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재탈출

Search Result 6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the Safety Evacuation of Onboard Fire (선박화재시 피난 안전성 연구)

  • Kim, Won-Wook;Kim, Chang-Je;Chae, Yang-Beom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29
    • /
    • pp.16-25
    • /
    • 2010
  • 선박화재는 육상과 달리 숙련된 인원과 다양한 장비에 의한 소화활동이 곤란하며 거의 자체적인 진화작업을 수행해야하므로 소화가 쉽지 않다. 화재는 일반적으로 화염에 의한 인명사고 보다 매연에 의한 질식사의 확률이 높으므로 인명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초기 진화가 가장 중요하다. 하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부득이 소화가 지연되거나 불가능할 경우에는 화재 구역으로부터 신속한 탈출만이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CFD기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선박화재시 탈출에 지장이 되는 매연농도를 측정하고 피난시간과 비교하여 적절한 피난이 가능한지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VR Game to Experience the Fire Evacuation and its Effect Analysis (화재 탈출 체험 VR 게임 개발과 효과 분석)

  • Kim, KyungSik;Park, YongHwa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20 no.2
    • /
    • pp.153-162
    • /
    • 2020
  • In this research, a VR game was developed to experience the fire evacuation from a fired building, intending calm and fast reaction in urgent fire situations. The user should move out through the fire door, stairs and corridors toward exit door using the VIVE controllers. When the user can't proceed the path because of fire flame or smoke, he/she should turn back to find another path. A building of Hoseo university was modeled and tests were carried out by students with polls focused on the usability and the effectiveness of this VR game. The result has been analyzed to show their responses.

Evacuation Simulation of High-Rise Building Fires Considering Temperature and Smoke (열화와 연기를 고려한 고층 건물 화재시의 대피 시뮬레이션)

  • Lee, Bum-Jong;Park, Jong-Seung;Rie, Dong-H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703-707
    • /
    • 2008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design and implementation a simulation system in which humans can plan their evacuation paths in a high-rise building considering damages from high temperature and smoke in case of fire. Humans in evacuation search the nearest exit and follow a path to the exit. When humans are evacuating toward an exit, they are going to move with their highest speeds. However, many environmental factors prohibit their fast movements. In this paper, we calculate the evacuation speed of each human considering temperature damage and smoke damage. We restrict the number of humans that can be evacuated per second according to the actual size of the exit door.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evacuation speed is affected by the temperature condition and the smoke density.

  • PDF

로로구역의 탈출수단에 관한 SOLAS 제II-2장 제13.6규칙의 해석 제안

  • Yu, Je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439-440
    • /
    • 2013
  • SOLAS 제II-2장 제13.6규칙에는 로로구역의 탈출설비에 대해 규정을 하고 있다. 하지만 다소 모호한 표현을 포함하고 있어 이 연구에서는 규정 적용 현황을 소개하고 화재시 선원의 안전을 확보하고 합리적인 탈출을 위한 통일해석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 PDF

난연 코팅에 관한 최근의 문제의 해결방안

  • Lee, Mi-Suk
    • 방재와보험
    • /
    • s.110
    • /
    • pp.51-54
    • /
    • 2005
  • 건물의 유지보수를 위해 연소성 물질인 페인트로 겹겹이 덧칠해진 벽은 불이 번지는 연료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화재를 가속화시키는 위험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화 코팅은 화재의 확산을 막을 뿐만 아니라 화마로 부터 탈출할 시간을 벌어주며, 비용절감 측면에서도 이점을 제공하는 좋은 해결책이 될 수 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vacuation Simulation of Indoor Environment Fire (건물 내에서 화재시의 대피 시뮬레이션 설계 및 구현)

  • Jang, Byeong-O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9 no.2
    • /
    • pp.1-8
    • /
    • 2010
  • With recent development of computer hardware and 3D graphic technique, a lot of people have concern for something to express as the 3D graphic that look the real environment. Because the request of users have increased, the 3D simulation is developed and popularized in the many field.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the simulation system that humans evacuate a building fires using the 3D graphic techniques. In this paper, we use the A* algorithm to humans hav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t evacuating a building fires, calculate the evacuation speed of each human considering temperature damage and smoke damage. In this paper, we applied the real building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proposed evacuation simul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evacuation speed is affected by the temperature condition and the smoke density.

