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재 소화

Search Result 58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evelopment of Fire Extinguishing System Suitable for Unmanned Engine Room of a Small Ship (소형선박 기관실화재에 대한 자동소화시스템 개발연구)

  • Kim, Dong-Suk;Kwark, Ji-Hyun;Kang, Dae-Sun;Son, Bong-Sei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0 no.3 s.63
    • /
    • pp.96-100
    • /
    • 2006
  • A study developing the dry powder fire extinguishing system inside the simulated machinery spaces of small ship was performed. Fire tests were conducted inside the compartments having volume $8m^3,\;4.5m^3\;and\;2.9m^3$ respectively. The openings and fans were established on the walls of the compartments. Diesel oil was used for the test fuel. In addition fire extinguishing nozzles using dry powder were installed downward at ceiling and horizontally at the wall or conner. All fires in the test were extinguished under system activation and there was no reignition.

A Study on the Flame Ex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Inerting Gaseous Agents (불활성가스계 소화약제의 불꽃소화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Sung-Min;Shin, Chang-Sub;Park, Jae-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8.04a
    • /
    • pp.148-150
    • /
    • 2008
  • Halon gas agent has been widely used as the extinguishing agent for B class and C class fires because of its excellent extinguishing power. But Halon was found to contribute to the ozone layer destruction, eventually Halon designated as one of ozone-layer-destroying materials in the Montreal Protocol in 1987, In this study, in the context of such researches, we measured the characteristics of flame concentrations of inert gaseous agents by Cup-burner method.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amage of the Data Process Equipment When $CO_2$ is Discharged ($CO_2$소화설비 방사시 정보저장장치의 저온손상에 관한 연구)

  • 김영진;이수경;김종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9.06a
    • /
    • pp.115-120
    • /
    • 1999
  • 현재 소방법 기술기준 소방대상물 및 위험물별 소화설비의 적용성에 의하면 전산실, 전기실, 통신기기실에 모두 설치가 허용된 소화선비는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할로겐화 소화설비 및 가스계 소화설비 뿐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불연성 가스인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는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소화 후 증거 보존이 양호하고 그 청결성 등으로 인하여 화재의 소화뿐만 아니라 화재예방, 인화폭발의 예방에도 적당한 것으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ire Extinguishing Agent and Extinguishing System for ESS Fire (ESS 화재전용 소화약제 및 소화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Yeon-Ho;Lee, Joo-Hyung;Kim, Soo-Jin;Chon, Sung-Ho;Choi, Byoung-Chul;Oh, Seung-Ju;Kim, Si-Kuk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4 no.2
    • /
    • pp.147-155
    • /
    • 2020
  •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fire extinguishing agent and extinguishing system for an energy storage system (ESS) fire.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designed to extinguish an ESS fire is a highly permeable fire extinguisher that reduces the surface tension and viscosity while bringing about cooling action. This is the main extinguishing effect of this type of wetting agent, which displays the characteristics of fire extinguishing agents used for penetrating the battery cells inside the ESS module. For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a local application system was designed to suppress fire on a rack-by-rack basis. A 360° rotating nozzle was inserted into the rear hall of the ESS module, and general nozzles were installed in the rack to maximize the fire extinguishing effect.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was strongly discharged by virtue of the gas release pressure. Experiments on fire suppression performance with ESS module 1 unit and module 3 units showed that all visible flames were extinguished in 8 s and 9 s, respectively, by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n addition, based on confirming reignition for 600 s after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was exhausted, it was confirmed that the ESS fire was completely extinguished without reignition in all fire suppression performance experiments.

Full-scale Fire Suppression Test for Application of Water Mist System in Road Tunnel (미분무수 소화시스템의 도로터널 적용을 위한 실물 화재 실험)

  • Han, Yong-Shik;Choi, Byung-Il;Kim, Myung-Bae;Lee, Yu-Whan;So, Soo-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171-174
    • /
    • 2010
  • 도로터널에서의 미분무수 소화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물 화재 실험을 수행하였다. 적용된 화원은 실물 승용차 화재와 유류화재를 모사한 화원면적 $1.4m^2$의 heptane pool 화재이며, 기존 도로터널에 설치된 저압 물분무 시스템과 고압 미분부수 소화시스템과의 냉각효과 비교실험을 수행하였다. 도로터널 내의 환기조건을 구현하기 위해 실물모형 터널의 한 편에 터널 유속(0.9~3.8 m/sec 범위) 발생장치를 설치하였으며, 화원에서 하류 방향으로 터널 내 온도분포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1/5의 유량을 사용하는 고압 미분무수 소화시스템은 저압 물분무 시스템과 동등한 수준의 냉각효과를 보였다.

