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물통행수요분석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Truck Movement for the Truck based Urban Freight Demand Model (화물자동차기반 대도시 화물수요모형 구축을 위한 화물자동차 통행특성 분석)

  • Hahn, Jin-Seok;Park, Min-Choul;Sung, Hong-Mo;Kim, Hyung-Bu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0 no.3
    • /
    • pp.107-118
    • /
    • 2012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travel characteristics of freight trucks in metropolitan areas, focusing on activity generation, destination choice, and trip chaining behavio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service companies at departure areas has a primary influence on the activity generation pattern and destination choice behavior of trucks in metropolitan areas. The number of trips within a trip chain is largest, in case where the prevailing industry in destination areas is wholesale or retail and the shipment item is food or beverage. These results imply that for the reasonable estimation of truck travel demand both the trip chaining behaviors and the industrial compositions in departure and destination areas should be separately considered for each type of commodity.

Analysis of Trip Length Distribution between Commodity-Based Model and Truck Trip-Based Model in Seoul Metropolitan Area (화물기반모형과 트럭통행기반모형의 통행거리분포 분석에 관한 연구)

  • 권혁구;김건영;임홍상;강경우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2
    • /
    • pp.125-134
    • /
    • 2002
  • 도시화물수요예측모형에는 화물기반모형과 트럭통행기반모형이 있는데 화물기반모형은 화물체계가 기본적으로 화물운송과 관계가 있다는 개념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차량이 아닌 화물의 움직임을 주요 분석대상으로 삼고 있다. 반면에, 트럭통행기반모형은 집합화된 독립변수를 이용하여 각 죤(Zone)에 유·출입하는 트럭의 통행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트럭통행기반모형의 O-D 추정시 화물통행과 트럭통행 사이의 관계식을 산출하고 이를 설명할 수 있는 통행거리분포함수(Trip Length Distribution : TLD)를 추정함에 있다. 본 연구의 자료는 교통개발연구원에서 수행한 '서울시 물류조사 및 물류종합계획수립구상(1998)'의 화물 물동량 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통행거리분포에 따르는 화물 및 차량의 비율을 함수로서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트럭통행기반모형에서 트럭통행거리분포를 이용하여 화물기반모형에서 도출할 수 있는 화물의 통행거리분포를 추정할 수 있었으며, 또한 각각의 통행거리분포는 감마분포를 이용하여 함수식으로 도출하고 상기한 두 가지 분포모형을 하나의 관계식을 통해 재산정할 수 있는 이론적인 틀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트럭통행거리분포, 화물통행거리분포 모두 통계적인 검증을 통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전체화물의 통행거리분포와 매개함수를 통해 재산정된 모형의 결과 값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품목별 적용에서는 잡공업품과 화학공업품은 본 연구의 매개함수식을 통해 화물거리분포 모형이 적합하였으나 금속공업 품과 경공업품은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Freight Demand Analysis for Multimodal Shipments (복합수단운송을 고려한 화물통행수요분석 방안)

  • Hong, Da-Hee;Park, Min-Choul;Lee, Jung-Yub;Hahn, Jin-Seok;Kang, Jae-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0 no.4
    • /
    • pp.85-94
    • /
    • 2012
  • Modern freight transport pursues not only the reduction of logistic costs but also aims at green logistics and efficient shipments.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goals, various policies regarding the multimodal shipment and stopover to logistic facilities have widely been made. Such situation requires changes in existing methods for analyzing freight demand. However, the reality is that a reliable freight demand forecast is limited, since in the transport research field there is no robust freight demand model that can accommodate transshipments at logistic facilities. This study suggested a novel method to analyze freight demand, which can consider transshipments in multi-modal networks. Also, the applicability of this method was discussed through an example test.

A Study on the Factors Concerning Empty Truck Movements (화물자동차 공차통행 발생요인 분석)

  • Hahn, Jin-Seok;Park, Minchou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0 no.6
    • /
    • pp.47-5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upplement to current freight demand model by analyzing factors that influence the generation of empty truck movements in regional and urban realms. To achieve this, we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empty truck trips and various generators such as truck attributes, origin type and attributes, destination type and attributes, and commodity type. We structured the ordered logit model using 2011 Korea Transport Database (KTDB) data to analyze the generator characteristic of empty truck movements in regional and urban setting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and urban empty truck movements differed depending on truck attributes, origin type and attributes, destination type and attributes, and commodity type.

