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생육하는 소나무아속의 화분형태학적 특성에 의한 종간 유사성

Interspecific Similarity of the Subgenus Diploxylon in Korea Based on Pollen Morphological Characters

  • 최태기 (전북대학교 농과대학 산림과학부)
  • 발행 : 2004.06.01

초록

한국에 생육하고 있는 소나무아속 8종의 화분을 광학현미경 관찰로 화분립의 8가지 parameters를 측정하고 이를 수량화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소나무아속 화분 형태학적 parameters간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1% 수준에서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2. 화분 형태의 parameters를 토대로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소나무아속 분류율은 평균 분류율은 49.9%로 나타났으며, 최고치는 방크스소나무로 62.8%, 최소치는 구주소나무로 30.6% 이었다. 3. 소나무아속 화분형태학적 parameters에 유사도를 조사한 결과 소나무와 구주소나무가 가장 유사하였고, 리기다소나무와 방크스소나무의 유사도가 가장 먼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has measured eight pollen morphological parameters of Diploxylon species in Korea by light microscopy (L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Diploxylon species in Korea showed significant (P<0.01) interspecific difference in their pollen morphological parameters. 2. The discriminant analysis based on the pollen morphological parameters demonstrated that the classification ratio of Diploxylon was 49.9%. The maximum was at Pinus banksiana (72.8%) and the minimum was at P. sylvestris (62.2%). 3. The relationship among the Diploxylon species based on their pollen morphological parameters showed that P. densiflora and P. sylvestris were had the closest relationship while P. rigida and banksiana had the least relationship.

키워드

참고문헌

  1. American Journal of Botany v.46 no.9 Mineral nutrition and flower to flower pollen size variation Bell,C.R. https://doi.org/10.2307/2439665
  2. American Journal of Botany v.27 The identification of species in fossil pollen of Pinus by size -Frequency determination- Cain,S.A. https://doi.org/10.2307/2436700
  3. Pollen et Spores v.4 Size variation: pollen of three taxa of Betula (Ⅰ) Clausen,K.E.
  4. Forestgenetik Forestpflanzenzuchtung v.1 Relationships and species hybridization in the Genus Pinus Ztschr Duffield,J.W.
  5. An Introduction to pollen analysis Erdtman,G.
  6. Munksgard. Copenhagen. Textbook of pollen analysis Faegri,K.;J.Iversen
  7. Textbook of dendrology Harlow,W.M.;E.S.Harrar
  8. Pollen grains of Japan Ikuse,M.
  9. Pollen: Illustrations and scanning electronicgraphs Iwanami,Y.;T.Sasakuma;Y.Yamada
  10. Manual of cultivated conifers Krusmann,G.
  11. Bull. Torrey Bot. Club v.85 Effects of temperature on pollen characters Kurtz,E.B.;J.Liverman https://doi.org/10.2307/2483028
  12. Taxonomy of vascular plants Lawrence,G.H.M.
  13. Can. Jour. Bot. v.56 Pollen dimorphism in silene alba (Caryophilaceae) McNeil,J.;C.W.Crompton https://doi.org/10.1139/b78-143
  14. The Genus Pinus Mirov,N.T.
  15. An illustrated guide to pollen analysis Moore,P.D.;J.A.Webb
  16. Amer. Jour. Bot. v.65 no.10 Features of pollen flow in dimorphic species of Lythum Section Euhyssopifolia Ornduff,R. https://doi.org/10.2307/2442324
  17. Die naturichen pflanfamilien(2nd. edt.) v.13 Pinaceae Pilger,E.;Engler,A.(ed.);K.Plantl(ed.)
  18. Manual of cultivated trees and shrubs Rehder,A.
  19. The genus Pinus no.5 Shaw,G.R.
  20. Journal of Japanese Forestry Society v.52 no.6 Differences of fertility by combining crosses in Japanese pines Shibata,M.
  21. Study of palynology Ueno,J.
  22. Palynological conference Pollen et phylogenie chez les coniferes pollen morphology and plant taxonomy Van Campo-Duplan,M.
  23. C. R. Acad. Sc. Paris v.272 Precisions nouvelles surles structures comparees de pollen des gymnosperms et d' angiosperms Van Campo-Duplan,M.
  24. 전북대학교 농대 논문집 v.26 화분형태와 동위효소에 의한 소나무속 동정 김계환;F.A.Aravanopoullos;L.Zsuffa
  25. 한국임학회지 v.78 no.1 한±뭘Ⅰ 버드나무속 화분의 형태적 연구 김계환;고대식;L.Zsuffa
  26. 전북대학교 농대 논문집 v.12 한국 주요 구과목 화분의 형태학적 연구 김계환;고대식
  27. 한국임학회지 v.40 한국의 주요 나자식물 화분의 형태학적 연구 김계환;이상태
  28. 소나무와 우리 문화 한국산 소나무 주요 수종의 유전변이 김진수;이석우
  29. 한국임학회지 v.76 no.4 동위효소에 의한 테다소나무 클론의 식별 류장발;나천수
  30. 식물분류학회지 v.37 no.2 한국산 나자식물 화분의 비교 형태 소주엽;태경환;고성철;소웅영
  31. 한국임학회지 v.79 no.2 곰솔과 소나무의 자연 잡종으로 추정되는 잡종 소나무의 특성 손두식;권용칠;박상준
  32.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한국산 소나무속의 화분학적 연구 신창남
  33. 한국임학회지 v.16 1대 잡종송의 교배 친화력과 특성에 관한 연구 안건용
  34. 서울대학교 농학연구지 v.2 no.1 테다 · 리기다송 및 테다 흑송 교잡종의 특성에 관한 연구 안건용
  35. 서울대학교 농학연구지 v.13 no.1 제주도 천연 적송림분의 잡종성 안건용
  36. 소나무와 우리 문화 전통 조경수로서의 소나무의 이용과 배식 윤영활
  37. 진주농대연구논문집 v.6 소나무류 침엽 수지구수에 관한 고찰 이강녕
  38. 식물분류학회지 v.10 no.1;2 물로리나무와 사방오리나무화분의 형태적 변이 이상태;박은자
  39. 식물분류학회지 v.8 no.1;2 화분형태의 계통학적 의의 이상태
  40. 전북대학교 생물학 연구보고 v.4 한국산 나자식물에 대한 계통분류학적 연구 - 소나무속의 화분학 - 이상태
  41. 식물분류학회지 v.9 no.1;2 한국식물의 화분에 관한 연구 이연희
  42. 소나무와 우리 문화 소나무의 번지수(The Systematic Position of Pinus densiflora) 이유철
  43. 신고 수목학 이창복
  44. 소나무와 우리 문화 소나무 고(考) 임경빈
  45. 한국동식물도감(화분류) v.29 식물편 장남기
  46. 소나무와 우리 문화 우라나라 소나무 선발육종의 과거와 현재 한영창
  47. 원색수목도감 홍성천;변수현;김삼식
  48. 日本林學會誌 v.50 no.4 クロマシと アカマシの 雜種の 葉の 樹脂導の 立置 安建鏞;勝田柾
  49. 大阪市立自然科學 薄物館 收藏資料目錄 v.第 5集 日本 植物の 花粉 形態 島倉己三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