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화학합성

검색결과 4,105건 처리시간 0.028초

크롬(VI)-헤테로고리 착물(2,2'-Bipyridinium Dichromate)에 의한 치환 벤질 알코올류의 산화반응에 대한 속도론적 연구 (Kinetic Study on the Oxidation Reaction of Substituted Benzyl Alcohols by Cr(VI)-Heterocyclic Complex (2,2'-Bipyridinium Dichromate))

  • 김영식;박영조
    • 공업화학
    • /
    • 제23권2호
    • /
    • pp.241-246
    • /
    • 2012
  • 크롬(VI)-헤테로고리 착물(2,2'-bipyridinium dichromate)를 합성하여, 적외선분광광도법(IR), 유도결합 플라즈마(ICP) 등으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여러 가지 용매 하에서 2,2'-bipyridinium dichromate를 이용하여 벤질 알코올의 산화반응을 측정한 결과 유전상수(${\epsilon}$) 값이 큰 용매 순서인 시클로헥센 < 클로로포름 < 아세톤 < N,N-디메틸포름아미드 용매 하에서 높은 산화반응성을 보였다. 산 촉매($H_2SO_4$)를 이용한 DMF 용매 하에서 2,2'-bipyridinium dichromate는 벤질 알코올과 그의 유도체들($p-OCH_3$, $m-CH_3$, H, $m-OCH_3$, m-Cl, $m-NO_2$)을 효과적으로 산화시켰다. 그리고 전자받개 그룹들은 반응 속도가 감소한 반면에 전자주개 치환체들은 반응속도를 증가시켰다. 또한 Hammett 반응상수$({\rho})$ 값은 -0.66 (303 K)이였다. 그러므로 본 실험에서 알코올의 산화반응 과정은 속도결정단계에서 수소화 전이가 일어나는 메카니즘임을 알 수 있었다.

18F을 표지 암 영상용 클로트리마졸 유도체의 합성 (Synthesis of 18F Labeled Clotrimazole Derivatives as a Potential PET Imaging Agent)

  • 정순재;김인종;박정훈;이흥래;김상욱;허민구;최상무;양승대;유국현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11
    • /
    • 2010
  • Clotrimazole [1-{(2-chlorophenyl)-diphenylmethyl}-1H-imidazole, CLT] has been reported to inhibit the proliferation of vascular endothelial and act as an in vitro anti-VEGF drug. It is also shown to inhibit angiogenesis in an animal model. The radioisotope labeled clotrimazole derivative can be utilized to monitor the physiologic processes of cancer.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18}F$]fluoride labeled clotrimazole derivatives as a new tumor imaging agent for PET. The references were prepared by a refluxing with clotrimazole and an excess of fluoroalkyltosylate in acetonitrile for 36 h and clotrimazole reacted with ditosylalkane to give precursors. [$^{18}F$]Fluoride labeled reaction was performed with precursor in Kryptofix[2.2.2]/$K_2CO_3$ for 10 min at $80^{\circ}C$. The radiolabeling mixture was passed through a silica Sep-Pak cartridge to remove $^{18}F^-$. The [$^{18}F$]F-clotrimazole derivatives were synthesized with a 20~25% yield. In the radiofluorination step, we used acetonitrile and DMSO as a solvent and observed a higher yield at the acetonitrile (25%) reaction compared with the DMSO reaction (5%).

인산 에스테르게 난연제 BDPDH를 첨가한 CPE 고무재료의 난연성 및 내열성 (Flame Retardance and Thermal Resistance of CPE Rubber Compound Containing a Phosphoric Ester Flame Retardant BDPDH)

  • 박현호;이창섭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8권1호
    • /
    • pp.72-80
    • /
    • 2003
  • 자동차 Oil cooler용 호스를 구성하는 고무재료의 내열 및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내열 및 난연제로 하여 제조한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배합고무의 가황 특성, 물리적 성질, 내열성, 난연성 및 변량효과를 조사하였다. 호스용 고무재료는 기존의 ethyleneacrylate rubber(EAR)보다 화학적 내식성과 내한성이 우수하면서도 가격이 저렴한 CPE 고무재료를 사용하였으며, 난연제는 비할로겐 축합 인산 에스테르계인 N,N'-bis-(diphenylphosphoro) diaminohexane(BDPDH)를 합성하여 CPE 고무재료와 $0{\sim}30 phr$ 범위에서 혼련하였다. 배합고무시편의 경도, 인장강도, 신율, 인장응력 및 열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CPE 배합고무의 유동성, 난연성, 내열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고무재료 규격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의 내열 및 난연 효과를 주는 BDPDH의 배합량은 20 phr로 나타났다.

