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홍채학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7초

칼라 홍채영상을 이용한 홍채진단시스템 (An Iris Diagnosis System using Color Iris Images)

  • 한성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87-94
    • /
    • 2008
  • 홍채진단은 홍채의 패턴, 색, 기타 다른 특징들을 조사하여 환자의 병을 진단하는 대체의학이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흑백 홍채영상을 이용하여 홍채 내의 특정 패턴을 검출하는 알고리즘 연구로 홍채의 칼라 정보로부터 건강상태를 체크하는 진단시스템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칼라 홍채영상과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홍채진단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시스템은 홍채카메라는 갖는 입력모듈, 홍채병소징후 검출 모듈,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 출력 모듈 등 4가지 모듈로 되어있다. 칼라 홍채영상으로부터 7가지 주요 홍채병소징후를 추출하고 검진의 정확도를 위해 병소 수동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 병소를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홍채학에 기반한 의료정보와 개인 이력 관리 모듈을 이용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의 비해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어 홍채진단 시스템으로 활용 가능하다.

  • PDF

홍채학기반이 질병예측을 위한 홍채인식 알고리즘 (An Iris Detection Algorithm for Disease Prediction based Iridology)

  • 조영복;우성희;이상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07-114
    • /
    • 2017
  • 홍채진단은 홍채의 패턴, 색 등 다른 특징들을 조사하여 환자의 병을 진단하는 대체의학이다. 이 논문에서는 촬영한 홍채이미지의 차영상을 이용해 홍채를 분석하고 홍채 변화에 따른 환자의 건강진단에 활용한 질병예측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홍채영상을 이용하여 홍채 내의 특정 패턴을 검출하는 알고리즘 연구로 홍채의 다양한 정보로부터 건강 상태를 체크하는 진단시스템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족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촬영된 홍채영상의 차영상을 이용해 질병의 조기 진단 및 질병의 전개과정을 명확히 판단한다. 또한 홍채영상으로부터 8가지 주요 홍채병소징후를 추출하고 검진의 정확도를 실험한 결과 패턴 매칭 기법에 의한 인식률 91%로 홍채진단의 자동화에 적용 가능하다.

홍채 촬영용 광학계 설계 (Design of an Optical System for Iris Photographing)

  • 박승환;이동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9-44
    • /
    • 2009
  • 목적: 홍채학에 사용되는 소형 홍채 촬영용 광학계 설계. 방법: 소형 홍채 촬영용 광학계를 설계하기 위해 Sigma 2000 광학 설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 마이크로 액츄에이터를 오토 포커싱에 사용하는 CCD에 적합한 홍채 촬영용 광학계를 설계하였는데, TCL이 30 mm이고, 배율이 -0.65배, 첫 번째 렌즈에서 마지막 렌즈까지의 거리가 약 8.0 mm, 경통 최대 구경 11 mm, 스톱의 유효구경이 약 1 mm인 특성을 가지는 광학계가 되었다. 또한 분해선폭은 30% MTF 값 기준으로 92 lps/mm인 특성을 보여준다. 결론: TCL이 30 mm이고, 첫 번째 렌즈에서 마지막 렌즈 까지의 거리가 약 8.0 mm, 경통 최대 구경 11 mm이고, MTF 30% 기준에서 분해능 선폭이 $5.4{\mu}m$에 이르는 광학계를 설계하여 홍채 촬영용 광학계를 소형화 할 수 있었다.

  • PDF

컨볼루션 신경망 기반 홍채 병변 분류 알고리즘 설계 (Convolutional neural network-based iris lesion classification algorithm)

  • 서진범;조영복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95-296
    • /
    • 2021
  • 홍채 진단학에서 홍채는 색과 홍채 구조의 변화에 따라 인간 조직, 장기들의 비정상적인 변화가 생길시 홍채지도상 해당 영역에 변화가 발생한다. 이를 통해 비정상적인 변화가 생긴 장기의 상태를 판단하거나 선천적으로 가지고 있는 병변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딥러닝 신경망 중 이미지를 이용하여 학습을 진행하는데 강점을 가지고 있는 컨볼루션 신경망을 이용하여 홍채상에 나타난 병변을 분류하는 신경망 알고리즘을 설계할 것이다.

