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재안전설비

Search Result 38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노말프로판올의 자연발화온도와 발화지연시간의 관계

  • 하동명;최용찬;한종근;김한돌;신용범;정세훈;이문선;윤준혁;류정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54-159
    • /
    • 2003
  • 화학공장과 제조업 등의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화재 및 폭발은 설비와 건물의 파괴뿐만 아니라 사업장의 근로자와 인근 주민에 대한 인명 피해까지 초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공정 안전을 위해 화재 및 폭발 분야의 연구에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방화(Fire Protection) 및 방폭(Fire Protection)에 관련되는 특성치로 MSDS의 5번째 항목인 폭발화재시대처방법(Fire-fighting Measures)에서는 폭발(연소)한계(Explosive Limit 혹은 Flammability Limit), 인화점(Flash Point), 최소발화온도(AIT: Auto-ignition Temperature)가 제시되고 있다.(중략)

  • PDF

The Countermeasure of the Fire of Electric Cables (케이블 화재 방재 대책)

  • 박양범;한상옥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9 no.2
    • /
    • pp.47-56
    • /
    • 1995
  • 최근 5년간(1989∼1993)의 전기사용 증가율은 11.4%인 반면 전기화재는 년평균 12.3% 이상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부각되고 있으며, 전기 화재의 발생이 케이블을 비롯한 배선설비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볼 때 이에 대한 관심이 더욱 요구되 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제도적인 장치가 구체적으로 정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외국의 경우 케이블 화재의 예방과 소화를 위해서 여러 가지 공법을 개발해서 이것을 의무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건축물 전기 설비에 관련된 방재 안전 기준 및 시설 기준이 건축법시행령 및 전기설비기술기준 등에 약간 소개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기존 공법을 계속 적용함에 있어서 여러 문제점이 지적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위험성이 산재해 있다.

  • PDF

A Study on the Prevention of Electrostatic Fire Explosion (정전기 화재폭발 예방에 관한 연구)

  • Ham, Eun-Gu;Heo, Dai-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385-386
    • /
    • 2022
  • 본 연구는 방폭지역에서 정전기를 측정하는 설비 (EST:Electrostatic Transmitter), 측정 된 정전기를 저감시키는 설비(EES:Electrostatic Elimination System), 방폭지역에서 인체 정전기를 제거시키는 설비(방폭 디지털 제전봉)를 통한 비방폭구역에서 사용되는 정전기 측정장비와의 비교를 통하여 극히 제한적인 Basic Design(온도/압력/속 도/유량)으로 인한 설계나 장치 등 변경 등을 반영하여 방폭지역에대한 근본적인 문제점을 도출 제거할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으며 기존 사용되었던 비방폭지역의 정전기 제거 시스템을 보완한 방폭지역의 정전기 화재폭발 예방 기술을 적용하였다.

  • PDF

Case Study about Performance Based Design through Fire & Egress Simulation for Atrium of A Hotel & Casino (A 호텔 & 카지노 아트리움의 화재 및 피난시뮬레이션을 통한 성능위주설계 사례연구)

  • Park, Chang-Bok;Lee, Yong-Ju;Kim, Min-Ju;Yoon, Myong-O;Choi, Young-Hwa;Park, Jae-Sung;Kim, Hwan-Ji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3 no.2
    • /
    • pp.13-19
    • /
    • 2009
  • This study is related with fire risk assessment for occupant of the area adjacent to not enclosed atrium through the computer modeling and application of enhanced fire protection systems depending on the result. Fire scenario is intended to evaluate the impact of a fire from atrium base within the corridor adjacent to the atrium and to compare with egress time depending on the warning system.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fire life safety for occupant adjacent to atrium through the computer simulation and to suggest alternative option in case the occupant safety is not guaranteed.

