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관리비

Search Result 3,13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 Environmental Management Cost Estimating Method Improvement for New Multi-Housing Projects (공동주택 신축공사 환경관리비 산출방법 개선)

  • Lee, Jae-Ho;Park, Chan-Si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7 no.3 s.31
    • /
    • pp.149-158
    • /
    • 2006
  • For construction projects, it is required to estimate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Cost(EMC) for pollution prevention, using the calculation standards prescribed in the Construction Technology Management Law(CTML). However, the EMC standards are difficult to utilize without definite site information. Therefore, it is needed a new calculation method reflecting project si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EMC in the CTML, this study identifies the EMC items and classifies them into the pollution types such as air, water, noise, waste and others. With this EMC classification, the stud:』 analyzes using the SPSS the EMC for the 78 new multi-housing projects, which were executed during the past three years, 2000-2002. And then an EMC estimating matrix is developed with simple information such as site location and size of area from historical data. The proposed matrix can be effectively used to check and control budgeting and estimating the EMC of the multi-housing projects. In addition, the proposed EMC matrix are validated through a case study.

An Investigation of Environmental Management Costs in the Construction Sites (건축공사 현장의 환경관리비 실태 조사)

  • Kim Sung-Jin;Kim Jae-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4.11a
    • /
    • pp.588-591
    • /
    • 2004
  • Recently as people's values are changing from development into quality of life, the need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truction are gradually increasing, also popular discontent about the construction pollution such as the noise and vibration cause by construction machinery is increasing. Even though it is impossible to eliminate construction pollution fully,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reduce construction pollution to a minimum. The first step solving these matters is that the necessary sum of expense must be secured as the environmental budgeting method regarding Environmental management costs. To provide an efficient budgeting method, a interview with the person in charge of environment management was conducted. and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costs were analyzed through the historical data.

  • PDF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Unstructured Environmental Disaster by Using Disaster Information Standardization (재난정보 표준화를 통한 환경 재난정보 수집 및 활용)

  • Lee, Dong Seop;Kim, Byung Sik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6 no.4
    • /
    • pp.236-242
    • /
    • 2019
  •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system that can collect and store environmental disaster data into the database and use it for environmental disaster management by converting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ocuments such as images into electronic document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various intelligent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in many fields. Environmental disaster information is one of important elements of disaster cycle. Environment disaster information management refers to the act of managing and processing electronic data about disaster cycle. However, these information are mainly managed in the structured and unstructured form of reports. It is necessary to manage unstructured data for disaster information. In this paper, the intelligent generation approach is used to convert handout into electronic documents. Following that, the converted disaster data is organized into the disaster code system as disaster information. Those data are stored into the disaster database system. These converted structured data is managed in a standardized disaster information form connected with the disaster code system. The disaster code system is covered that the structured information is stored and retrieve on entire disaster cycle. The expected effect of this research will be able to apply it to smart environmental disaster management and decision making by combin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and historical big data.

Proper Estimating Method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Cost in Road Projects (도로공사 환경보전비의 적정 산출 방안)

  • Park, Ji-Sun;Lee, Sea-Hyu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3 no.2
    • /
    • pp.3-10
    • /
    • 2012
  • The current enforcement regulation of "Construction Technology Management Act" prescribes calculation standard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cost in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this standard, environmental preservation cost is calculated by using the quantity-per-unit costing method or applied fixed rate on direct cost. However, when calculated by using the quantity-per-unit costing method it is few items to put in the budget according to standard of construction estimate and in the case of using the fixed rate on direct cost it is not consideri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site. Therefore, it is needed a improvement plan of estimating method and management system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cost. In this study, it surveyed the actual state of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cost according to magnitude of project, site location, anti-pollution facilities and etc. over 38 road projects. The research reported in this paper environmental preservation cost was variously distributed over construction sites. Thus it needs to estimating method and management system to consider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site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cost.

Analysis of Changes in Oral Care Index of Smokers Using Oral Care Products (구강관리용품의 사용에 따른 흡연자의 구강 환경 변화)

  • Nam, Seol-Hui;Kim, Su-Bin;Seong, Da-Sol;Lee, Eun-Jeong;Jang, Da-Ae;Choi, Jin-Hyang;Seong, Jeong-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2
    • /
    • pp.361-369
    • /
    • 2018
  • The aim of the study was to observe the oral environment of smokers and to examin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using oral care products for smokers. The questionnaires and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12 students of smokers and 12 of nonsmokers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he use of oral care products has been shown to improve the oral health of smokers overall and improve the oral environment. Providing training on oral hygiene products will help motivate smokers.

환경관리비 계상방안의 법제화를 위한 고찰

  • 강영현
    • Environmental engineer
    • /
    • s.174
    • /
    • pp.16-20
    • /
    • 2001
  • 환경영향평가는 개발사업으로부터 발생되는 환경상의 영향을 미리 예측하고 사업시행에 따른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저감방안의 강구와 향후 관리방안을 제시하여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개발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도이며 또한 환경영향평가는 환경을 보전하는데 일익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환경영향평가에서 환경의 악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한 각종 저감시설의 설치 및 운영을 위한 비용이 계획단계에서 적절하게 반영되지 않고 있어, 이에 따른 민원의 발생으로 건

