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재안전설계

Search Result 425,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A Forecast Study on the Fire Growth Rate and Investigation of Combustible for Fire Safety Design in Building (건축물 화재안전설계를 위한 주요가연물조사 및 화재성장율 예측에 관한 연구)

  • Seo, Dong-Goo;Kim, Dong-Eun;Kim, Bong-Chan;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33-135
    • /
    • 2012
  • The Fire growth rate(kW/s2) is significant impact on initial fire behavior in fire safety design of buildings. As a result of domestic existing combustibles, this study analyzed considering matters in techniques for calculating caloric values, and then made an investigation sheet. By utilizing written combustion sheets, the study could suggest a standard model at common houses and dense ones after getting caloric value information in dense ones. As a result, fire growth rate is experiment 1(0.01), experiment 2(0.0048), FDS(0.0072), MATSUYAMA equation(0.0144).

  • PDF

A Design of a fire escape servie model based on contexts (상황정보 기반의 지능형 화재 대피 서비스 모델 설계)

  • Jeong, Ho-Seok;Joo, Myeong-Joon;Yoon, Seung-Hwan;Jeong, Joo-Yeon;Cho, Yong-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238-240
    • /
    • 2011
  • 수많은 건물들이 세워지고 있는 가운데 안전 역시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은 유비쿼터스 시대에 맞추어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건물의 화재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화재 발생 시 다양한 상황정보를 고려하여 대피 경로를 사용자 스마트 기기로 알려주는 상황정보 기반의 지능형 화재대피 서비스 모델 설계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서비스 모델은 센서가 실시간으로 건물 내부를 감지하고 화재 여부 및 화재지역, 연기량, 사람수 등의 상황정보를 파악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는 전송된 정보를 분석하여 대피경로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해 최적의 대피 경로를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로 전송한다. 이 시스템 구현으로 건물 화재 발생시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Numerical Analysis on Pressurization System of Smoke Control in Consideration of Flow Rate of Supply and Leakage (보충량과 누설량을 고려한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수치해석 연구)

  • Kim, Jung-Yup;Shin, Hyun-Joo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4 no.5
    • /
    • pp.87-93
    • /
    • 2010
  • The fact that the smoke hinders evacuation and fire-fighting activities as well as becomes the major cause of life casualt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moke control system. As one of the fire safety standards designed to secure the smoke safety, NFSC501A (Design Guide for Smoke Control System of Special Evacuation Stairwell and Lobby) has been proposed, preventing smoke from penetrating into the smoke-free escape route by raising the pressure of the smoke control zone higher than fire area. For model building of 20 stories, pressurization system was designed according to standard and pressure field of compartments in whole building induced by pressurization system was analyzed using the network model.

A study on the optimized design of the alarm valve with strength safety (강도 안전성을 고려한 알람 밸브의 최적설계에 관한 연구)

  • Kim, Tae-Hwan;Kim, Chung-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332-336
    • /
    • 2010
  • 알람밸브는 습식 스프링쿨러 시스템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밸브로써 알람밸브의 오작동 및 고장 등은 치명적인 인명 및 재산의 손실을 가져 올 수 있으므로 소방밸브의 안전성 기준은 매우 높다. 이에 현재 제작되고 있는 알람 밸브는 강도 안전성 측면에서 매우 안전하게 설계가 되어있으며 주철 재질로 주물을 통해 제작된다. 하지만 이러한 과도한 안전설계는 오히려 과도한 무게의 부담으로 시스템에 무게 부담을 주기도 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밸브의 무게를 경감시키면서 충분한 강도안전성을 가지는 밸브의 설계안을 제시하고 유한요소 해석을 통하여 그 결과를 살펴보았다.

  • PDF

Safety Evaluation of Tunnel Fire by CFD Modeling (터널화재의 CFD Modeling에 의한 안전성 평가방법)

