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ases in Assessment of Recommanded Replacement Year of Outdated Fire Equipment in the Cases of Japan

소방용 설비의 교체연한 산정을 위한 사례 연구 -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 Lee, Kyu-Sik (School of Architecture & Civi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Seo, Hyun-Cheol (School of Architecture & Civi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Na, Wook-Jeong (School of Architecture & Civi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Hong, Won-Hwa (School of Architecture & Civi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규식 (경북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
  • 서현철 (경북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
  • 나욱정 (경북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
  • 홍원화 (경북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 Published : 2011.04.22

Abstract

건축물의 다양한 설비는 내부 거주자의 안전, 쾌적, 위생 등 환경적 요구를 충족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소방용 설비의 경우 화재발생시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며 평상시 자주 사용되지는 않지만 화재와 같은 사고 발생시엔 확실한 작동이 요구된다. 소방용 설비는 경년변화로 인한 기기의 성능저하 및 고장발생의 우려가 큼에도 그 특성으로 인해 고장 및 기기의 결함을 조기 발견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국내에서는 소방설비에 대한 점검 기준을 마련하여 이를 소방용 설비의 유지보수를 수행하고 있으나 형식적인 점검방법으로 인해 다음 점검주기까지의 성능보장이 불가능하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공학적 근거에 의한 소방설비의 내구연한을 제시될 필요가 있어 국내에서도 현재까지 소방설비에 내구연한 산정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나 내구연한 산정방법과 기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공업회의 자주적인 대처로 산정된 소방용설비용 내구연한 사례를 분석 고찰하여 국내 소방설비 기기의 내구연한 및 교체시기 산정에 대한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