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확률적 공사기간 산정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Probability-based Critical Path Estimation for PERT Networks of Repetitive Activities (반복작업 PERT 네트워크의 확률기반 주공정 산정기법)

  • Yi, Kyoo-Ji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8 no.6
    • /
    • pp.595-602
    • /
    • 2018
  • Network-based scheduling methods can be classified into CPM method and PERT method. In the network scheduling chart, critical path can be estimated by performing the forward calculation and the backward calculation though the paths in the network chart. In PERT method, however, it is unreasonable to simply estimate the critical path by adding the sum of the activity durations in a specific path, since it does not incorporate probabilistic concept of PERT. The critical path of a PERT network can change according to the target period and deviation, and in some cases, the expected time of the critical path may not be the path with longest expected time. Based on this concept, this study proposes a technique to derive the most-likely critical path by comparing the sum of estimated time with the target time. It also proposes a method of systematically deriving all alternate paths for a network of repetitive activities. Case studies demonstrated that the most-likely critical path is not a fixed path and may vary according to the target period and standard devi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ethod of project duration forecasting will be useful in construction environment with varying target date situations.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ost Risk Exposure methods by the Probabilistic Evaluation on the Construction Projects (확률적 평가에 의한 건설공사 비용 위험도 측정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 Cho Jea-Ho;Chun Jae-Youl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 no.1 s.1
    • /
    • pp.63-71
    • /
    • 2000
  • The paper considers two non-deterministic methods of analysing the risk exposure in a cost estimate The fist method(referred to as the 'conventional statistical' method) analyses cost data directly, to describe a probability distribution for total cost. The second method(referred to as the 'Monte Carlo simulation' method) interprets cost data directly, to generate a probability distribution for total costs from the descriptions of elemental cost distribution. The common practice of allowing for risk through an all-embracing contingency sum or percentage addition is challenged. Rather than excluding conventional, non-deterministic methods, they are here presented as possibly the only of effective foundation on which to risk management in cost estimating.

  • PDF

The Estimation of Areal Rainfall Quantiles in Han River Basin (한강유역의 면적 확률강우량 산정에 관한 연구)

  • Kim, Gyeong-Deok;Go, Yeon-U;Heo, Jun-Hae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4
    • /
    • pp.419-426
    • /
    • 2000
  • It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sufficiently long and reliable annual maximum rainfall data in estimating areal rainfall quantiles of Han River Basin. The data from 9 gauging stations measur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may meet such a requirement, however the number of these data sets is too small to estimate overall areal rainfall quantiles in large basin such as Han River Basin.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space correlations of many sites' data measured by Korea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and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the number of sites is 59) were used for modification of rainfall measure density. And areal rainfall quantiles according to each sub-basin were estimated based on regression analysis.

  • PDF

Optimal Scheduling based on Probabilitic Estimation of Construction Duration (확률적 공기산정에 의한 공정 합리화 방안)

  • Kim Sang-Joong;Lee Jae-Soeb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autumn
    • /
    • pp.383-387
    • /
    • 2003
  • Construction project has many problem such as delay of the appointed date delivery, over budget, wether and site conditions. When several activities are influenced by the same factor, their duration may be delayed.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blem of construction duration estimating and schedule variation on the construction project. The theory of constraints technique for project management is referred to 'Critical Chain' technique. This paper shows optimal scheduling plan and time management technique, used probability construction duration estimating and scheduling buffer based on the critical chain project management.

  • PDF

An Optimal Scheduling Method Using Probability on the Estimation of Construction Duration (확률적 공기산정에 의한 공정계획 합리화 방안)

  • Kim Sang-Joong;Lee Jae-Soeb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5 no.6 s.22
    • /
    • pp.72-79
    • /
    • 2004
  • Critical Path-based project management has been applied to the construction projects with a goal of delivering projects within original costs and time estimates. These current project management methods, rarely make early finishes of construction Projects. In addition, current practices on time management seems not to take advantages of early finishes concepts due to student syndrome and Parkinson's Law, This research study applied the Theory of Constraints(n) in the estimation of construction project duration. While the TOC includes variety of management techniques, in this study, it refers to critical chain that has been used to develop the specific management technique in scheduling. The concept of critical chain is applied to this study to solv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current scheduling method. The efforts focus to solve the p개blems associated with current construction project scheduling methods by adopting both stochastic estimation technique and the concept of schedule buffer,

