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화재위험평가

검색결과 528건 처리시간 0.033초

가연물 접촉에 따른 전기히터의 화재위험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Risk of Electric Heaters According to Contact of Flammable Materials)

  • 이성룡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63-7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계절용기기인 전기히터에 대하여 발화위험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에는 2종류의 전기히터가 사용되었다. 전기히터 가동 시 히터 표면 및 주변의 온도변화를 측정하였으며, 내부 비파괴검사를 통하여 전기히터 내부구조를 파악하였다. 전기히터 화재원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가연물 근접방치에 의한 화재위험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전도 안전스위치 오작동에 의한 발화위험성을 평가하였다. 정상작동 시 전기히터 발열제 주위에서 온도가 $80^{\circ}C$ 이하로 유지되었다. 전기히터 가동 중 가연물 낙하 등으로 인하여 히터를 덮거나 안전장치(전도안전스위치, 과열방지장치)의 오작동 등에 의해 발화위험성이 상존하고 있다.

초고층 건물의 화재 시나리오 개발 (Developing Fire Scenario of High-Rise Buildings)

  • 박준;윤성욱;김효근;하희상;이상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62-265
    • /
    • 2011
  • 초고층 복합건물의 비상시에 대한 인적 피해 및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화재 위험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비상시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및 발달에 대한 충분한 화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사전에 평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국내에서는 고층 건물에 대한 화재 시나리오가 명확히 제시된 바가 없기 때문에 정량적 화재 위험성 평가를 위한 신뢰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이를 분류할 수 있는 하부모델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시간에 따른 화재의 발달과 연소 확대에 관한 각 하부모델의 적절한 시나리오 선택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화염확산알고리즘을 기반한 화재위험성 평가상수 도출 (Flame Spread Calculation in BRANZFIRE Model)

  • 박계원;정재군;김운형;김종훈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79-80
    • /
    • 2013
  • 내장재의 화재위험성은 착화성, 난연성, 표면의 화염확산 및 방출열량, 방출 연기량 둥 다양한 기준으로 기술될 수 있으며 나라마다 시험방법과 기준이 상이함, 본 연구에서는 화염확산성의 관점에서 내장재의 화재위험성을 가름할 지표도출을 고찰하였음.

  • PDF

건축물 외장재 수직확산 실대형 화재실험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Real Scale Fire Test of Building Exterior Wall Assemblies)

  • 권오상;유용호;김흥열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95-300
    • /
    • 2011
  • 국내 건축물 외장재의 화재위험성 판단을 위한 기준 설정 및 건축물 외장재 수직확산 방지를 위하여 국내 외 실규모 화재실험을 비교 분석하였다. 현재 미국, 영국 등의 화재안전선진국들에서는 NFPA 285, BS 8414-1 등의 실대형 화재 실험을 통하여 외장재의 화재위험성을 판단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 건축물 외장재의 수직화재확산 성능 평가 방법들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실대형의 화재실험 방법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본 결과를 통해 건축물의 단위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의 성장이 플래시오버에 도달한 후 창문 등의 개구부를 통하여 화염이 출화되었을 때 이러한 화염에 의한 건축물 외장재의 수직화재 확산 성능 평가하는 건축물 외장재 수직확산 실대형 화재실험 장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PDF

석고보드의 실내화재 성능평가

  • 김충환;김종훈;김운형;하동명;이수경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90-195
    • /
    • 2000
  • 현재 미국과 유럽, 일본 등에서는 실내 벽 및 천장 마감재에 관하여 성능 기준 설계에 의한 새로운 평가방법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시험에 소요되는 시간과 경비를 절감하고자 Bench-scale test 결과를 이용하여 화재위험성을 예측하는 내장재의 Performance-based fire safety design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성능기준 화재안전 설계를 적용하기 위하여 현재 사용하는 대부분의 존 모델 프로그램은 공간화재시 가연성 마감재의 발화 및 화염확산 및 위험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중략)

  • PDF

빅데이터를 활용한 건축물 화재위험도 평가 지표 결정 (Determination of Fire Risk Assessment Indicators for Building using Big Data)

