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물물동량

Search Result 20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Railway freight transportation Through forecasting of container volumes on Busan New & North port (신항과 북항의 철도물동량 예측에 따른 철도운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Cho, Sam-Hyun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5 no.4
    • /
    • pp.131-14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railway cargo volume on Busan new-port and north-port, in order to revitalize railway transport.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Section 1 presents the description of the objective and methods on this study. Section 2 presents the status of Railway Cargo volumes and Construction plan of railway facilities in Busan New port. Section 3 presents the Forecast Railway Cargo volume using a volume ratio, actual volume records and another predicted datas. Section 4 summarizes our conclusions and further research topics. Especially, korea faces enforcement of green Logistics policy. Modal shift to trail freight transportation is one of ways, but there are no more detail plans. so it need that a cooperation system in government department, a indirect subside policy shift to rail freight transportation from trucking for revitalization of Railway Freight transportation.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Forecasting Accuracy of Econometric Models :Domestic Total Freight Volume in South Korea (계량경제모형간 국내 총화물물동량 예측정확도 비교 연구)

  • Chung, Sung Hwan;Kang, Kyung W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3 no.1
    • /
    • pp.61-69
    • /
    • 2015
  • This study compares the forecasting accuracy of five econometric models on domestic total freight volume in South Korea. Applied five models are as follows: Ordinary Least Square model, Partial Adjustment model, Reduced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model, Vector Autoregressive model, Time Varying Parameter model. Estimating models and forecasting are carried out based on annual data of domestic freight volume and an index of industrial production during 1970~2011. 1-year, 3-year, and 5-year ahead forecasting performance of five models was compared using the recursive forecasting method. Additionally, two forecasting periods were set to compare forecasting accuracy according to the size of future volatility. As a result, the Time Varying Parameter model showed the best accuracy for forecasting periods having fluctuations, whereas the Vector Autoregressive model showed better performance for forecasting periods with gradual changes.

자료

  • 한국복합운송협회
    • 복합운송
    • /
    • s.144
    • /
    • pp.16-20
    • /
    • 2004
  • 화물유통촉진법중 개정 법률(안) 입법예고 - 항공화물 입항전 적하목록 제출 세부시행방안 - 중국발 Sea & Air Cargo 물동량 추이

  • PDF

A Study on the Method of Freight Generation Estimation according to Company Size in Seoul Metropolitan Area (수도권의 사업체 규모에 따른 화물발생 예측 방법론 연구)

  • Park Sang-Chul;Choi Chang-Ho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29 no.5 s.101
    • /
    • pp.431-437
    • /
    • 2005
  • In korea, Freight generation models developed in korea were estimated by spatial unit method which predict freight flow by traffic zone. But it is difficult to predict freight generation using these models, because there are the difference of the totality method of sampling data on freight volume and the variability of the variables by these models on each case study, This study developed new estimation model to predict freight flow which is generated from each compan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any such as the freight outbound & inbound volume, the number of employee, sales, gross area, land area. This model is simpler than the that of spatial unit and can apply to the other region. The subjects of study were companies in metropolitan area and types of model were exponential regression models. The adequate explanatory variable in the models were sales. this study have a uniqueness apply micro research method to estimate freight generation not use spatial unit method but use flow unit method by each company unit.

A study on utilizing electronic nautical charts for building a optimum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최적 해양물류시스템 구축을 위한 전자해도 활용에 관한 연구)

  • 김계현;최훈성;원대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313-321
    • /
    • 2003
  • 우리나라의 연간 물동량 중 선박에 의한 물동량이 약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이러한 선박에 의한 막대한 물동량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해양물류시스템의 구축이 미진한 상태이다. 이를 위해 국가에서는 항만의 물류시설을 확충하는 등 물리적인 대안을 가지고 시설 부족에 대한 대비를 하고 있다. 그러나 해양물류시스템에 있어서 또 다른 중요한 문제점은 각 선사별, 물류회사별로 공통업무에 대해 각기 다른 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함에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독립적 시스템의 운영은 동일 업무에 대한 중복투자를 유발하게 되어 많은 시간 및 비용을 소요하게 되며, 원활한 정보교환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적인 표준안이 마련되어 있는 전자해도(ENC, Electronic Nautical Chart)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의 관리자용 선박 및 화물 위치검색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추후 다른 항만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여 독립적 시스템의 운영으로 인한 중복투자를 방지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전자해도의 새로운 활용 방안이 없는 현 시점에서 전자해도를 선박 및 화물 위치검색시스템의 위치 표시를 위한 도형 데이터베이스로 사용하여 전자해도 본연의 목적 이외에도 활용될 수 있는 실례를 제시함으로써 전자해도의 새로운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Busan Port's Marketing Target for Attracting Transshipment Cargo from Japan (일본 환적화물 유치를 위한 부산항 마케팅 타겟 선정 연구 - 일본 서안 항만을 중심으로 -)

