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자확인 시스템

Search Result 122,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A Study on Reduction of the Processing time of Speaker Recognition using the PSOLA Method (PSOLA 방식을 이용한 화자인식 시스템의 처리시간 단축에 관한 연구)

  • 박현영;서지호;배명진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e
    • /
    • pp.2447-2450
    • /
    • 2003
  • 화자인식은 음성의 특성을 이용해서 화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은 등록된 화자집단 중 화자를 식별하는 화자식별(speaker Identification)과 지금 발성한 화자만을 비교하여 확인하는 화자확인(speaker verification)이 있다. 이러한 화자인식은 음성에 내재되어 있는 화자정보를 추출하여 개인을 확인하는 기술로 전화망을 통한 서비스가 확산되어 가고 있는 현대사회에 가장 효과적인 기술 중 하나이다. 또한 PDA를 이용한 증건거래 시스템 등 현대사회에서는 실시간으로 화자인식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이 실시간 화자인식을 위한 처리시간 단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처리시간 단축을 위하여 우선 피치주기 단위로 음성 파형을 분해한 다음 분해된 피치 단위에 윈도우 함수를 곱해서 단구간 신호의 열로 만들고 분해된 단위를 조절하는 PSOLA 합성방식을 이용하여 인식 시스템의 전처리단을 재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안한 인식시스템의 처리시간, 인식률을 기존의 화자인식 시스템과 비교하였다.

  • PDF

Text-dependent Speaker Verification System in SVAPI 1.0 Environment (SVAPI 1.0 환경에서의 어구 종속 화자 확인 시스템)

  • 김유진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8a
    • /
    • pp.401-405
    • /
    • 1998
  • SVAPI 1.0 환경에서의 어구 종속 화자 확인 시스템에 대해 기술한다. 구현된 시스템은 궁극적으로 공중 전화망 응용이 가능한 실용 시스템을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이를 위해 SVAPI 위원회에 의해 제안된 SVAPI 1.0을 개발 환경으로 사용하였다. SVAPI는 객체 지향 구조, 클라이언트-서버 및 telephony 환경의 지원등이 특징이며 어플리케이션과 엔진을 독립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구현된 데모 시스템은 펜티엄 프로세서와 Windows95/NT 4.0 운영체제 그리고 Win16/Win32 API를 통해 제어 가능하며 음성 입력이 가능한 디바이스를 장착한 IBM 호환 PC이다. 화자의 성문 등록은 화자가 동일한 어구를 3회 발성하여 이뤄지며 등록과 확인의 응답속도는 모두 1초 이내이다. 소프트웨어의 구성은 크게 어플리케이션과 어구 종속 화자 확인 엔진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엔진은 끝점 검출 알고리즘, 음성 특징 추출 알고리즘 그리고 연속 HMM 기반의 화자 성문 모델 등록 및 유사도 계산 등을 포함한 확인 알고리즘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자의 성문은이름과 같은 약 3음절 이상의 단어로 등록되고 테스트되었다. 엔진의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전화선을 통해 남자 6명, 여자 3명의 화자로부터 자신의 이름을 각각 40회 발성하여 구축된 음성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였으며 실험 결과 남자는 2.85%, 여자는 2.44%의 EER을 각각 얻었다.

  • PDF

A Study on Text Choice for Web-Based Speaker Verification System (웹 기반의 화자확인시스템을 위한 문장선정에 관한 연구)

  • 안기모;이재희;강철호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6
    • /
    • pp.34-40
    • /
    • 2000
  • In text-dependent speaker verification system, which text choice for speaker to utter is very important factor for performance improvement. In this paper, building a consonant mixture system using classification method of korean phonetic value is proposed. When it is applied to the web-based speaker verification system, it can cope with abrupt change of speaker's voice information and have the optimal performance in speaker verification system.

  • PDF

A Study on the Design of Web-based Speaker Verification System (웹 기반의 화자확인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 이재희;강철호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4
    • /
    • pp.23-30
    • /
    • 2000
  • In this paper, the web-based speaker verification system is designed. To decide the speaker recognition algorithm applied to the web-based speaker verification system, the recognition performance and special features of the text-dependent speaker recognition algorithms(DTW, DHMM, SCHMM) are compared through the computer simulation. Using the results of computer simulation, select DHMM as speaker recognition algorithm at web-based speaker verification system because DHMM has the proper recognition performance and initial training utterance number. And by the three-tier method using the ActiveX, DCOM techniques web-based speaker verification system is designed to be operated in the distributed processing environment.

  • PDF

Performance Improvement of Speaker Verification System By Speaker Information Weighting (개인성 정보의 가중화에 의한 화자확인의 성능향상)

  • 김세현;장길진;오영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539-541
    • /
    • 1999
  • 기존의 문장종속형 화자인식 기법에서는 음성 신호의 각 분석 프레임이 같은 기여도를 갖는 것으로 간주한다. 화자인식 시스템의 성능향상을 위해서는 음운정보보다는 인식의 단서가 되는 화자의 개인성 정보가 잘 반영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HMM (hidden Markov model)을 기반으로 한 문장종속형 화자확인 시스템의 성능향상을 위해 프레임별로 인식의 단서가 되는 개인성 정보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과, 이를 화자확인 시스템에 적용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을 적용한 결과, 기존의 우도비(likelihood ratio) 정규화 점수를 사용하는 방법에 비해 동일오류율(EER; equal error rate)을 평균 34% 감소시켜 인식율 향상을 얻을 수 있다.