  • 주홍준;최윤정;옥치열;안재홍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81-29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건축물의 화재위험도 평가에 필요한 지표를 결정하였다. 건축물에서 화재위험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은 대부분 건축물만을 고려한 지표로 고착화되어 있기 때문에 제한적이고 주관적인 평가가 수행되어왔다. 따라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내·외부 지표를 고려한다면 건축물의 화재위험도 저감을 위한 효과적인 대책을 도모할 수 있다. 지표 결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먼저 질의어를 선정하고, 웹 크롤링 기법을 이용하여 비정형 데이터 형식의 전문 문헌을 수집하였다. 문헌 내 단어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자 용어사전 등록, 중복 문헌 및 불용어 제거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였으며,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단어를 4개의 요소로 분류하고 각 요소에서 위험도와 관련된 대표 키워드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대표 키워드의 연관검색어 분석을 통해 파생되는 위험도 관련 지표를 수집하였다. 지표의 선정 기준에 따라 수집된 지표를 검토한 결과, 20개의 건축물 화재위험도 지표를 결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 방법론은 건축물 화재위험의 저감 대책 수립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의 적용 가능성을 나타내며, 결정된 지표는 건축물 화재위험도 평가를 위한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파트 화재 사례 전산모사를 통한 화재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Fire Hazard Evaluation through the Fire Simulation of an Apartment Fire Accident)

  • 전흥균;최영상;추홍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69-7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FD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아파트 화재 사고에 대한 전산모사를 통하여 화재위험성을 평가하였다. 화재 전산모사 결과, 스프링클러 미 작동 시 최대 열방출율은 7,700kW로써 스프링클러 작동시 최대 열방출율 497kW의 약 16배이며, 화재실의 문 강제 개방 시 역화현상의 발생으로 화재위험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화재실 온도의 위험도래시간과 감지기 작동 시간에 의한 재실자 피난 여유시간은 최소 32.5초와 최대 53.5초이다. 스프링클러 작동 시에는 냉각에 의한 화재제어로 아파트 실내의 화재위험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아파트 화재사고의 전산모사 결과를 통하여 소화설비 및 비상방송설비의 정상작동이 화재안전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작동 불능 시 얼마나 큰 피해 손실을 초래하는지에 대하여 알 수 있었다.

지하공간의 위험관리정보시스템에 관한 조사 연구 - 지하가의 화재예방평가시스템 중심으로 - (A Field Survey on the Risk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on the Underground Space - Focused on Fire Protection Assessment System on The Underground Shopping Mals -)

  • 박종근;노삼규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2권4호
    • /
    • pp.117-122
    • /
    • 2002
  • 최근 국내외에서 지하철 공사현장 가스폭발, 지하 공동구 화재, 지하가 화재 폭발 등 지하공간에서의 사고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는 재산의 손실 뿐 아니라 전력, 통신망 마비로 도시기능을 무력화시키고, 인명 피해의 대형화를 동반함으로서 도시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따라서 지하공간 중 지하가의 사고 사례와 문헌 연구 및 실태를 조사, 검토하고, 운영 관리 단계에서 위험 요인을 도출하여 안전대책의 평가요소 및 화재예방평가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위험물 취급설비 화재 사고결과 영향평가 프로그램 개발 방향 (Development Direction of Fire Consequence Analysis Programs for Hazardous Materials)

  • 유재환;김용수;이영순;이경봉;이성우;박달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6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위험물 취급설비에 대하여 4가지 화재유형으로 나누어 사고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작성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SuperChems Pro., 3.1, SAFER Trace Ver., 8.2, PHAST Pro., Ver., 5.2 등 외국의 사고결과 영향평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고결과 영향평가 프로그램의 적용 특성을 분석·평가하였으며 이들 프로그램의 분석, 적용 평가 결과 및 관련이론을 활용하여 이를 전산화 할 수 있는 화재모델 및 서브모델을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 PDF

자기반응성물질의 화재.폭발 위험성 평가 (Risk Evaluation of Fire and Explosion Considering the Property of Self-Reactive Materials)

  • 이봉우;송학;문덕인;이창우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64-368
    • /
    • 2011
  • 최근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과학기술과 산업발달에 따라 화학물질, 위험물의 사용, 저장 및 운송물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우리의 일상생활과 인류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지만 인화성, 폭발성 등의 잠재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세계 각국은 물질의 분류와 표시가 달라 국제무역에서 많은 사고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반응성물질의 화재 폭발 위험성을 평가하고, 국제적인 시험방법과 국내 시험방법으로 시험하여 연관성 및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선진화된 시험방법을 국내실정에 적합하게 제시하는데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