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Busan Port's Marketing Target for Attracting Transshipment Cargo from Japan

일본 환적화물 유치를 위한 부산항 마케팅 타겟 선정 연구 - 일본 서안 항만을 중심으로 -

  • 김율성 (부산발전연구원 광역기반연구실) ;
  • 이지훈 (부산발전연구원 광역기반연구실) ;
  • 김상열 (부산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0.10.29
  • Accepted : 2010.12.09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The growth of T/S cargoes maintained a highly upward trend by an increase of throughputs of North Chinese ports in the early 2000s. Recently, however, it has fallen dramatically due to large developmental projects of infrastructures for North Chinese ports. Despite this situation, an increase rate of T/S cargo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ports is showing relatively high by 8 to 9 percent. Therefore this study pursues to choose objectives for marketing target of a total of 23 ports in the west of Japan by analyzing factors like a trade characteristics with Busan ports, an increase rate, a market share and a fluctuation rate of throughput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Moji, Niigata, Naha, Shimonoseki and Kanazawa port are selected as the objectives for core marketing and Hakata, Akita, Tokuyama, Imari, Ishikari and Sakata port are chosen as ports for continuous marketing.

우리나라의 환적화물은 '00년 초반에만 하더라도 북중국 항만의 물동량 증가로 높은 증가세를 유지하였으나 최근 북중국 항만들의 대규모 시설개발에 따라 그 증가율이 급격히 낮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우리나라와 일본 항만간의 환적화물 증가율은 8~9%의 비교적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본 연구에서 분석된 부산항과 일본서안 항만간의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율에 기인한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본 서안 23개 주요 항만들을 대상으로 부산항과의 교역특성, 물동량 증가율, 점유율, 변동율 등을 다양하게 분석하여 마케팅 타겟 항만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마케팅 타겟 항만 선정결과 핵심 마케팅 대상항만은 Moji항, Niigata항, Naha항, Shimonoseki항, Kanazawa항, 지속적인 마케팅 대상항만은 Hakata항, Akita항, Tokuyama항, Imari항, Ishikari항, Sakata항을 선정하였다. 부산항의 마케팅 타겟 항만으로 선정된 항만들의 공통된 특징은 물동량 규모와 성장률이 비교적 높으며, 변동성이 낮아 안정적인 교역특성을 가진 항만들이 포함되었다. 선정된 11개 항만들을 대상으로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부산항과의 전략적 협력을 통한 공동발전 모색이 중요한 전략이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운수, "수도권 수출입 화물의 중국항만 환적 가능성 연구", 해양물류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pp.52-75. 2009.
  2. 김유나, 안기명, 김광희, "환적화물의 이동경로 조사분석 및 비용에 관한 연구: 일본 항만을 중심으로",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pp.243-244. 2007.
  3. 박진희, "일본 환적화물 유치를 통한 부산항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28권 제8호, pp.679-685. 2004.
  4. 박창식, 김청열, "부산항의 Hub-Port화와 한, 일해협 경제권",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집 제1호, pp.271-292. 2009.
  5. 송용석, 남기찬, "일본 서안 항만의 수출입 컨테이너화물 물류비용 분석",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3권 제6호, pp.415-421. 2009.
  6. 관세청, 한국관세무역개발원, '수출입물류통계연보', 각년호(2004-2009)
  7. 양창호, 여기태,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운항 확대에 따른 인천항의 북중국 환적거점항으로서의 발전전략 연구", 유통경영학회지, 제13권 제1호, pp.91-106. 2010.
  8.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 '중국 및 일본서안 컨테이너 화물 유통실태 분석 및 마케팅 전략 연구',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 2002.
  9. 한철환, "동북아 항만들의 경쟁전략에 관한 연구", 해운연구:이론과 실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pp.34-67. 2002.
  10. Gim, Jin-Goo, "World Logistics Evolution & Marketing Strategy for Korea's Enhanced Port Competition",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ol.24(4), pp.363-384, 2008.
  11. Notteboom, T. E.(1997), "Concentration and Load Centre Development in the European Container Port System",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5(2), pp.99-115. https://doi.org/10.1016/S0966-6923(96)00072-5
  12. http://www.spidc.go.kr/jsp/spidc.jsp
  13. http://www.schedulebank.com
  14. http://www.shipschedul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