  • PDF

충남지역 수질관리 현황 및 대책

  • 김형철;박명술;송준상;최승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Health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28-43
    • /
    • 2001
  • 금강권역은 국토공간상 중심이라 할 수 있는 수도권과 서남권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면서도 그 동안 국토개발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왔다. 이것은 도리어 다른 지역에 비해 양호한 환경수질을 유지할 수 있었던 요인이기도 하였지만, 최근 서해안 개발이 활발해지고 균형 있는 국토개발의 요구와 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른 지역개발 및 도시화, 산업화가 가속화될 것이며 이에 따라, 환경오염이 증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금강환경관리청은 환경오염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쾌적한 환경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환경관리 계획을 수립.추진하고 있으며, 본고에서는 지역주민의 관심도와 예산의 분배면에서 중요도가 큰 금강권역의 수질관리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 PDF

A Study on Reinforcing Non-Identifying Personal Sensitive Information Management on IoT Environment (IoT 환경의 비식별 개인 민감정보관리 강화에 대한 연구)

  • Yang, Yoon-Min;Park, Soon-Tai;Kim, Yong-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8
    • /
    • pp.34-41
    • /
    • 2020
  • An era of stabilizing IoT markets and rapid expansion is coming. In an IoT environment, communication environments where objects take the lead in communication can occur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communication with unspecified IoT environments has increased the need for thorough management of personal sensitive information. Although there are benefits that can be gained by changing environment due to IoT, there are problems where personal sensitive information is transmitted in the name of big data without even knowing it. For the safe management of personal sensitive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sensors in IoT environment, the government plans to propose measures to enhance information protection in IoT environment as the use of non-identifiable personal information in IoT environment is expected to be activated in earnest through the amendment of the Data 3 Act and the initial collection method.

비만-비만의 원인

  • Yu, Hyeong-Jun
    • 건강소식
    • /
    • v.30 no.4 s.329
    • /
    • pp.16-17
    • /
    • 2006
  • 비만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유전적 소인과 환경 요인이 한데 어우러져 발생한다고 일컬으며, 유전 요인은 어쩔 수 없으니 환경요인에 비중을 두어 설명하는 경향이 강하다. 필자는 그러한 설명을 비껴 유전적요인, 2차적으로 비만을 가져오는 원인 등에 대한 내용을 먼저 소개한다.

  • PDF

A Policy Direction for Future River Management: Results of Expert and Citizen Recognition Survey (미래 하천관리를 위한 정책방향: 하천관리에 대한 시민과 전문가의 인식 조사 및 비교)

  • Kim, Ik-Jae;Lee, Seung-Soo;Kim, J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7-8
    • /
    • 2020
  • 지속가능한 국가 발전을 위한 물관리 정책은 항상 국정 과제의 중심에 있다. 물관리는 수재해예방, 양질의 안정된 물이용, 충분한 식량생산, 수생태계와 물환경의 보호, 효과적 재정투자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 계층적이면서도 상호연계성 있는 전문성을 요구한다. 동시에 물관리의 효과와 편익은 경제활동의 기반이 되고 환경보전의 원천이므로 정책의 수요는 정부뿐만 아니라 국민과 더불어 자연으로부터 기인한다. 특히 기후변화의 불확실성 또는 감염병 대발생과 국가적 위기에도 지속가능한 국가 발전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시의성 있고 유효한 물관리 정책은 필수이다. 그동안 우리나라 물관리 정책의 세분화 또는 파편화는 물관리 전문성 강화의 효과보다는 비효율성의 결과를 더 크게 생산해 왔었다. 특히 부족한 협력과 조정은 과잉·중복 투자, 비일관적 정책, 비효율적 성과라는 왜곡된 통합물관리 정책 순환이 반복되게 하였다. 최근 정부는 국토교통부의 하천수량(홍수 포함) 및 광역상수도 관리 기능을 환경부로 이관하는 물관리일원화를 추진하여 통합물관리의 발판을 마련하는 계기를 달성하였다. 하지만 비록 정부조직법 개정과 물관리기본법 제정으로 통합물관리 정책의 틀은 마련되었으나, 국토교통부가 하천법 상의 일부 사무를 담당하므로서 하천관리 정책의 복잡성과 다원화는 높아졌다. 따라서 하천의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만족도, 관리주체, 미래상, 물관리일원화 후 정책수요, 기후변화에 관한 인식, 하천관리 참여 의향 등을 조사하는 연구는 시급한 실정이며 향후 하천기본계획, 생태하천복원사업, 소하천정비사업 등과 같은 재정사업의 추진 방향에도 매우 중요한 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와 미래 하천의 이용 및 관리, 그리고 정책방향에 대하여 일반 시민(4,500명)과 전문가(168명)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설문조사의 내용은 3가지 부문(하천이용, 하천관리, 하천정책)으로 구분하여 각 부문별로 세부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일반 시민과 전문가 간의 인식조사 비교 결과, 공통적으로 시민과 전문가는 하천의 바람직한 미래상으로 '깨끗한 수질의 하천'을 가장 높게 선호하였다. 하천관리 우선순위를 묻는 질문에 대한 시민과 전문가의 응답도 대하천, 도랑이나 개울, 중하천, 소하천 순으로 동일하였지만, 1순위와 2순위의 격차는 시민(26.1%)보다 전문가(1.2%)가 낮았다. 또한 시민과 전문가는 하천관리의 주체로 '물전문기관'을 가장 높게 선호하였지만, 전문가는 '물전문기관' 다음으로 중앙부처(20.2%)를 선호하였지만, 시민은 중앙부처(6.8%)를 가장 선호하지 않는 하천관리 주체로 응답하여 두 집단 간의 큰 인식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물관리일원화 후 보다 큰 관심을 가져야할 정책으로는 '건강하고 깨끗한 수질'을 시민(38.9%)과 전문가(47.0%)는 1순위로 선택하였으나, 2순위는 시민은 '생태서식공간'(11.6%)을 전문가는 '안정적 수량확보'(20.2%)를 선택하여 두 집단의 인식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