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학공장

Search Result 513, Processing Time 0.091 seconds

전기기기의 방폭운전방식

  • 이승원
    • 전기의세계
    • /
    • v.25 no.2
    • /
    • pp.35-39
    • /
    • 1976
  • 공업사상, 화학공장 및 탄갱에서의 가스폭발에 의하여 인류가 입은 피해는 막대하다. 설비 및 기타 경제적 손실은 물론, 많은 귀중한 생명까지도 잃어버리는 경우가 허다하였다. 최근에 와서는 석유류를 기초재료로 하는 산업이 급격히 증대됨에 따라 사업장내에 있어서의 위헙한 원재료의 취급량이 급격히 불어나고 위험장소의 범위도 확대됨에 따라 만일 사고가 발생하면 해당공장 뿐만 아나라 인접공장 및 부근의 일반주택에 까지도 그 피해가 파급되는 일이 종종 일어나고 있어 주위에 큰 불안을 안겨주고 있다. 몇몇 외국의 화학공장에서는 가연성액체의 누출에 의한 미증유의 대폭발이 일어나 그 점화원이 전기의 스파크가 아닌가 하고 생각될 때가 있다. 이러한 산업계에서의 위험률의 증가추세에 비추어 볼때, 앞으로의 방폭전기설비의 수요는 급격히 늘어날 것이 예상되며 그 방폭성에 있어서도 한층더 신뢰성이 높은 것이 요청된다. 그러나 아직도 한국에서는 외자도입시설이 아닌곳에서는 전기기기의 방폭운전이 일반화되어 있지 못하고 있어 효과적인 방폭전기운전방식의 채용 및 방폭구조를 가진 전기기기의 개발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 PDF

Risk Priority Number of Chemical Facilities by the Risk Assessment of Injury Analysis in the Chemical Plant (재해분석을 통한 화학공장의 위험성 평가에 따른 화학설비의 위험도 우선순위)

  • Shin, Woonchu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17 no.4
    • /
    • pp.39-44
    • /
    • 2013
  • There have been large explosions at some chemical plants recently. Accidents in chemical plants have been caused mainly by servicing for maintenance. There is a need to find a key target for effective injury prevention in maintenance. In this paper, facilities were selected as a key target and the risk priority numbers of the facilities were calculated in order to prioritize preventative measures. The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the followings; the list of the facilities is found through injury analysis. Then, the risk of each facility was calculated by the frequency of accidents and the working day loss through injuries. In addition, the risk of the facilities was calculated again by the frequency and the severity based on knowledge and experience of experts. As a result, the facilities in chemical plant maintenance are ranked in order of high to low risk priority number; reactor, dryer, tank lorry, etc. In the future, special measures and attention should be directed according to the risk priority number during the maintenance of chemical plants.

RBI기법을 이용한 화학공장의 안전성 향상에 관한 연구

  • 노용해;서재민;고재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373-376
    • /
    • 2000
  • 현대의 화학산업시설에서는 다양한 잠재위험으로 인하여 화재, 폭발, 독성물질 누출 등의 중대산업사고의 발생 가능성 및 사고결과의 피해 범위가 증가되고 있다. 만약 사고가 발생한다면, 현장의 근로자, 인근지역 주민, 주변의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사회적·경제적 불안 요소를 제공하게 된다. 지금까지는 정량적 위험성 평가라는 방법을 사용하여 화학공장의 안전관리를 수행하였으나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고의 위험도를 낮추기 위하여 RBI라는 기법을 사용하여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안전성 향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중략)

  • PDF

Optimal Hydrogen Recycling Network Design of Petrochemical Complex (석유화학단지 수소 재활용 최적 네트워크 설계)

  • Jeong, Changhyun;Lee, Chul-Jin;Kim, Dae-hyeon;Han, Chonghun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5 no.1
    • /
    • pp.25-31
    • /
    • 2007
  • In a petrochemical complex, large amount of hydrogen is produced as a by-product and used as a fuel in petrochemical and oil refinery plants. By recycling this byproduct hydrogen as a raw material, the value of hydrogen can be greatly improved. This paper proposes a design methodology for optimal hydrogen recycle network between plants in petrochemical complex by analyzing the hydrogen pinch, required cost and constraints.

현장탐방 - 대성산업가스(주) 파주공장 초고순도 Plant

  •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302
    • /
    • pp.68-77
    • /
    • 2015
  • 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엘씨디로에 위치한 대성산업가스(주) 파주공장 No.2 Plant 건설 현장은 질소가스를 생산하여 LG디스플레이와 LG나노텍, LG화학 등에 공급하기 위한 플랜트 건설공사다.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던 여름 날, 모든 공정을 마치고 시운전 준비에 여념없는 현장에서 연합개발(주)(대표 이규식) 이준우 현장 소장과 대성산업가스(주) 파주공장 홍승표 공장장을 만났다.