Regionalization using cluster probability model and copula based drought frequency analysis (클러스터 확률 모형에 의한 지역화와 코풀라에 의한 가뭄빈도분석)

  • Azam, Muhammad;Choi, Hyun Su;Kim, Hyeong San;Hwang, Ju Ha;Maeng, Se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6-46
    • /
    • 2017
  • 지역가뭄빈도분석의 분위산정에 대한 신뢰성은 수문학적으로 균일한 지역으로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 장기간의 과거 자료와 분석절차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극심한 가뭄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며 신뢰 할 수 있는 지역빈도분석을 위한 지속기간이 충분치 않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 외에도 우리나라의 복잡한 지형적 및 기후적 특징은 동질한 지역으로 구분하기 위한 통계적인 처리방법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지역빈도분석은 여러 지역의 다양한 변수인 수문기상 특성을 분석하여 동질한 지역을 확인하고, 주요 가뭄변수(지속 시간 및 심각도)를 통합 적용하여 각각의 동질한 지역 분위를 추정함으로써 동질한 지역을 구분하는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우시안 혼합 모형(Gaussian Mixture Model)을 기반으로 기반 군집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최적의 동질한 지역을 구분하고 그 결과를 우도비검정 및 다른 유효성 검사 지수를 이용해서 확인하였다. 가우시안 혼합 모델에서 산정했던 매개변수를 방향저감 공간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가우시안 혼합 모델방향 저감(GMMDR)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변수는 가뭄빈도분석을 위해 다양한 분포와 코풀라(copula) 적합도를 이용하여 추정 비교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를 4개의 동질한 지역으로 나누게 되었다. 가우시안과 Frank copula를 이용한 Pearson type III(PE3) 분포는 우리나라의 가뭄 기간과 심각도의 공동 분포를 추정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 Decision-Making Support Model for Construction Duration by the Hypothetical Weather Simulation (가상기후 시뮬레이션에 의한 공기산정 의사결정 지원모델에 관한 연구)

  • Jeong Suk-Nam;Lee Hak-Ki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 no.4 s.4
    • /
    • pp.74-81
    • /
    • 2000
  • The duration of construction in the construction works contains non-working days as well as working days. The duration is so relevant to climate that it should be calculated after fully considered about the regional climate in which construction processes. In most construction fields, however, there has been a frequent adjustment of duration because the field supervisor's experiences have decided non-working days indiscriminately without any accurate information about weather. Not only has that done great economic damages, but also caused many problems in interests among construction subject. So, in this study, we will analyse the elements of climate which has influences on the duration and implement the hypothetical weather simulation. By connecting the results of simulation with the duration of construction, we will propose the decision-making support model for the efficient calculation of duration when the field supervisor makes the projects schedule.

  • PDF

Introduction of the Best Practices in the Pakistan Gulpur HEPP (파키스탄 Gulpur 수력발전 현장의 Best Practices 소개)

