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분

Search Result 82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인삼의 화분벽 발달에 관한 미세구조적 연구 (Fine Structural Study of Pollen Wall Development at Late Stage of Microsporogenesis in Panax ginseng)

  • 정병갑
    • Applied Microscopy
    • /
    • 제35권4호
    • /
    • pp.74-83
    • /
    • 2005
  • 인삼의 소포자 발달에 따라 화분벽의 형성과정을 밝히고자 소포자 4분자 시기부터 화분이 성숙되기까지의 전 과정을 투과 및 주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화분벽의 발달은 감수분열이 끝나고 소포자 4분자가 callose에 둘러싸여 있을 때 시작된다. 화분벽 발달 초기에는 원형질막이 두터워지고 구불구불해지며 원형질막 바깥쪽에 섬유성 구조물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이 섬유성 구조물은 점점 뚜렷하게 나타나고 premexine으로 발달한다. 원형질막의 함입으로 형성된 돌출부와 premexine이 연결되어 단간이 발달하고 성숙화분에서는 endexine에 일시적으로 흰색의 선이 관찰되었다. 표벽발달이 완료되면 hypertrophic Golgi에서 형성되는골지소낭에 의하여 내벽이 발달하고 발아구 부위에서는 내벽이 비후되어 나타났다. 성숙한 인삼화분은 3구형 화분으로서 약 $20{\mu}m$ 크기이며 표벽무늬는 세망상형을 나타내었다.

개승마속(Aruncus L., 장미과)의 화분형태학적 연구 (Pollen morphology of the genus Aruncus L. (Rosaceae))

  • 옥민경;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23-331
    • /
    • 2015
  • 개승마속 내 7분류군이 갖는 화분형태학적 형질변이의 분류학적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자세히 관찰하였다. 본 속의 화분은 단립으로 크기는 소립($P=8.33-12.57{\mu}m$, $E=8.93-14.40{\mu}m$)이며, 극축면에서는 아원형에서 원형의 형태를, 적도면에서는 아단구형에서 약장구형에 걸친 형태를 나타내고(P/E = 0.68-1.70), 과립상 돌기를 지닌 3공구형의 발아구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화분의 표면무늬는 기본적으로 유선상의 특징을 지니고 있으나, 천공의 유무, 유선과 유선 사이의 너비 등에서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특히, A. dioicus var. acuminatus는 속내의 다른 분류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짧고 높게 솟아있는 유선을 갖는 특징으로 구분됨을 확인하였다. 화분학적 형질을 종합한 결과, 개승마속의 다양한 화분학적 변이의 조합은 속 내 일부 분류군을 구별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 백운풀속(꼭두서니과)의 화분학적 연구 (A Palynological Study of the Korean Oldenlandia L. (Rubiaceae))

  • 남보미;정규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08-112
    • /
    • 2011
  • 한국산 백운풀속 5분류군의 화분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본 속의 화분은 모두 단립이며, 극축의 길이는 $20.7-36.0 {\mu}m$, 적도면의 너비는 $21.0-38.4{\mu}m$으로 세립 또는 중립이다. 화분의 형태는 P/E가 0.93-1.00로서 약단구형 내지 구형이다. 발아구의 수는 3-7개, 발아구의 형태는 공구형이며, 구구의 길이는 $14.2-20.4{\mu}m$, 너비는 $2.6-3.4{\mu}m$이다. 외표벽의 두께는 $0.9-2.4{\mu}m$이며, 표면무늬는 모두 망상으로 미립돌기가 있거나 없었다. 본 속의 화분형질 중 화분의 크기, 발아구의 수, 표면무늬에 미립돌기의 유무는 속내 종간 식별형질로서 매우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화분형질에 의해 설정된 Neanotis속은 형질의 연속적인 변이에 의해 속의 실체에 대하여 재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화분의 영양생화학적 연구 -진달래 화분(Rhododendron mucronulatum)이 간 Aniline Hydroxyl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Nutritional Biochemical Study on the Pollen Load. -Effect of Azalea(Rhododendron mucronulatum)Pollen on the Hepatic Microsmal Aniline Hydroxylase Activity-)

  • 권정숙;조수열;박종민;허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3-100
    • /
    • 1989
  • 진달래 화분 각 추출물이 약물 대사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 일환으로 각 추출물을 투여한 다음, 간 microsomal aniline hydroxylase 활성 변동을 관찰하는 한편, aniline의 대사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검토한 결과 Mouse 에 진달래 화분 각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본 실험에 사용된 투여용량 범위에서 혈성 ALT 및 AST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별다른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시험관내 실험에서, 진달래 화분 각 추출물이 간 microsmal aniline hydroxylase 활성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진달래 화분 물 추출물을 실험동물에 투여하였을 때, 기간과 용량에 비례하여 간 microsomal aniline hydroxylase 활성이 증가되었다. 진달래 화분 각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에서, n-butanol 추출물과 물 추출물 투여군에서 유의성있는 효소 활성 증가가 관찰되었다. 진달래 화분 n-butanol 추출물과 물 추출물 전처치에 의해서 혈액과 간조직내 aniline 농도가 현저히 감소되었다.