  • PDF

에너지절감과 기업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KCC 여천공장'

  • Go, Gyeong-Seok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37
    • /
    • pp.22-25
    • /
    • 2005
  • KCC 여천공장은 석고보드를 생산하고 있다. 대표적인 에너지 다소비업종인 화학산업 KCC 여천공장은 에너지절감이 곧 가격경쟁력 확보라는 생각으로 다양한 에너지절감 활동을 펼치고 있었다. 폐열회수기 ESCO사업과 자체 에너지절감사업등을 통해 에너지절감에 힘쓰는 KCC 여천공장을 찾았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Safety Shower (Safety shower 설치 및 관리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 Lee, Dong Hyeok;Yoo, Byung Ta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2 no.6
    • /
    • pp.1-7
    • /
    • 2018
  • Currently chemical plant risk have been issued by occurring frequent accidents. Accidents can be generally composed of fire, explosion, release in chemical plant. In case of fire and explosion, accident victims are occurred immediately after accident but release accident, late emergency response cause damage to worker. Especially, there are many victims by late emergency response against chemical exposure to skin. In case of chemical exposure to skin, irreversible damage like death, blindness, burn can be prevented by washing immediately. Safety shower can provide the cleaning for chemical exposure to eye, skin. Most of chemical plants are built in 1980s so equipment become superannuated. In this reason, safety shower also cannot operate normally in emergency situation. Therefor safety shower should be managed by installation and management guideline. This study perform the establishment guideline for safety shower installation and inspection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 Study on Need for Safe Baseline Isolation Standard for Chemical Plant Equipment (화학공장 설비의 안전한 격리 표준 필요성에 대한 연구)

  • Su-Ji Choi;Sang-Gil Kim;Gyu-Sun Cho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8 no.4
    • /
    • pp.37-46
    • /
    • 2023
  • Due to the aging, advancement, and complexity of chemical facilities, non-routine work such as facility inspection, repair, or maintenance work is increasing. Of the 1,483 accidents that occurred over the past 10 years at chemical product manufacturing sites subject to PSM, accidents that occurred during non-routine work accounted for 56% (932 Cases) of the total. It can be seen that more accidents occur during non-routine work than during routine work. In particular, in order to improve the economy and efficiency of factory operation, there are cases where some facilities are stopped without stopping the entire factory and then inspection, repair, or maintenance work is performed while isolated from the operating facilities. Therefore, first, a safe isolation method must be selected by establishing an isolation standard (Baseline Isolation Standard) based on the chemicals handled, operating conditions, and risk level of the equipment in the chemical plant. Second, since current domestic laws and standards do not suggest the need for specific quarantine standards, it is necessary to institutionalize the preparation of quarantine standards. Technic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are needed to prevent fires, explosions, and poisoning accidents caused by leaks of chemical substances.

Removal of $H_2$S and $CH_3$SH on Pilot scale experiment in the odor mixture at workplace (Pilot scale에서 작업장내 혼합악취중 황화수소와 메틸머캡탄의 제거)

  • 최봉각;김기환;신창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8.11a
    • /
    • pp.73-76
    • /
    • 1998
  • 악취 물질은 주로 피혁공장, 화학공장, 유지공장, 슬러지처리장 등에서 발생하며 작업장 내의 근로자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주민들에게 정신적인 불쾌감을 주는 동시에 인체에 매우 유해한 물질들이다. 이들 악취물질중 유황화합물질로는 황화수소, 머켑탄류가 있으며 아주 적은 농도에서도 악취를 느낄 수 있고 자극이 매우 심하다. 특히, 황화수소와 메틸머켑탄은 거의 모든 악취의 주요 원인물질로서 작업현장 내에 혼합물질로 존재하며, 쾌적한 작업환경을 위해서는 이들의 처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Catalytic Heat Exchanger for Treatment of Off-gas from Oil Refinery Plant (촉매 열교환기를 이용한 정유공장의 Off-gas 처리기술 개발)

  • 유인수;조성준;강성규;정진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445-446
    • /
    • 1999
  • 근래 여천과 울산 석유화학 단지에서의 유해가스 및 폐수에 의한 환경공해는 심각하여 이제 본격적으로 규제에 진입하였다. 국내외의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생산 환경 변화에 따라 기존 생산 공정에서도 광해물질 배출과 사용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공정 개선이 시급하게 되었다. 특히 기존의 제천 공장이나 석유화학 공장 등에서 배출하였던 가연성 악취 공해 부생가스들은 재처리를 의무화하고 있어 이를 효율적으로 이용 또는 처리할 수 있는 공정 개선이 꼭 필요하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