  • JANG, Ock Jae;HONG, Won Pyo;CHAE, Hee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16-217
    • /
    • 2022
  • Gulpur 수력발전 프로젝트는 전력난을 겪고 있는 파키스탄에 102 MW 규모의 수력발전소를 건설하여 30년 동안 운영 관리한 후 파키스탄 정부로 양도하는 IPP(Independent Power Producing) 형식의 투자사업이다. 남동발전과 DL E&C, 롯데건설이 Sponsor로서 출자한 자본금과, ADB, IFC, K-EXIM 등의 대주단로부터의 차입금을 재원으로 하여 소요 사업비를 조달하고 사업을 개발하였다. DL E&C와 롯데건설이 EPC(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를 수행하였고, 이산이 Design consultant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Gulpur 수력발전 프로젝트의 발전형식은 수로식(run-of-river)으로 201 m3/s의 발전유량과 102 MW의 발전 시설용량을 이용하여 연평균예상발전량은 398 GWh이다. 주요 구조물로는 설계 재현빈도 1년의 유수전환시설(가물막이댐 & 가배수터널)과 콘크리트 중력식댐(H 67 m, L 205 m), 도수터널(D 6.7 m, L 215 m, 2기), 옥외형 발전소 (H 51 m, W 60 m, L 38 m, Kaplan 2기)가 있으며, 2015년 10월 착공하여 2020년 3월 상업발전을 시작하였다. 본 프로젝트는 DL E&C의 첫 번째 EPC 해외수력발전 프로젝트이다. 따라서 프로젝트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경제적 설계, 시공의 효율성 및 안정성 확보 등을 위하여 많은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기술 개선을 이룰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Gulpur 프로젝트를 통하여 도출된 성공 사례들을 소개 및 공유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콘크리트 중력식댐 시공을 위한 유수전환시설의 최적 설계빈도를 산정하였다. 일반적으로 유수전환시설의 규모는 설계기준에 제시된 설계 재현빈도를 이용하는데, 해외 설계기준에서는 10년, 국내 설계기준에서는 1~2년으로 다르게 제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유수전환시설의 규모는 프로젝트의 경제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최적 설계빈도의 결정이 필요하며, 위험도분석기법(Risk Analysis)과 기대화폐가치법(Expected Monetary Value)을 이용하여 유수전환시설의 최적 설계 재현빈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였다. 위험도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으로 산정된 가물막이댐 파괴확률과 재현빈도를 이용하여 산정된 가물막이댐 월류확률을 고려하였으며, 비용 및 피해액으로는 유수전환시설의 공사비, 가물막이댐 파괴시의 재건설비용과 지체보상금, 가물막이댐 월류시의 복구비용을 고려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로, 유수전환시설의 사용기간과 월류시의 복구비용이 유수전환시설의 설계 재현기간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월류시의 복구비용이 작을수록 낮은 설계 재현빈도를 선택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유수전환시설의 사용기간이 3 ~ 5년, 복구비용이 0.5 ~ 1.0 mil USD 이하인 조건에서 가물막이시설의 최적 설계빈도는 1년 ~ 2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수전환시설의 사용기간은 본댐의 규모와 시공기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사항으로 설계자가 임의 조정할 수 없지만, 복구비용은 시공 관리자에 따라 결정되는 부분으로, 적극적 홍수 피해 저감 및 복구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로 프로젝트의 경제성 향상, 홍수기 댐 시공시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홍수 조기경보시스템(Early Warning System)을 개발 및 활용하였다. 수로식(Run-of-river) 수력발전댐은 대부분 산악지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국지성 강우 및 급한 지형 경사로 인하여 돌발홍수(flash flood)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시공 중 홍수(월류) 발생을 미리 감지하고 현장에 전파할 수 있는, 수로식(Run-of-river) 수력발전댐 현장을 위한 홍수 조기경보시스템이 필요하며, 이를 리스크 인식, 모니터링 및 경보, 전파 및 연락, 반응 능력 향상의 4가지 부분으로 나누어 구축하였다. 리스크 인식 부분에서는 가물막이댐 월류 발생 상황에 대한 위험도, 취약성, 리스크를 제시하였으며, 모니터링 및 경보 부분에서는 상류 측정수위에서 유도된 현장 예상수위와 실제 현장 측정 수위를 대상으로 경보홍수위와 위험홍수위로 나누어 관리하였다. 전파 및 연락 부분에서는 현장 시공 조직을 활용하여 홍수시를 대비한 비상연락체계도(Emergency communication flow chart)를 운영하였으며, 반응 능력 향상을 위해 비상연락체계도의 팀별 Action plan을 상세화 하였다. 세 번째로 현장의 지질특성과 50여 차례 발파시험으로 현장 고유의 발파진동감쇄곡선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장의 시공성과 콘크리트 품질 확보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콘크리트댐 공사에서는 제한된 공기 내에 공사를 완료하기 위해 사면부 굴착과 콘크리트 타설이 동시에 수행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신규 콘크리트 타설면 근처에서 발파를 수행하는 경우 발파로 발생되는 탄성파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게 되면, 콘크리트 양생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현장 발파시험을 통해 발파거리와 최대진동속도의 상관관계 즉, 발파진동감쇄곡선을 도출함으로써 현장의 발파진동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 연구 논문들을 통해 콘크리트 재령기간 별 안전진동속도를 선정하고, 해당 안전진동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콘크리트 타설면과 발파위치의 거리에 따라 1회 발파 가능한 장약량을 산정하여 적용하였다. 이와 같은 체계적인 접근을 통해 콘크리트 타설과 발파 작업 동시 수행에 대한 논란을 해소할 수 있었다.