  • PDF

A Sturdy on Water Mist Fire Extinguishment System for the Transformer Room (전력공급용 주변압기실 Water Mist 소화설비 적용에 관한 연구)

  • Noh, Soon-Cheol;Baek, Doo-Hyun;Choi, Young-Hwan;Ji, Sung-G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11b
    • /
    • pp.39-42
    • /
    • 2004
  • 주변압기실에 Water Mist 소화설비의 적용을 위하여 과거 화재사례 분석, 변압기의 형태, 변압기실의 구조 등을 검토하여 3가지 화재유형을 상정하였고, 발생 가능한 화재규모 및 종류를 검토하여 소화성능 평가를 위한 6가지 화재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주변압기실에 적용 가능한 최적의 Water Mist 소화설비의 시험기준을 정립하였으며, 향후 본 시험기준에 의한 전력공급용 주변압기실 Water Mist 소화설비가 화재에 의한 대형 재난을 예방함과 동시에 안정적인 전력공급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Tube for Detecting Ignition Point (발화점 감지 튜브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 Choi, Young-Kwan;Yoon, Byeong-Don;Kim, Eung-Kwon;Shin, Myo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341-344
    • /
    • 2010
  • 발화점 감지 튜브 자동소화장치는 화재발생시 일정한 온도가 되면 튜브가 녹아 가스가 방출되면서 소화용기내의 소화약제가 방출되어 화재를 진압하는 장치로써 전력의 공급 없이도 화재의 감지 및 소화가 가능한 자동소화장치이다. 본 논문에서는 감지온도 $100^{\circ}C{\sim}110^{\circ}C$에서 열에 반응하여 가스방출이 가능한 첨단 폴리머 튜크 재질의 발화점감지 튜브를 개발하고자 기존 발화점 감지 튜브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Vehicle Fire Extinguishing System (차량 소화시스템)

  • Kim, Gwa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9.05a
    • /
    • pp.293-295
    • /
    • 2019
  • 우리나라의 경우 경제 성장을 거듭함으로서 국민 소득이 향상되고 자동차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자동차의 보유 대수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지만 자동차 화재에 대한 인식은 매우 낮은 편이며, 차량화재는 다양한 원인들이 서로 독립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서로 연관되어서 화재 발생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고의 원인을 정확히 밝혀내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자동차 소유자들의 자동차 화재에 대한 인식은 그다지 높지 않아 차내에 휴대용 소화기조차 비치하지 않고 있는 경우가 태반이고 이러한 실정을 가만하여 볼 때 자동차 자동 소화 시스템의 개발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버스 엔진실을 대상으로 하여 화재 발생 시 인명 피해를 막으면서 승객의 안전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자동소화장치 제어기를 개발하고자 한다.

  • PDF

Fire Extinguishing Capability of an Automatic Spreading Fire Extinguisher in Accordance with Horizontal Distance from a Fire Source (자동확산소화장치의 이격거리에 따른 소화성능평가연구)

  • Kwark, Ji-Hyun;Kim, Dong-Suk;Ku, Jae-Hy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7 no.5
    • /
    • pp.38-43
    • /
    • 2013
  • An automatic spreading fire extinguisher usually installed in a closed area like a boiler room, a laundry store or a restaurant's kitchen room is one of the fire protection equipments. This extinguisher automatically discharges dry powder, extinguishing fire. As this extinguisher has the extinguishing capability applicable to the nominal protection area, objects outside the area cannot be properly extinguished. However only its number is being requested according to the floor area in the related laws, and the extinguishing capability depends on the distance from a fire source.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the extinguishing capability of the automatic spreading fire extinguisher in accordance with horizontal separation distance from a fire source. It appeared that the maximum horizontal separation distance was about 30 cm for both class A and B fire to be certainly extinguished.

Quantity of the Agent in the Piping System of Low Pressure Carbon Dioxide Extinguishing Systems (저압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방출배관내 약제량)

  • Kim, Wee-K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136-139
    • /
    • 2011
  • 국가화재안전기준 107 및 107A에서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와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 설계시 하나의 방호구역을 담당하는 저장용기의 소화약제의 체적합계보다 소화약제의 방출시 방출경로가 되는 배관(집합관을 포함한다)의 내용적의 비율이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당해 방호구역에 대한 설비는 별도의 독립방식으로 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경우에는 이산화탄소의 증기압이 충분히 높으므로 방출배관의 용적에 대한 제한사항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저압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경우 약제의 저장온도가 낮으므로 방출시 기화되어 설계시 의도한 방출량을 만족시키지 못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저압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 대한 방출배관 용적 제한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