  • Kim, Yul-Seong;Lee, Ji-Hoon;Kim, Sang-Youl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6 no.4
    • /
    • pp.19-39
    • /
    • 2010
  • The growth of T/S cargoes maintained a highly upward trend by an increase of throughputs of North Chinese ports in the early 2000s. Recently, however, it has fallen dramatically due to large developmental projects of infrastructures for North Chinese ports. Despite this situation, an increase rate of T/S cargo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ports is showing relatively high by 8 to 9 percent. Therefore this study pursues to choose objectives for marketing target of a total of 23 ports in the west of Japan by analyzing factors like a trade characteristics with Busan ports, an increase rate, a market share and a fluctuation rate of throughput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Moji, Niigata, Naha, Shimonoseki and Kanazawa port are selected as the objectives for core marketing and Hakata, Akita, Tokuyama, Imari, Ishikari and Sakata port are chosen as ports for continuous marketing.

불황기에 화물 배달의 정시성을 보증하는 'M'선사의 Daily Maersk Service 성과에 대한 사례 연구

  • Hwang, Jun-Ho;Jang, Myeo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63-64
    • /
    • 2012
  • 2008년부터 시작된 세계경제 위축은 전 세계 해상물동량 감소로 이어져 컨테이너선업계의 불황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선사들은 불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전략들을 구사하고 있다. 대부분의 선사들은 잉여 선박의 추가투입으로 감속운항을 통해 선박 운영비용을 절감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시도는 선사입장에서는 비용절감이 되지만 감속운항이 화물의 정시성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화주입장에서는 불만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M'선사는 "On Time Delivery"를 보증하기 위해서 아시아-유럽항로에서 새로운 서비스인 Daily Maersk Service를 2011년 10월부터 적용하고 있다. 본 서비스는 아시아발 북유럽행 특정 기간 포트구간 수송에서 100% "On Time Delivery"를 보증하고, 또한 매일 화물수탁을 가능하게 한 신서비스이다. 본 연구에서는 업계 1위를 달리고 있는 'M'선사가 감속운항을 하면서도 화물의 정시성을 높이기 위해 실시하고 있는 Daily Maersk Service를 통하여 가격 경쟁과 더불어 서비스 경쟁에서도 우위를 확보하려는 전략이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지에 대하여 사례연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 PDF

우리나라 부산항 항만하역시장 안정화 방안에 관한 연구

  • Ryu, Dong-Geun;Kim, Tae-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166-169
    • /
    • 2011
  • 항만간 허브항 경쟁이 극심해 지고 있는 오늘날, 컨테이너 선사는 M&A 및 전략적 제휴로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와의 가격 협상력의 우월적 지위를 갖게 되어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간 선사 및 화물유치를 경쟁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그러나 수요측면에서 컨테이너물동량 증가율 둔화로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처리해야 할 물동량은 한정되어 있는 반면, 공급 측면에서 항만터미널의 지속적인 건설은 항만간 또는 터미널간 물량 유치경쟁을 과열시키고 있다. 특히 부산항은 신항 개장이후 북항과 신항간 물동량 유치경쟁으로 인하여 항만하역시장의 교란을 가져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항 컨테이너 항만하역시장의 구조적 특성분석과 설문조사 방법론을 통하여 향후 부산항 항만하역시장의 안정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시장구조 분석결과 부산항은 한정된 처리물량과 신항의 개장으로 인한 공급과잉, 그리고 정부의 지역항만개발정책에 따른 컨테이너화물의 분산처리로 지속적인 부산항의 비중 감소로 선석당 처리물량이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선사의 우월적 지위를 이용한 하역료 인하요구로 터미널운영사간에 서비스경쟁이 아닌 비협력적인 가격경쟁으로 재정수지가 악화되고 있고, 또한 '10년 외국적선사의 처리물량이 60%를 차지하고 있어 국부유출이 심각한 실정이다. 따라서 하역시장 안정화 방안으로 항만시설 수요 및 공급의 불균형을 조정하기 위하여 항만풀링공동기금관리를 통한 재정수지를 확보할 수 있는 항만풀링제도를 제안하며, 이 제도의 운영을 위하여 한시적으로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별 처리물량 상한제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