  • PDF

A Study on Modified Clustering Algorithm for Text-Dependent Speaker Verification System (문장종속 화자확인 시스템을 위한 개선된 군집화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강철호;정희석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7
    • /
    • pp.548-553
    • /
    • 2004
  • In this paper we propose modified LBG algorithm to minimize quantization errors. When we apply conventional LBG algorithm for speaker verification system, problems that result from small amount of training data can be generated. That is, quantization error comes from fixed-sized codebook without any consideration for speaker characteristics and splitting vector in the wrong direction worsen performance of speaker verification system. So, we propose modified clustering method that has variable sized codebook according to speaker characteristics and makes right splitting direction by finding the farthest member away from mean and then find another member from the member. Simulation results show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Speaker Verification System Based on HMM Robust to Noise Environments (잡음환경에 강인한 HMM기반 화자 확인 시스템에 관한 연구)

  • 위진우;강철호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0 no.7
    • /
    • pp.69-75
    • /
    • 2001
  • Intra-speaker variation, noise environments, and mismatch between training and test conditions are the major reasons for the speaker verification system unable to use it practically. In this study, we propose robust end-point detection algorithm, noise cancelling with the microphone property compensation technique, and inter-speaker discriminate technique by weighting cepstrum for robust speaker verification system.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speaker verification rate is improved in the rate of 17.65% with proposed end-point detection algorithm using LPC residue and is improved in the rate of 36.93% with proposed noise cancelling and microphone property compensation algorithm. The proposed weighting function for discriminating inter-speaker variations also improves the average speaker verification rate in the rate of 6.515%.

  • PDF

A Study on Channel Compensation Algorithm for Robust Speaker Recognition (화자인식 성능 향상을 위한 채널 보상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Kim Jung Ho;Jung Hui Seok;Kang Chul Ho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131-134
    • /
    • 2002
  • 화자 확인시스템에서 화자 변이, 잡음환경, 그리고 학습환경과 인식환경의 불일치등이 화자확인에 어려움을 가져다 준다. 본 논문에서는 유무선 전화망에서 화자 확인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채널 보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화자 확인시스템에서 유무선 전화망의 채널 왜곡을 보상하기 위한 방법으로 RBF(Radial Basis Function) 신경망을 이용하여 특징 벡터를 사상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며 유선과 무선의 채널 왜곡을 감소시킨다. 동일한 화자의 유무선의 벡터 영역이 서로 다르므로 등록단계에서 RBF 신경망을 사용하여 화자의 특징 벡터를 유선과 무선의 비슷한 벡터 영역으로 사상하고, 인식단계에서는 유무선의 우도비를 비교하여 결정규칙에 의해 판별한다. 켑스트럼 평균 차감법(CMS) 보다 제안한 채널 보상 알고리즘이 인식율이 향상을 실험에 의해 확인하였다.

  • PDF

Research of Hybrid GMM/SVM Approach for Speaker Verification (화자 확인을 위한 하이브리드 GMM/SVM 방식에 대한 연구)

  • Yoon, You-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139-140
    • /
    • 2008
  • 문장 독립 화자 확인에서 SVM을 위한 적응된 GMM을 바탕으로 특징을 추출함으로써 GMM과 SVM 사이의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안한다. 우수한 측정성으로 인해, 적응된 GMM은 SVM 화자 확인을 위한 대규모의 음성 데이터로부터 적은 양의, 전형적인 특징 벡터를 추출해오곤 했다. 이 새로운 접근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제안된 화자 확인 시스템은 기존의 GMM-UBM 시스템보다 훨씬 나은 성능을 보였다.

A Study on Speaker Adaptation in Continuous Digits Speech Recognition (연속숫자 음성인식에서 화자 적응에 관한 연구)

  • 최광표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319.2-32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반음절 단위 HMM을 이용한 연속 숫자 음성인식 시스템의 2단계로 이루어지는 화자 적응 알고리즘을 수행하였다. 음성인식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훈련데이터의 양이 많더라도 발성속도, 발성크기 등의 화자 발성 습관에 따라 화자독립 음성인식 시스템에서는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불특정 화자를 대상으로 한 음성 인식에 있어서 개인차에 의한 변동을 대처하는 방법으로 유효한 음향적 특성을 추출하기 위해 스펙트럼의 동적인(Dynamic) 특성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화자 적을 기법의 하나인 frequency warped spectral matching 방법을 연속숫자 음성 인식시스템에 적용하였으며, 이때 인식에 의한 적절한 화자별 스케일링 계수 선정 방법을 수행하여 오인식률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