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확장모형

검색결과 1,263건 처리시간 0.054초

연속형저류함수모형의 장기유출모의 적용성 평가 (Assessment of long term runoff simulation using SURR Model)

  • 지희숙;이병주;배덕효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255-25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저류함수 기반의 시단위 연속형 강우-유출모형인 SURR모형을 장기유출 모의가 가능한 일 단위 모형으로 확장하여 그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저류함수모형은 단일 호우사상에 대한 집중형 단기유출 모형으로 개발되어 장기유출 모형으로서의 활용성은 검토되지 못한 실정이다. 기존의 연구(셩영두 외, 2008)에서는 사상형 저류함수모형을 장기유출모형으로 적용하는데 그쳤으므로 유역 수문성분 모의가 가능한 연속형 장기유출 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대상유역은 한강유역을 채택하였으며 일단위 기상자료와 수문자료를 구축하였다. 기존의 시단위 유역 수문성분(토양수분, 실제증발산량, 지표유출량, 중간유출량, 지하수유출량) 산정방법과 시단위 유역 및 하도 저류함수를 일단위로 확장하여 2002년부터 2009년까지 장기 유출모의를 실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는 시단위 유출모의와 일단위 유출모의가 동시에 가능한 모형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 PDF

보안에 대한 우려와 거래 파트너가 인터넷 뱅킹 사용에 미치는 영향: 확장되고 수정된 기술수용모형 (Security Anxiety and Transaction Partners Influencing Usage of Internet Banking: An Extended and Modifi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이웅규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2003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44-52
    • /
    • 2003
  • 인터넷 뱅킹은 다른 정보시스템이나 웹기반 시스템에 비해 보안에 대한 우려가 높으면서, 다른 거래자들과의 사용자간 거래가 지원되는 P2P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보안우려와 거래파트너는 인터넷 뱅킹 사용에 많은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로 간주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기술수용모형에 보안우려와 거래파트너 영향을 외부변수로 도입한 확장된 기술수용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유용성 대신에 편리성을 도입하였고 보안우려와 사용용이성 및 사용은 부( )의 관계, 거래파트너 영향과 편리성 및 사용은 정(+)의 관계에 의해 기존의 기술수용모형에 확장하였다. 실증적 검증을 위해 설문조사를 하였고 조사결과는 구조방정식에 의해 분석하여 만족할만한 모형적합도를 얻었고, '보안우려-사용용이성' 관계를 제외한 모든 가설이 채택되었다.

  • PDF

웹 페이지 규모 측정을 위한 기능점수모형의 확장 (Expansion Function Point Model for Measurement of Size for Web-Page)

  • 박상훈;노재우;류성열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2)
    • /
    • pp.259-261
    • /
    • 2003
  •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규모 측정은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요한 비용을 산정하거나 필요한 인력 투입. 기간의 산정 등의 중요한 지표가 된다. 1990년대 후반 급격한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기술과 웹 사이트가 등장하였다. 기존의 소프트웨어의 규모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은 LOC와 기능점수(Function Point)가 있다. 그러나 LOC는 프로그래밍 언어에 의존적이므로 웹 페이지 규모를 측정하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웹 페이지 규모를 측정하기 위해 기능점수분석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웹 페이지를 기존의 기능점수모형과 확장된 기능점수모형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고 미비점을 보완한다. 또한 다양한 웹 페이지들의 규모를 측정하기 위하여 기존 기능점수분석모형에 추가 조정 인자를 기술하고 확장된 기능점수모형을 제안한다.

  • PDF

다변량 비대칭 라플라스 점프확산 모형의 베이지안 추론 (Bayesian inference on multivariate asymmetric jump-diffusion models)

  • 이영은;박태영
    • 응용통계연구
    • /
    • 제29권1호
    • /
    • pp.99-112
    • /
    • 2016
  • 비대칭 점프확산 모형은 자산 가격의 비대칭적 변동을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모형으로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다변량 모형으로 확장한 다변량 비대칭 라플라스 점프확산 모형은 가능도함수가 닫힌 해로 존재하지 않아 모형의 추론에 한계가 존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자료 확장 기법을 제안하고 새로운 베이지안 추론 방법을 개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모형은 단일 점프와 공통 점프 뿐만 아니라 모든 가능한 조합으로 발생하는 점프를 반영한 확장된 다변량 비대칭 라플라스 점프확산 모형이다. 이러한 모형을 분석하기 위해 붕괴된 깁스 샘플러를 고안한 베이지안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모형과 방법을 모의실험 자료 및 2005년 1월 3일부터 2015년 9월 30일까지 관찰된 일별 KOSPI, S&P500, 그리고 Nikkei225에 적용하여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확장형 완경사방정식에 기초한 Galerkin 유한요소 모형 (Galerkin Finite Element Model Based on Extended Mild-Slope Equation)

  • 정원무;이길성;박우선;채장원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74-186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지배방정식으로 확장형 완경사방정식을 사용하고 무한요소를 이용하여 방사조건을 처리하는 Galerkin 유한요소 모형을 수립하였다. 수립된 모형의 타당성과 적용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Ippen and Goda((1963)의 완전개방 직사각형 모형항만에서의 항만 공진과 Sharp(1968) 및 Chandrasekera and Cheung(1997)의 원형 천뢰상을 전파하는 파랑 변형에 대한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수리모형실험 및 복합요소 모형에 의한 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본 모형이 급경사 지형에도 매우 양호한 결과를 제시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방파제의 대안으로 고려될 수 있는 원형 해저 우물을 설정하고 이를 지나는 파의 변형 특성을 검토하였다.