  • PDF

Evaluation of hydropower dam water supply capacity (II): estimation of water supply yield range of hydropower dams considering probabilistic inflow (발전용댐 이수능력 평가 연구(II): 확률론적 유입량을 고려한 발전용댐 용수공급능력 범위 산정)

  • Jeong, Gimoon;Kang, Doosun;Kim, Dong Hyun;Lee, Seung Oh;Kim, Taes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7
    • /
    • pp.515-529
    • /
    • 2022
  • Identifying the available water resources amount is an essential process in establishing a sustainable water resources management plan. Dam facility is a major infrastructure storing and supplying water during the dry season, and the water supply yield of the dam varies depending on dam inflow conditions or operation rule. In South Korea, water supply yield of dam is calculated by reservoir simulation based on observed historical dam inflow data. However, the water supply capacity of a dam can be underestimated or overestimated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historical drought events during the simulation period. In this study, probabilistic inflow data was generated and used to estimate the appropriate range of the water supply yield of hydropower dams. That is, a method for estimating the probabilistic dam inflow that fluctuates according to climatic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the range of water supply yield for hydropower dams was presented, and applied to hydropower dams located in the Han river in South Korea. It is expected that the understanding water supply yield of the hydropower dams will become more important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in the future, and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national water resources management planning by providing potential range of water supply yield of hydropower dams.

Development on Classification Standard of Drought Severity (가뭄심도 분류기준의 개선방안 제시)

  • Kwon, Jin-Joo;Ahn, Jae-Hyun;Kim,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07-407
    • /
    • 2012
  •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에 의해 홍수 및 이상가뭄이 빈발하고 있다. 또한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물수요 및 각종 오폐수의 증가로 수질오염도 심화되어 물 사용의 한계를 느끼게 되는 심각한 상황을 맞이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1990년 이후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겨울에서 봄철까지의 만성적인 가뭄 횟수가 증가하고 여름철에는 태풍과 집중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함으로써, 가뭄 및 홍수로 인한 피해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한국수자원공사, 2002). 이러한 상황에서 가뭄은 홍수에 비해 체계적인 종합대책 마련이 미비한 실정이다. 가뭄은 불가피성과 반복성을 가진 자연 현상이므로 가뭄 발생 전 사전대비계획과 가뭄발생시 가뭄관리체계 구축을 통해 그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또한 가뭄의 특성상 다른 자연재해와는 달리 진행속도가 느리므로 사전에 대처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있다. 따라서 가뭄 진행상황의 모니터링을 통해 신속한 대처와 피해경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역의 가뭄심도를 평가하여 가뭄상황에 대처하고자 우리나라에 적합한 가뭄 분류기준을 제시하였다. 관측년수 30년 이상의 강우자료를 확보한 61개 지점에 대해 1973년부터 37년 치의 월강우량 자료를 사용하였고 현 정부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가뭄상황단계를 그대로 활용하여 본 연구에서도 통일화된 가뭄 구간을 총 4등급으로 구분하였다.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제시한 주요가뭄발생현황을 참고하여 우리나라에 맞는 가뭄심도의 분류기준을 가뭄 발생의 누가 확률 98-100%를 예외적인 가뭄(Exceptional Drought), 94-98%를 극심 가뭄(Extreme Drought), 90-94%는 심한 가뭄(Severe Drought), 86-90%는 보통 가뭄(Moderate Drought)으로 구분하였다. 각 지점의 가뭄지수(SPI, PDSI)를 내림차순으로 작성하여 가뭄심도 분류기준에 맞는 가뭄지수의 정량적 값을 산정하였다. SPI와 PDSI의 가뭄심도 분류 결과와 실제 가뭄을 비교하기 위해 년 단위 비교와 월 단위 비교를 분석한 결과, 년 단위 비교와 SPI의 월 단위 비교는 각 지역의 가뭄지수 평가가 대부분 일치하게 나타났으나 같은 기간의 PDSI의 월 단위 비교는 실제 기록과 분석치가 일치하지 않았다. 이는 이들 지수의 상호보완에 대한 추후 연구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