  • Lee, Chang Wook;Lee, Keun Soo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84-84
    • /
    • 2011
  • 터널화재의 위험요소에 대한 해석을 위해서는 실제 상황을 재현한 실대형 실험이 가장 유용하겠지만 현실적으로 시간적, 공간적, 경제적인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CFD Modeling 기술의 이용 및 검증이 필요하고, 실제 상황에 가까운 현상의 재현을 위해서는 시뮬레이션의 정확도에 대한 향상이 필수적이다. 또한, CFD Modeling을 터널화재에 적용할 때 시뮬레이션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결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우선, 터널의 기하학적 구조와 경계조건의 확립이 필요한데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어느정도 길이의 터널이 적절한지에 대해 생각할 필요가 있으며, 단면변화에 대한 결정을 통해 모델링을 수행하여야 한다. 모델링 작업이 선행된 후에 화재의 위치, 성장률, 최대 크기, 환기시스템 사항 등의 고려가 필요한데 이러한 조건들은 CFD Modeling의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충분한 사전조사가 이루어져야 하고, 각 사항들의 변수를 고려하여 다양한 화재시나리오의 도출이 가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화재에서 발생된 열중 약 30%가 복사에 의해 주위 벽으로 전달될 수 있고 열은 연기가 가득찬 영역내에서 재분배될 수 있는데, 열전달 및 연기의 유동 등에 관한 자료를 기초로 화재현상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실제 상황에 가까운 설계화재 시나리오를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최장대터널인 죽령터널에 대해 합리적인 가정을 통한 설계화재 시나리오를 기초로 화재시뮬레이션은 FDS(Fire Dynamics Simulato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화재 및 연기의 이동 양상을 분석하고, 피난시뮬레이션은 SIMULEX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피난시간을 예측 함으로써 터널화재의 CFD Modeling에 의한 피난안전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Fire Safety Design and Predicting Fire Behavior Using Compartment Fire Test (단일화재실험을 통한 화재성상예측 및 건축구조물의 화재안전 설계에 관한 연구)

  • Yoon, Ung-Gi;Seo, Dong-Goo;Kim, Dong-Eun;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107-108
    • /
    • 2013
  • In this study, combustibles investigation and fire growth rate experiment were performed for predicting initial fire behavior in buildings. Combustibles investigation was performed for residential buildings, which is most frequently affected by fire in Korea.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ombustibles properties were separately investigated, and occupied area and layout characteristics of combustibles were identified to produce general layout models. Of the layout models, room was selected for fire test of a single compartment. From this test, fire propagation for each combustible was identified, which was delayed compared to the summed heat release rate of a single combustible.

  • PDF

Development of U-Building Fire Safety Management System (U-건물 화재안전관리 시스템 개발)

  • Kim, Jong-Hoo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0 no.1
    • /
    • pp.74-80
    • /
    • 2016
  • Ubiquitous computer technology (U technology) is continually, and the trend is moving towards the miniaturization of devices, cost reduction, performance enhancement, and intelligence. It is important to improve fire safety system by the application of advanced IT technologies. In this study, a vulnerable point in fire safety was selected for improvement by U technology. The structure of the whole system and a unit system was were designed. This system is divided into 5 parts: the U-fire protection facility management system, the U-fire safety information system, the U-fire safety education system, the U-fire response system, and the U-wide area fire safety management system. The prototype system was constructed in a real building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he system.

A Study on Required Safe Egress Time (RSET) Comparison and Error Calculation in Relation to Fire Room Range Set Conditions of Performance Based Fire Safety Designers (성능위주설계자들의 화재실 범위 설정 방식에 따른 소요피난안전시간(RSET) 비교 및 오차산정에 관한 연구)

  • Baek, Sona;Choi, Jun-Ho;Hong, Won-Hwa;Jung, Jong-Ji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0 no.3
    • /
    • pp.73-78
    • /
    • 2016
  • The Installation, Maintence, and Safety Control of Fire-fighting Systems Act of South Korea regulates that over 30-storey high-rise buildings including underground spaces should vitally perform the Performance-based Design to minimize property damage and personal injury as a fire risk assessment in advance. Therefore a PBD designer such as a fire safety professional engineer evaluate occupant's life safety by a scientific methodology. In order to evaluate the life safety, fire safety designers calculate the Required Safety Egress Time (RSET) which does not have the legal criteria regarding the standard method of calculation yet. So this way has been showing different results depending upon the designer's choice, knowledges and experiences. In this study, RSET calculation methods by six designers respectively were analysed from the thirteen reports of real performance based design projects conducted in Busan for a last five years. In particular, the Response Time calculation methods which have the most powerful effect for figuring the RSET are compared with the other designer's to deduce an error value.

A Study on the Safety Standard of Architectural Glass and Curtain Wall (국내외 건축용 유리 및 커튼월의 안전 기준에 관한 연구)

  • Kim, Ji-Yeong;Kim, Nam-Hyuk;Kim, Dong-Eun;Seo, Dong-Goo;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163-167
    • /
    • 2010
  • 최근 건축물의 초고층화에 따른 커튼월 시공에 따라 유리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커튼월 구조는 바람, 지진 등에 취약하며, 화재 안전성에 있어서도 취약할 것이라 판단되므로, 국내외 건축용 유리 및 커튼월의 안전기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국내의 유리 기준은 단열 및 내풍압 성능에만 집중되어있으며, 화재 및 지진, 안전성능에 대한 기준이 미비하며, 커튼월에 대한 안전대책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외국의 사례와 같이 초고층에서 커튼월의 안전성능을 고려한 설계프로세스나 안전 기준의 세부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