  • PDF

PCA 혼합 모형과 클래스 기반 특징에 의한 LDA의 확장 (Extensions of LDA by PCA Mixture Model and Class-wise Features)

  • 김현철;김대진;방승양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8호
    • /
    • pp.781-788
    • /
    • 2005
  • LDA는 클래스간 퍼진 정도와 클래스내 퍼진 정도의 비를 최대화하는 변환를 구하는 데이터 구분 기술이다. LDA는 여러 가지 응용에 성공적으로 응용되었지만 그 모델의 단순성과 관련된 두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는 각 클래스의 데이타가 가우시안 분포를 가진다고 가정되므로 복잡한 분포를 갖는 데이타를 구분하는데 실패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LDA가 클래스의 전체 범위에 대해서 단지 하나의 변환만을 주므로 클래스 기반의 정보를 잃게 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위의 문제들을 극복하는 세가지 확장들을 제안한다. 첫 번째 확장은 더 복잡한 분포를 표현할 수 있는 PCA 혼합 모형을 이용하여 클래스내 퍼진 정도를 모델링함으로써 첫째 문제를 극복한다. 두번째 확장은 클래스 기반 특징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각 클래스에 대해 다른 변환을 취함으로써 둘째 문제를 극복한다. 셋째 확장은 PCA 혼합 모형의 관점에서 각 클래스를 표현함으로써 앞의 두 확장을 결합하는 것이다. 숫자 인식과 알파벳 인식에 대한 실험에서 LDA의 모든 제안된 확장들이 LDA보다 더 좋은 분류 성능을 보여 주었다.

WAM모형의 천해역 확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tension of WAM for Shallow Water)

  • 천제호;안경모;윤종태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48-156
    • /
    • 2008
  • 심해역 파랑모형인 WAM에 쇄파와 삼파 상호작용을 추가하여 모형의 적용영역을 천해역으로 확장하였다. 확장된 모형의 검증을 위해 Chawla et al.(1998) 과 Beji and Battjes(1993)의 수리모형 실험에 본 모형을 적용하여 천해역에서의 파랑변형 및 비선형 3파 상호작용의 수치모의 기능을 확인하였고, 계산된 수치모의 결과들은 수리실험의 계측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그리고 실제 해역에서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태풍 매미에 대한 파랑 모의에 적용하였고, 계산 결과를 거제, 부산, 울산에서의 관측치와 비교하였는데 만족스러운 일치를 보여주었다.

기업역량을 고려한 외생고정변수를 갖는 IT중소기업 정부자금지원정책 성과평가를 위한 DEA모형 및 활용절차 (DEA Models and Application Procedure for Performance Evaluation on Governmental Funding Projects for I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ith Exogenously Fixed Variables of Corporate Competency)

  • 박성민;김헌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5B호
    • /
    • pp.364-378
    • /
    • 2008
  •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모형은 다수출력/다수입력을 갖는 IT중소기업 정부자금지원정책 성과평가에 활용가능하다. DEA효율성지수의 정확성 제고를 위해 기업역량을 반영한 외생고정변수를 DEA모형에서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다수 DEA기본모형과 확장모형을 활용한 성과평가를 시도함으로써, 단일 DEA모형에 의존하는 성과평가의 한계를 완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IT중소기업 정부자금지원시점에서의 기업자산, 매출액, 종업원수를 외생고정변수로 갖는; 1)DEA자료구조 정립; 2)DEA기본모형과 확장모형 수립; 3)실증자료를 이용한 사례분석을 예시한다. DEA기본모형으로 CCR, BCC, Super-efficiency모형, DEA확장모형으로 비제어변수(noncontrollable variables), 비자유변수(nondiscretionary variables)를 갖는 모형을 수립한다. DEA모형 비교 및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가중치를 이용한 통합 활용절차가 설명된다. 모수 비모수분산분석에 의한 기술분야별 DEA효율성지수로써의 성과유의차를 판정한다.

개선된 양적속성의 무관질문모형

  • 이기성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5권2호
    • /
    • pp.403-410
    • /
    • 1998
  • Mangat(1994)는 Mangat-Singh(1990)이 제안한 2단계 관련질문모형의 사용 절차를 좀 더 단순화시킨 개선된 관련질문모형을 제안하여 민감한 질적 속성을 추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Mangat의 개선된 관련질문모형을 양적속성의 무관질문모형으로 확장하고자 한다. 또한, 제안한 모형이 Greenberg et al.의 양적속성의 무관질문모형이나 최경호(1996)가 제안한 2단계 양적속성의 무관질문모형보다 효율적이 되는 조건을 제시하였다.

  • PDF

월유출량계열의 확장과 예측을 위한 추계학적 다중 입출력모형 (Stochastic Multiple Input-Output Model for Extension and Prediction of Monthly Runoff Series)

  • 박상우;전병호
    • 물과 미래
    • /
    • 제28권1호
    • /
    • pp.81-90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의 수문기상자료를 보유하고 있으나 유출량자료의 관측년한이 짧은 유역에서 장기간의 월유출량자료를 확장하고 예측할 수 있는 추계학적 시스템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그 방법으로 주기성과 경향성을 갖는 월유출량, 월강수량 및 윌증발량자료를 시계열 분석하여 seasonal ARIMA 형태의 단변량 모형을 유도하는 한편, 각 계열간의 교차상관분석으로부터 월강수량 및 윌증발량을 입력변수로 하고 월유출량을 출력변수로 하는 다중 입력-단일 출력관계의 설명모형을 유도하여 단변량 시계열모형과 비교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월유출량자료의 확장과 예측에 있어서 다중 입출력모형의 정확성과 적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