The Comparison Between Regional and Urban Truck Movement Characteristics (지역간과 대도시 화물자동차 통행발생 특성 비교)

  • Hahn, Jin-Seok;Park, Minchou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4
    • /
    • pp.1559-1569
    • /
    • 2013
  • this study is to deduct the difference between regional and urban commercial trip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and urban truck movements. To achieve thi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truck trips and various truck generation attributes such as truck attributes, origin and destination attributes, and commodity type using ordered logit models, which are separately estimated for regional and urban truck movements using truck diary data of Korea Transport Database (KTDB). According to the estimation results, regional and urban truck movement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ruck attributes, origin and destination attributes and commodity type. Especially, the number of regional trucks trips increased as origin and destination are manufactural area and as the total value of products of industrial area in origin and destination increas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ath-Based Trip Assignment Model under Toll Imposition (통행료체계에서의 경로기반 통행배정모형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 권용석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2000.02a
    • /
    • pp.3-22
    • /
    • 2000
  • 이용자의 경로선택 형태를 모사하는 통행배정모형 결과의 정확도는 교통계획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이용자의 경로선택 결정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판단기준은 통행시간과 통행요금이다. 그런데 통행요금은 이용자의 경로거리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부과되므로, 링크를 분석단위로 하는 기존의 통행배정모형은 현실적인 통행요금 반영이 힘들었고 또한 수요예측 결과를 이용한 다양한 분석에서 제약을 받아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경로교통량을 도출할 수 있는 경로기반 통행배정모형을 구축하였고, 또한 경로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현실적인 통행요금을 반영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경로기반 배정모형에서는 GP(Gradient Projection) 알고리즘을 이용하였고, 계산상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K-최단경로 알고리즘 중 MPS(Minimal Path Search)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개발된 배정 모형은 현실적인 통행요금을 반영할 수 있으므로 통행배정 결과의 정밀도를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기존 배정모형에 비해 최적해로의 수렴속도도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배정모형은 경로교통량이 도출되고 통행요금을 반영할 수 있으므로, 통행요금과 통행 거리 관계에 따른 목적함수의 규명과 그에 따른 효과척도를 계량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모형은 통행배정에서 실재상황을 보다 현실여건에 맞도록 규명할 수 있고, 기존의 제한적인 효과분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그 활용범위가 넓다. 또한 본 논문은 개발된 배정모형의 적용사례로서 고속도로 수요관리 요금체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고속도로 통행요금 산정 방법은 이론적 근거가 미약했던 반면, 본 논문에서 개발된 배정모형과 고속도로 수요관리 요금체계 개선방안은 고속도로 통행료 결정에 대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분석방법을 제공하였다.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안1의 경우 교통량의 변화 및 화물통행의 시간가치의 증가시 사회적 편익이 오히려 감소하였고, 대안2와 3의 경우 사회적 편익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경부고속도로의 화물차량의 구성비에 따라 대안 1의 경우 오히려 화물차의 통행시간이 증가함에 그 원인이 있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하여 경부고속도로상의 화물전용차선의 설치시는 수답렬 교통량의 구성비와 구간 평균교통량에 의하여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물류비용 절감차원에서의 화물전용차선의 설치는 본 연구에서 나타낸 방법과 같이 수단간의 경제적 편익을 고려한 구간별 시간대별 효과분석을 통하여 정책의 시행여부가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화물전용차선의 설치로 인한 물류비용의 절감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종합류류 전산망의 시급한 구축과 함께 화물차의 적재율을 높이고 공차율을 낮출 수 있는 운송체계의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라나 이러한 화물전용차선의 효과는 단기적인 치유책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물류유통 시설의 확충을 위한 사회간접자본의 구축을 서둘러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으로 처리한 Machine oil, Phenthoate EC 및 Trichlorfon WP는 비교적 약효가 낮았다.>$^{\circ}$E/$\leq$30$^{\circ}$NW 단열군이 연구지역 내에서 지하수 유동성이 가장 높은 단열군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실은 3개 시추공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추공 내 물리검층과 정압주입시험에서도 확인된다.. It was resulted from increase of weight of single cocoon. "Manta"2.5ppm produced 22.2kg of co

  • PDF

An Analysis of Trip Chain of Freight Travel using Sequence Alignment Methods (Sequence Alignment 기법을 활용한 화물 통행의 Trip Chain 분석)

  • Joh, Chang-Hyeo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4 no.4
    • /
    • pp.540-552
    • /
    • 2011
  • Freight travel pattern has been less studied comparing with the field of passenger travel. Nonetheless, the importance of the freight travel has been increasing in urban travel sector, and the research needs on the freight travel demand hence is increasing. The current paper aims to identify, by tons of freight trucks and cargos, the characteristics of mean travel pattern, efficiency or performa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freight trip chain regarding destination location, destination type and freight type. The study analyzed the nation-wide data of freight travel behavior survey. This study intended to set the starting framework of decision-making principle in freight travel, which has already been popular in passenger travel study. Findings suggest that those characteristics are clearly distinguished among trucks and cargos of different sizes of tons. Th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important insight to the development of relevant transportation policy measures.