A Study on the Design of Artificial Intelligent Exit Light (인공지능형 피난유도등 설계에 관한 연구)

  • Kim, Dong-Ook;Lee, Ki-Yoen;Kim, Dong-Woo;Gil, Hyoung-Jun;Kim, Hyang-Kon;Chung, Young-Si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2200-2202
    • /
    • 2008
  • 최근 건축구조물의 복잡화, 다양화로 인하여 화재발생시 유독가스의 심각성과 공간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대형 참사가 발생될 위험이 더욱 커짐에 따라 인명피해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피난탈출에 있어서 조속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기존 방식의 고정식 단방향을 표시하는 피난유도등은 효율적인 인명 대피 및 구조가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빠른 피난이 가능하도록 화재감지기와 연동하여 위험에 처한 피난자들을 탈출시키고 화재의 발생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초기 진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ID를 가지는 화재 감지기 및 수신반과 연동하여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가 발생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모든 유도등의 방향을 제어하여 안전한 비상출입구로 사람들을 유도시키고 화염 및 연기의 방향과 속도를 계산하여 초기진압 및 최적 대피로로 방향을 표시하는 인공지능형 방향성 유도등 개발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PDF

Route Exploration Algorithm for Emergency Rescue Support on Urgent Disaster (긴급 재해 발생 시 피난 지원을 위한 탈출 경로 탐색 알고리즘)

  • Hwang, Jun-Su;Choi, Young-B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9
    • /
    • pp.12-21
    • /
    • 2016
  • The emergency evacuation support system supports evacuation assistance when an urgent disaster occurs. We have implemented evacuation route search algorithm to assist people's escape when a disaster occurs such as fires or terrorism in the building. The algorithm will guide the escape route at the fastest emergency exit of each region at the emergency state. The algorithm calculates the escape route by applying the weighting factor of age groups and population density around the emergency exit and of other regions. So the system helps escape to bypass the crowded emergency exit and the disaster area, and reduces the congestion of emergency exit and overloading of evacuation route.

Development of basic research on the trap evacuation for emergency escape (비상탈출용 대피트랩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 Choi, Kyu-Chool;Ra, Pan-J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322-330
    • /
    • 2010
  • 초고층 건축물의 급속한 증가는 건축물 화재 시 고층에서 보다 빨리 피난할 수 있는 구조적 피난설비를 요구한다. 기존의 구조용 완강기나 구조대는 고층에서는 피난자의 공포감을 충분히 해소하기에 역 부족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한 성능을 갖추어 동시에 다수의 피난자를 대피시킬 수 있는 새로운 피난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고층에서도 동시에 여러 사람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피난층까지 무사히 대피가 가능한 유압식 피난기구를 고안하고, 개략 설계하게 되었다. 이 연구를 기초로 향후 상세설계를 마친 후 고층 건축물에 적용되어 안전한 피난기구가 되었으면 한다.

  • PDF

A Study on the Crew's Survival ratio according to ship's construction (선박구조가 승무원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Kim, Won-O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9.10a
    • /
    • pp.50-51
    • /
    • 2009
  • This paper aims to improve survival ratio at ship fires by soot density reduction This study examines soot density and visibility using FDS. And also examines evacuation time by Pathfinder. The FDS(Fire Dynamic Simulator) is a 3 zone model(Field Model) analysis tool and the patherfinder is a useful analysis tool for evacuation. This research examined about evacuation time using the current regulations of the ship's corridor width and exit width first And then studied evacuation time again when ship's structure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method that is proposed in this paper. And finally compared the results each oth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