers' Science Anxiety (유치원 교사의 과학 교수 불안에 영향을 주는 교사 내 . 외적 요인)

  • 조부경;고영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4 no.2
    • /
    • pp.267-27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kindergarten teachers' science anxiety. The subjects were 182 kindergarten teachers. The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scientific literacy, science-related experience, type of kindergarten, age of classroom students, science supporting environment of kindergarten, and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were examined as possible factors affecting teachers' science anxie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ience-related experience, science supporting environment of kindergarten, and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were related to the teachers' science anxiety. However,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kindergarten teachers' science anxiety was science-related experience.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at positive science experiences affect decreasing teachers' science anxiety

Utilization assessment of meteorological drought outlook information based on long-term weather forecast data (장기예보자료 기반 기상학적 가뭄전망정보의 활용성 평가)

  • So, Jae-Mi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0-40
    • /
    • 2017
  • 최근 2014년 마른장마의 영향으로 중부 지방에 가뭄이 발생하였으며, 장마철 강수부족은 2015년까지 영향을 미친바 있다. 이로 인해 소양강 댐은 역대 최저수위를 기록하였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제한급수, 농업용수 부족 등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일반적으로 가뭄은 발생순서에 따라 기상학적, 농업적, 수문학적 가뭄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Wilhite and Grantz, 1985). 기상학적 가뭄은 농업 및 수문학적 가뭄에 영향을 미치는 가뭄의 시작 단계를 의미하며, 가뭄을 판단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기상학적 가뭄을 정량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SPI, PDSI, PN 등이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강수량 기반의 SPI는 계산과정이 쉽고, 다양한 지속시간(3, 6, 9, 12개월 등)에 따라 가뭄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Mckee et al., 1993). 최근 기상청은 대기와 해양-해빙 모델을 접합한 GloSea5의 장기예보자료를 활용하여 월 내지 계절 가뭄전망을 위한 기상학적 가뭄지수를 현업에 활용하고 있다. 다만 국내에서는 주로 단기가뭄(1~3개월)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짧은 예보선행시간을 갖는 가뭄전망에 대한 평가에 집중되어 왔다. 2014, 15년에는 이례적으로 2년 연속 가뭄이 지속된바 있으며, 장기가뭄(3개월 이상)에 대한 전망정보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예보자료 기반의 기상학적 가뭄전망정보를 산정하고, 2015년 가뭄을 대상으로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ASOS 59개 지점의 관측강수량, GloSea5의 미래예측(Foreacst) 및 과거재현(Hindcast)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다양한 지속시간(3, 6, 9, 12개월)에 대한 SPI를 산정하였다. 또한 예보선행시간(1~6개월)에 따른 SPI와 관측자료 기반의 SPI 간의 통계적 분석(상관계수, 평균제곱근오차)을 수행하여 전망정보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 PDF

Domestic Research Trend of AI Education Program: A Scoping Review (국내 AI 교육 프로그램 연구동향 분석: 주제범위 문헌고찰 방법론을 적용하여)

  • Han, Jeongyun;Huh, Sun 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5 no.6
    • /
    • pp.879-890
    • /
    • 2021
  • AI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nationwide as a literacy education.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critical issues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by examining domestic AI education research trends. To this end, the study applied the scoping review method. A total of 29 AI educational studies from 2017 to 2020 in South Korea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studies increased rapidly in 2020, and a large proportion of studies targe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 study found that AI principles were treated as contents at a high rate,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were frequently reported as a learning outcome, and various practice environments were used relatively evenly. Based on the results,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as discussed and suggested.