  • PDF

An Empirical Study on Comparative Analysis of Freight Demand Estimation Methods - Unimodal O/D Based Method and P/C Based Method : Focus on Korean Import/Export Container Freight (수단O/D기반 및 P/C기반 화물수요추정방식의 실증적 비교: 우리나라 컨테이너 화물을 중심으로)

  • Kim, Hyunseung;Park, Dongjoo;Kim, Chansung;Choi, Chang Ho;Cho, Hans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1 no.2
    • /
    • pp.45-59
    • /
    • 2013
  • This study deals with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wo freight demand estimation methods : Unimodal O/D based method and P/C based method. The data of access/egress truck trips has been omitted from the Korean freight unimodal O/D of KTDB. This is because KTDB's unimodal O/D has not marked the series of unlinked trips down as the whole freight intermodal transport and surveyed only the main-haul trips of them. For these reasons, freight intermodal transport mechanism has not been analysed perfectly with Korean unimodal O/D data. This study tries to estimate P/C table of Korean Import/Export container freight and develop the MCC(Multimodal Channel Choice) model. Then, comparing unimodal O/D based method and P/C based method in terms of the switch commodities between production point(the initial point of freight transport) and consumption point(the terminal point of freight transport), unimodal commodities, and commodities on links is conduc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P/C based method is able to simulate the freight intermodal transport.

A Transit Trip Assignment Model Under Capacity Restraint (용량을 고려한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 윤혁렬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2001.02a
    • /
    • pp.3-29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이 고려하지 않거나 미흡하게 반영하였던 차량과 노선의 용량제약을 고려한 모형의 구축을 시도하였다. 일반적으로 대중교통 통행배정에서 수요와 공급의 관계는 수요가 증가하는 것과 무관하다고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용량 초과는 통행자들의 경로선택 및 수단선택에 영향을 끼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용량초과에 의한 혼잡을 반영하기 위해 용량제약식을 포함한 모형을 개발하고 실용운행회수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또한 기존에 제시된 용량제약을 고려한 모형들이 실제적인 현상을 정확히 모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뿐 만 아니라 현실과 다소 거리가 있는 가정이 내재되어 있는 반면 본 연구에서는 가능한 한 최대로 현실 여건을 반영하는 모형을 정립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은 동일한 기종점 사이를 운행하는 경쟁노선이 많은 대도시에서 통근·통학을 위한 통행자들이 많은 오전, 오후 첨두시 대중교통 수요를 분석하여 대중교통의 운행관리체계 개선 및 투자계획, 서비스 개선을 위한 수요예측을 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기존의 대중교통 통행배정의 결과가 현재나 장래의 잠재적인 수요(demand)를 예측하는 방법인데 반하여 본 연구에서 정립된 모형은 주어진 네트워크에서 실제로 통행하고 있는 수요(flow)를 예측함으로써 교통 계획가나 대중교통 운영자의 계획 및 운영정책수립에 합리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현재의 대중교통 시스템 하에서의 통행배정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용량과 운행특성을 가진 교통 수단이나 노선이 도입되었을 때 공급이 제한적인 경우의 수요 예측에 적합한 모형을 개발하였다.에 대한 규제가 초국가적 차원으로 발전되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향후, 담배규제협약안의 세부사안들에 대한 합의과정에서 각 국별로 상당한 이견과 반발이 예상되고 있지만, 협약안의 전체 회원국 투표에서 승인될 경우 각 국가들뿐만 아니라 담배산업과 담배기업들에게 미치는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대부분의 국제협약들이 그러하듯이, 담배규제협약도 그 적용 범위와 수준이 어느 정도로 결정되는지에 따라 각 국가와 기업별 이해관계가 크게 달라지게 되기 때문에 신중한 대응전략이 요구된다고 하겠다.의 화물전용차선의 설치시는 수답렬 교통량의 구성비와 구간 평균교통량에 의하여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물류비용 절감차원에서의 화물전용차선의 설치는 본 연구에서 나타낸 방법과 같이 수단간의 경제적 편익을 고려한 구간별 시간대별 효과분석을 통하여 정책의 시행여부가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화물전용차선의 설치로 인한 물류비용의 절감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종합류류 전산망의 시급한 구축과 함께 화물차의 적재율을 높이고 공차율을 낮출 수 있는 운송체계의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라나 이러한 화물전용차선의 효과는 단기적인 치유책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물류유통 시설의 확충을 위한 사회간접자본의 구축을 서둘러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으로 처리한 Machine oil, Phenthoate EC 및 Trichlorfon WP는 비교적 약효가 낮았다.>$^{\circ}$E/$\leq$30$^{\circ}$NW 단열군이 연구지역 내에서 지하수 유동성이 가장 높은 단열군

  • PDF

Supply Chain-based Freight Distribution Channel Choice Model using Distribution Channel Analysis (유통경로분석을 통한 공급사슬기반의 화물유통경로선택모형 개발)

  • Go, Yeong-Seung;Park, Dong-Ju;Kim, Chan-Seong;Kim, Hyeon-Su;Park, Min-Cheo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8 no.6
    • /
    • pp.133-146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upply chain-based freight distribution channel choice model considering shippers' logistics behaviors which will be used for freight demand estim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tilized the distribution channel data of the petrochemical and automobile industries collected by KTDB center. The distribution channel choice models for these industries were developed by including transport mode, time, cost, and shipment size. It was found that the multinomial logit model with transport cost, time and shipment size is the best, and as shipment increases, bigger transport mode is preferred. Generally direct distribution channel with small truck was preferred over the one using distribution center and/or big tr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