제주 스코리아로부터 합성한 제올라이트계 고정화 흡착제에 의한 Cu와 Cs 이온의 흡착 특성 (Characteristics of Cu and Cs Ions adsorbed on an immobilized Adsorbent including Zeolite Synthesized from Jeju Scoria)

  • 이창한;감상규;이민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5-64
    • /
    • 2019
  • The adsorption properties of $Cs^+$ and $Cu^{2+}$ ions were evaluated by using a polysulfone scoria zeolite (PSf-SZ) composite with synthetic zeolite synthesized from Jeju volcanic rocks (scori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dsorption properties, various parameters, such as pH, contact time, reaction rate,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in aqueous solutions, were evaluated by tests carried out in batch experiments. The adsorption capacities of $Cs^+$ and $Cu^{2+}$ ions increased between pH 2 but achieved equilibrium at pH 4 and above. The adsorption rate increased rapidly up to the initial 24 h, after which it plateaued ; the adsorption rate then sustained at equilibrium from 48 h. The adsorption kinetics of $Cs^+$ and $Cu^{2+}$ ions were described better by the pseudo-second-order kinetic model than the pseudo-first-order kinetic model. The Langmuir model fitted the adsorption isotherm data better than the Freundlich model.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ies of $Cs^+$ and $Cu^{2+}$ ions obtained from the Langmuir model were 53.8 mg/g and 84.7 mg/g, respectively. The calculated thermodynamic parameters showed that the adsorption of $Cs^+$ and $Cu^{2+}$ ions on PSf-SZ was feasible, spontaneous and endothermic reaction.

계층적 다공구조를 갖는 Fe2O3 나노섬유의 리튬 이차전지 음극소재 적용 (Application of Hierarchically Porous Fe2O3 Nanofibers for Anode Materials of Lithium-ion Batteries)

  • 조민수;조중상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2호
    • /
    • pp.267-273
    • /
    • 2019
  • 본 연구는 메조-, 마크로- 기공이 상호 연결된 계층적 다공구조를 갖는 $Fe_2O_3$ 나노섬유를 전기방사 및 후 열처리 과정을 통해 합성하였다. 구조체 내 마크로 기공은 $Fe(acac)_3$/polyacrylonitrile 연속상을 포함하는 섬유 내 분산상으로 존재하는 polystryrene을 열처리 과정 중 선택적으로 분해함으로써 생성시켰다. 또한, 전기방사 공정 동안 침투된 수분의 기화로 형성된 메조 기공은 마크로 기공과 상호연결되어 최종 계층적 다공구조를 갖는 $Fe_2O_3$ 나노섬유를 형성했다. 계층적 다공구조를 갖는 $Fe_2O_3$ 나노섬유의 초기 방전용량과 Coulombic 효율은 $1.0A\;g^{-1}$의 전류밀도에서 $1190mA\;h\;g^{-1}$, 79.2% 였으며, 1000 사이클 후의 방전 용량은 $792mA\;h\;g^{-1}$였다. 계층적 다공구조를 갖는 $Fe_2O_3$ 나노섬유는 높은 구조적 안정성과 형태학적 이점으로 인해 우수한 리튬 이온 저장 성능을 나타냈다.

달맞이꽃오일에서 얻은 Ceramide를 함유한 보습크림의 피부 보습 및 경피수분손실량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Effect of Moisturizing Cream containing Ceramide from Evening Primrose Oil on the Moisturization and Transepidermal Water Loss in Human Skin)

  • 박상현;이건국;이광식;박현지;이병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243-1249
    • /
    • 2018
  • 세라마이드는 일반적으로 화장품 산업에서 피부의 보습 및 피부장벽강화에 도움을 주는 성분으로 많은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합성 세라마이드가 아닌 달맞이꽃오일에서 얻은 천연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보습크림이 피부의 보습 및 경피수분손실량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보습크림이 세라마이드들 함유하지 않은 보습크림과 비교하여 피부보습력과 경피수분손실량에서 우수한 결과 값을 나타내었음을 확인하였다.

유기합성실험실 연구자의 단위작업별 노출 평가 (Task-based Exposure Assessment among Laboratory workers in Organic Synthesis Laboratories)