  • PDF

화분의 영양생화학적 연구 -Aniline이 유도한 간 독성에 미치는 진달래 화분의 영향- (Nutritional Biochemical Study on the Pollen Load -Effect of Azalea Pollen on the Aniline-induced Hepatotoxicity-)

  • 권정숙;조수열;정형재;박종민;허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39-246
    • /
    • 1989
  • 진달래 화분의 해독 작용을 연구할 목적으로 aniline을 model 약물로 하여 간 조직에 대한 병태 생리학적 동태를 대사 효소의 활성과 관련지어 검토하였다. 진달래 화분 각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간 aniline hydroxylase의 활성이 증가되었으며, 진달래 화분 물 추출물 투여에 의한 간 aniline hydroxylase 활성 증가를 동력학적인 측면에서 관찰하였을 때 Km치는 변하지 않았으나 Vmax가 증가하는 점으로 보아 본 효소의 단백 합성이 촉진될 결과라고 사료된다. 또한 aniline만 투여한 군에 비해 진달래 화분 각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이 aniline의 혈중 농도와 간 손상을 현저히 감소시켰고, 이러한 작용한 물 추출물에서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이로써 진달래 화분 투여에 의한 aniline의 간독성 예방 효과는 진달래 화분 추출물에 의한 간 aniline hydroxylase의 활성증가와 관련되어 나타난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 PDF

홈 네트워크 기반의 효율적인 화분관리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Efficient Potted Plants Management System based on Home Network)

  • 권순량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904-1910
    • /
    • 2011
  • 대부분의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인테리어 또는 관상용으로 화분에 화초를 심어 기르고 있으나 바쁜 일상생활 및 전문지식 부족으로 인해 화분 관리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화분관리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자동제어, 수동제어, 그리고 이동단말기와 PC를 통한 원격제어 및 모니터링 기능을 통해 효율적으로 화분을 관리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기반의 화분관리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화분관리시스템의 구조, 정보 흐름, 동작 제어 흐름을 설계하고 설계된 내용에 기초하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10가지 항목에 대한 기능 시험을 통해 구현된 시스템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관상용 화초관리 시스템 및 가전기기중심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비해 효율적으로 화분을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pidermal growth factor 발현을 위한 화분립의 이용 (Utilization of pollen grains for the express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 최병진;박희성
    • KSBB Journal
    • /
    • 제23권5호
    • /
    • pp.460-462
    • /
    • 2008
  • 개화시기의 수술로부터 수집한 백합화분을 aluminum oxide 미세입자와 섞어 교반에 의해 상해를 발생시켰다. 이어서 이들 화분은 signal peptide-fused epidermal growth factor (EGF) DNA를 지니는 Agrobacterium 세포로 vacuum infiltration을 시켰으며 24 hr 화분신장을 통한 배양을 실시하였다. 이들 신장 화분에서의 EGF mRNA 및 단백질 발현은 성공적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cDNA blot hybridization 및 immuno-blotting의 분석결과이다.

한반도에 자생하는 야상종 상호간 및 야상 화분을 재배 3품종에 인공교배를 한때의 임성 (Interspecific crossabilities among wild mulberry species and cultivars growing in the Korean Peninsula)

  • 박광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88-92
    • /
    • 2001
  • 한반도에 자생하는 뽕나무 3종 즉 돌뽕나무, 몽고뽕나무, 산통나무를 상호 인공교배 하였을 때, 그리고 한반도의 자생 뽕나무 3종을 화분친으로 하여 재배 3종의 대표적인 3품종에 인공수분 하였을 때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돌뽕나무의 화분은 산뽕나무와는 수정이 가능하고 몽고뽕나무와는 불가능하였으며, 청일뽕, 검설뽕과는 수정이 용이하였고 대륙뽕과는 약간 곤란하였다. 2. 몽고뽕나무의 화분은 산뽕나무, 돌뽕나무와는 수정이 가능하고 청일뽕, 검설뽕과는 수정이 용이하지만 대륙뽕과는 불가능하였다. 3. 산뽕나무의 화분은 돌뽕나무, 몽고뽕나무와는 수정이 불가능하고 검설뽕과는 매우 용이하고 청일뽕과는 보통으로 용이하였으며, 대륙뽕과도 수정이 가능하였다.

  • PDF

한국(韓國)에서 생육(生育)하는 땅비싸리속(屬)(콩과(科))의 화분형태(花粉形態) (A Contribution to the Pollen Morphology of Indigofera(Fabaceae) in Korea)

  • 성은숙;김계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2호
    • /
    • pp.213-220
    • /
    • 1999
  • 본 연구는 한국에서 생육하는 땅비싸리속 6분류군의 화분형태를 광학현미경과 주사형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본 속의 화분립은 단립이며, 적도면 입상은 약장구형 혹은 아장구형이고, 발아구는 삼공구형이고, 표면무늬는 DMIP상이거나 VPPS상이었다. 본 속은 mesocolpium, apocolpium 그리고 구구 주변의 표면무늬에 따라 Decora, Kirilowii, Koreana 화분형으로 구분되었다. 염색체 수와 mesocolpium 표면무늬에 연관성이 있고, Decora와 Krilowii 화분형은 Koreana 화분형에서 분지된 듯 보인다.

  • PDF

한국에 생육하는 소나무아속의 화분형태학적 특성에 의한 종간 유사성 (Interspecific Similarity of the Subgenus Diploxylon in Korea Based on Pollen Morphological Characters)

  • 최태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89-201
    • /
    • 2004
  • 한국에 생육하고 있는 소나무아속 8종의 화분을 광학현미경 관찰로 화분립의 8가지 parameters를 측정하고 이를 수량화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소나무아속 화분 형태학적 parameters간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1% 수준에서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2. 화분 형태의 parameters를 토대로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소나무아속 분류율은 평균 분류율은 49.9%로 나타났으며, 최고치는 방크스소나무로 62.8%, 최소치는 구주소나무로 30.6% 이었다. 3. 소나무아속 화분형태학적 parameters에 유사도를 조사한 결과 소나무와 구주소나무가 가장 유사하였고, 리기다소나무와 방크스소나무의 유사도가 가장 먼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