The Study on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s from Meat Cooking (고기구이에서 발생하는 입자상물질의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 Bong, C.K.;Park, S.J.;Park, S.K.;Kim, J.H.;Hwang, Y.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3 no.3
    • /
    • pp.196-201
    • /
    • 2011
  • Emission from meat cooking may contribute to the concentration of the Particulate Matters(PM) in the city.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rticle size and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s from pork and beef cooking. The chamber was installed for sampling of PM generated from pork belly and beef sirloin cooking including seasoned ones. Cascade Impactor and Portable Aerosol Monitor (PAM) were used to analyse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At the result of the Cascade Impactor sampling, particulate matters from the pork cooking was higher than that of beef. The gravimetric concentration of PM according to the size was highest at the range of $1.95{\sim}3.2{\mu}m$ and the gravimetric concentration of PM from the non-seasoned mea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easoned one. The emission factors from pork, pork seasoned, beef and beef seasoned were 1.36 g/kg, 1.03 g/kg, 1.23 g/kg, 0.92 g/kg respectively. To see the result of PAM sampling, the ranges of $1.6{\sim}2.5{\mu}m$ and $2.5{\sim}3.5{\mu}m$ were reveled as highest. The ration of $PM_{2.5}/PM_{10}$ from pork and beef was 0.56~0.58. The emission factors from pork, pork seasoned, beef and beef seasoned measured by PAM were revealed as 3.37 g/kg, 2.76 g/kg, 2.93 g/kg, 2.77 g/kg respectively.

Evaluation of muddy water behavior characteristics in Naerincheon basin (내린천 유역에서의 흙탕물 거동 특성 평가)

  • Woon Ji Park;Young Hun Choi;Seung Min Oh;Kyoung Jae L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99-399
    • /
    • 2023
  • 한강상류 비점오염원관리지역은 장기간 나지로 방치되고 있는 고랭지밭이 집중 분포하고 있어, 강우시 다량의 흙탕물 발생으로 인해 하천 환경오염 및 상·하류 지역사회간 갈등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강우시 흙탕물로 인해 하류지역 주민들은 심각한 피해를 호소하므로 상·하류 지역간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상류지역에서 발생한 흙탕물이 어디까지 도달하는지에 대한 과학적 평가가 요구된다. 하지만, 상류부터 하류 사이에는 많은 유입 지류하천이 존재하고 있어, 실측을 통해 흙탕물의 거동을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유사거동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강우시 실측 모니터링과 수질 모델링을 통한 흙탕물 거동 특성 평가가 필요하다. 현재, 자운지구에서 발생한 흙탕물은 내린천을 거쳐 소양호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실제 상류유역에서 발생한 흙탕물이 하류 유역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흙탕물의 거동특성을 파악한 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운지구를 포함한 내린천유역을 대상으로 강우시 실측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수질 모델링을 통해 흙탕물의 거동특성을 평가하였다. 강우시 실측 모니터링 자료와 SWAT 모형을 활용하여 흙탕물 거동특성을 분석한 결과, 상류유역에 해당하는 자운지구에서 발생한 유사가 하류지역인 내린천까지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모의가 되었으며, 내린천의 유사 이동량은 448,986 ton으로 이중 자운지구에서 발생한 유사량은 9.7%의 기여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Spatial Distribution of Extremely Low Sea-Surface Temperature in the Global Ocean and Analysis of Data Visualization in Earth Science Textbooks (전구 대양의 극저 해수면온도 공간 분포와 지구과학교과서 데이터 시각화 분석)

  • Park, Kyung-Ae;Son, Yu-Mi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1 no.6
    • /
    • pp.599-616
    • /
    • 2020
  • Sea-surface temperature (SS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ceanic variables for understanding air-sea interactions, heat flux variations, and oceanic circulation in the global ocean. Extremely low SSTs from 0℃ down to -2℃ should be more important than other normal temperatures because of their notable roles in inducing and regulating global climate and environmental changes. To understand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such extremely low SSTs in the global ocean, the long-term SST climatology was calculated using the daily SST database of satellites observed for the period from 1982 to 2018. In addition, the locations of regions with extremely low surface temperatures of less than 0℃ and monthly variations of isothermal lines of 0℃ were investigated using World Ocean Atlas (WOA) climatology based on in-situ oceanic measurements. As a result, extremely low temperatures occupied considerable areas in polar regions such as the Arctic Ocean and Antarctic Ocean, and marginal seas at high latitudes. Six earth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how these extremely low temperatures were visualized. In most textbooks, illustrations of SSTs began not from extremely low temperatures below 0℃ but from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of 0℃ or higher, which prevented students from understanding of concepts and roles of the low SSTs. As data visualization is one of the key elements of data literacy, illustrations of the textbooks should be improved to ensure that SST data are adequately visualized in the textbooks. This study emphasized that oceanic literacy and data literacy could be cultivated and strengthened simultaneously through visualizations of oceanic big data by using satellite SST data and oceanic in-situ measur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