  • 최영은;추연희;이익모;박정임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2
    • /
    • 2019
  • Objective: Significant concerns have been raised over chemical exposure and potential health risks such as increased cancer mortality among laboratory work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verall exposure and unit task exposure levels of researchers in organic synthesis laboratories at universities. Methods: Seventy-seven personal Time-weighted average(TWA) samples and 139 task-based samples from four organic synthesis laboratories at two universities were collected over three days. The concentrations of acetone, chloroform, dichloromethane(DCM), diethyl ether, ethyl acetate, n-hexane, tetrahydrofuran(THF), benzene, toluene, and xylene were determined using the GC-FID. Results: The most frequently used chemicals in the laboratories were acetone, DCM, n-hexane, methanol, and THF. Carcinogens such as benzene, chloroform, and DCM were used in one or more laboratories. The TWA full-shift exposures of researchers to acetone was the highest(ND-59.3 ppm). Benzene was observed above the occupational exposure limit in 18-40% of the samples. The levels of exposure to organic solvent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by task(p<0.05), while washing task was the highest. Washing was not perceived as a part of the real lab tasks. Rather it was considered as simple dish-washing or experimental preparation and performed in an open sink where exposure to organic solvents was unavoidable. TWAs and task-based concentrations were compared by substance, which suggests that TWA-based assessment could not reflect short-term and high concentration exposures. Conclusions: Laboratory workers may be exposed to various organic solvents at levels of concern. TWA-based measurement alone cannot guarantee holistic exposure assessment among lab workers as their exposures are very dependent on their tasks. Further investigation and characterization for specific tasks and overall chronic exposures will help protect lab workers from unnecessary exposure to chemicals while they perform research.

겔화 반응 시간 조절을 통한 상온에서의 폴리우레탄 폼 합성 (Synthesis of Polyurethane Foam at Room Temperature by Controlling the Gelling Reaction Time)

  • 이호준;오충익;;김소연;한영준;오민석;주형욱;장수호;홍승범
    • 공업화학
    • /
    • 제31권6호
    • /
    • pp.630-634
    • /
    • 2020
  • We developed a processing recipe to synthesize flexible polyurethane foam with a pore size of 335 ± 107 ㎛. The gelling reaction time was varied from 0 to 30 minutes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oam were evaluated. The gelling reaction where the polypropylene glycol and tolylene 2,4-diisocyanate (TDI) were reacted to form urethane prepolymer, proceeded until a chemical blowing agent, deionized water, was introduced.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a showed that the composition of the foam did not change but the foam height reached a peak value when the gelling reaction time was 10 minutes. We found that increasing the gelling time lessened the coalescence and helped the formation of cells. Lastly, the repeatability of polyurethane foam was confirmed by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by synthesizing ten identical polyurethane foams under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s, including the gelling reaction time. Overall, the new time parameter in-between the gelling and blowing reactions will give extra stability in manufacturing identical polyurethane foams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polyurethane foam processes.

전이금속 촉매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개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methane reforming with carbon dioxide using transition metal catalyts)

  • 장현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644-650
    • /
    • 2021
  • 본 연구는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인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메탄의 개질반응 특성을 수행하였다. 이산화탄소와의 메탄 분해 반응을 전이금속 촉매인 주석을 사용하여 수행되었으며, 주석의 분해 반응성은 니켈, 철과 같은 전이 금속보다 낮으며, 대부분의 분해 반응은 고체 상태 촉매하에 수행된다. 반면에 주석의 녹는점은 505.03K로 액상 촉매하에서 분해가 발생된다. 주석을 사용하는 경우 액상으로 반응하며 메탄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고체상 탄소가 촉매에 침적되어 비활성화되는 것을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메탄을 분해하는 경우 일산화탄소와 수소를 생성한다. 촉매의 활성과 수명을 높이기 위해 Ni를 사용한 경우 촉매 활성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과잉습식함침법을 이용하여 촉매를 합성하였으며, 반응 온도, 공간 속도에 따른 활성과 촉매 재생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탄소가 침적된 주석의 촉매 재생 온도는 1023 K로 나타났으며, 니켈을 조촉매로 사용하고 물을 공급하므로써 반응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성포장의 노반재료로서 EPS 지오폼의 회복탄성계수에 관한 적합성 연구 (A Feasibility Study on Resilient Modulus of Expanded Polystyrene (EPS) Geofoam as a Flexible Pavement Subgrade Material)

  • 박기철;장용채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12호
    • /
    • pp.63-70
    • /
    • 2011
  • EPS지오폼은 다양한 강도, 밀도, 그리고 크기로 생산되는 일종의 화학합성물이다. EPS지오폼에 관한 근래의 발전으로 인해서, 그것의 사용은 급격하게 늘어나고있다. 이것은 초경량 재료로서 단위중량이 약 $0.16{\sim}0.47kN/m^3$ 인데, 이것은 채움재의 용도로 가장 대표적인 흙의 단위중량 $6.3{\sim}15.7kN/m^3$와 동일한 내구성을 가진다.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EPS지오폼에 대한 회복탄성계수 표준측정방법은 보고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연성포장의 노반에 적용될 때의 EPS회복탄성계수의 적합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적합성연구는 삼축압축시험의 결과를 토대로 이루어졌으며, 연성포장의 노반재료로써 EPS는 실험결과의 분석과 근본적인 회복탄성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그것의 적합성을 확인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