미세물분무의 분사특성에 따른 n-Heptane 화염의 소화

  • 이경덕;김영수;신창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18-123
    • /
    • 2000
  • 화재에 대한 소화방법으로서는 점화원의 냉각, 산화제 농도의 감소에 의한 화염의 질식 및 제거소화와 부촉매를 이용한 소화법이 있다. 이중 냉각소화방법은 주로 물을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하고 있으나, 유류화재와 전기화재 등에서는 물보다 할론소화약제가 효과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할론 등 CFC 계통의 소화약제는 환경오염물질을 내포하며, 지구온난화지수와 오존파괴지수 등이 높아 전세계적으로 그 사용이 중단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체 기술의 하나로 최근에 관심이 고조되기 시작한 소화기술은 분무 노즐을 이용한 미세물분무(water mist) 소화설비이다.(중략)

  • PDF

큰 개구부가 있는 지하공간의 화재와 제연에 관한 수치적 연구

  • Park, Oe-Chul;Ko, Kyung-Chan;Park,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21-128
    • /
    • 2003
  • 화재가 발생했을 때 많은 사람이 연기에 질식하여 사망하는 피해가 거의 해마다 일어나고 있다. 특히 올해 2월18일 190여명이 사망한 대구 지하철 중앙로역 화재참사에서는 다량의 유독성 가스를 효과적으로 배출하지 못해 더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당시 지하철역에는 화재가 발생하면 환기용 배기장치가 급기장치로 전환되는 급기방식의 제연설비가 설치되어 있었고, 시계 불량으로 피난 표지판과 유도등이 잘 보이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중략)

  • PDF

Quantity of the Agent in the Piping System of Low Pressure Carbon Dioxide Extinguishing Systems (저압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방출배관내 약제량)

  • Kim, Wee-K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136-139
    • /
    • 2011
  • 국가화재안전기준 107 및 107A에서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와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 설계시 하나의 방호구역을 담당하는 저장용기의 소화약제의 체적합계보다 소화약제의 방출시 방출경로가 되는 배관(집합관을 포함한다)의 내용적의 비율이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당해 방호구역에 대한 설비는 별도의 독립방식으로 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경우에는 이산화탄소의 증기압이 충분히 높으므로 방출배관의 용적에 대한 제한사항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저압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경우 약제의 저장온도가 낮으므로 방출시 기화되어 설계시 의도한 방출량을 만족시키지 못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저압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 대한 방출배관 용적 제한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A Study on Cases in Assessment of Recommanded Replacement Year of Outdated Fire Equipment in the Cases of Japan (소방용 설비의 교체연한 산정을 위한 사례 연구 -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 Lee, Kyu-Sik;Seo, Hyun-Cheol;Na, Wook-Jeong;Hong, Wo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301-306
    • /
    • 2011
  • 건축물의 다양한 설비는 내부 거주자의 안전, 쾌적, 위생 등 환경적 요구를 충족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소방용 설비의 경우 화재발생시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며 평상시 자주 사용되지는 않지만 화재와 같은 사고 발생시엔 확실한 작동이 요구된다. 소방용 설비는 경년변화로 인한 기기의 성능저하 및 고장발생의 우려가 큼에도 그 특성으로 인해 고장 및 기기의 결함을 조기 발견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국내에서는 소방설비에 대한 점검 기준을 마련하여 이를 소방용 설비의 유지보수를 수행하고 있으나 형식적인 점검방법으로 인해 다음 점검주기까지의 성능보장이 불가능하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공학적 근거에 의한 소방설비의 내구연한을 제시될 필요가 있어 국내에서도 현재까지 소방설비에 내구연한 산정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나 내구연한 산정방법과 기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공업회의 자주적인 대처로 산정된 소방용설비용 내구연한 사례를 분석 고찰하여 국내 소방설비 기기의 내구연한 및 교체시기 산정에 대한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A Study on Safety Impact Assessment of a Multiple Hydrogen Refueling Station (다차종 동시 충전을 위한 수소 스테이션의 안전 영향 평가 연구)

  • Boo-Seung Kim;Kyu-Jin Han;Seung-Taek Hong;Youngbo Cho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8 no.1
    • /
    • pp.85-99
    • /
    • 2024
  • As the proliferation of hydrogen electric vehicles accelerates, there is observed diversification in hydrogen refueling station models. This diversification raises safety concerns for different types of stations. This study conducted 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of a multi-vehicle hydrogen station, capable of simultaneously refueling cars, buses, and trucks. Utilizing Gexcon's Effects&Riskcurves Software, scenarios of fire and explosion due to hydrogen leaks were assessed. The study calculated the impact distances from radiative heat and explosion overpressure, and measured risks to nearby buildings and populations. The largest impact distance was from fires and explosions at dispensers and high-pressure storage units. High-pressure storage contributes most significantly to personal and societal risk. The study suggests that conservative safety distances and proper protective measures for these facilities can minimize human and material damage in the event of a hydrogen le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