  • PDF

IoT 디바이스를 활용한 고해상도 홍채 카메라 모듈 개발 (Development of High Resolution Iris Camera Module using IoT Device)

  • 서진범;조영복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371-377
    • /
    • 2020
  •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홍채 카메라는 고가이며 사용적인 부분에서 제한점을 많이 가지고 있다. 기존 홍채 카메라는 새롭게 개발된 소프트웨어와의 연동에 불편함을 가지고 있고, 홍채 촬영 시 발생하는 빛 반사는 의료용으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기존 카메라를 이용해 스스로 이미지 촬영을 위해서는 활용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스로 홍채 촬영이 가능하면서 우리의 관심영역을 잘 볼 수 있도록 홍채카메라를 새롭게 구성한다. IoT 디바이스를 이용해 누구나 손쉽게 안경형 홍채카메라를 착용하고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영상은 홍채 분석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유전적 약한 부분을 판독해 주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제안된 홍채 카메라 모듈은 영상 촬영시 빛 반사, 흔들림 및 정확한 초점을 자동으로 제공해주기 때문에 영상분석의 정확도를 91.49%까지 높여주고, 정확한 영상입력으로 인해 하나의 이미지 처리시간이 0.007ms로 빠르게 실행됨을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2-D Gabor 필터를 이용한 홍채인식 (Iris Recognition Using the 2-D Gabor Filter)

  • 고현주;이대종;전명근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3년도 추계 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181-184
    • /
    • 2003
  • 본 논문은 생체측정학(Biometrics)중 홍채의 패턴을 이용하는 것으로, 사람의 홍채는 태어날 때 한번 정해지면 평생 변화하지 않으며, 개개인별로 모양이 모두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홍채영상 취득시 조명에 의한 동공의 크기 변화에 민감하지 않은 2차원의 홍채패턴을 취득하고, 2D Gabor 필터와 48개의 분할된 섹터로부터 특징값을 추출한다. 또한, 인식과정에서는 correlation 계수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홍채의 특징값에 대해 유사도를 측정하고 가장 큰 값을 갖는 사람을 찾게 되는데, 이때, 3개의 필터를 거쳐 얻어진 영상에 대해 최고의 값을 인식 대상자로 인정하므로 오인식 될 확률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제안한 알고리듬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남성과 여성 대상자 10명의 왼쪽 눈에 대해 5회 촬영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 후, 실험한 결과 90%이상의 높은 인식률을 얻음으로 제안한 알고리듬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홍채체질 분석에서 콜레스테롤·심신이 약한 체질과 TNF-alpha 유전자 다형성과의 상관성 연구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cholestrol·cardiorenal connective tissue weakness type" and TNF-alpha gene polymorphism in iris constitution analysis)

  • 유춘상;황우준;김경식;최성용;김종욱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89-101
    • /
    • 2004
  • 홍채학은 대체의학의 한 분야로서 홍채 침착의 불규칙성을 주시함으로써 의학적 상태를 진단한다. 홍채학적 분류에 의한 체질은 가족력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홍채체질의 유전성을 의미한다. 강력한 면역조절자이며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a, TNF-${\alpha}$)는 많은 병리적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고혈압환자에서 홍채체질과 TNF-${\alpha}$ 유전자 다형성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87명의 고혈압 환자와 79명의 정상인을 홍채체질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이들의 TNF-${\alpha}$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정상인에 비하여 TNF-${\alpha}$ GA 이형접합체의 빈도가 고혈압 환자군에서 감소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TNF-${\alpha}$ 다형성이 고혈압에 대한 저항성과 관련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고혈압환자에서 콜레스테롤 침착체질과 심신 결합조직 허약 체질은 42.5%로서 정상인 16.5%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P<0.001). GG TNF-${\alpha}$ 유전자형을 갖고 있는 군에서 심신 결합조직 허약체질과 콜레스테롤 침착체질의 빈도는 정상인보다 환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본 연구에서 저자는 홍채체질과 고혈압사이의 관련성을 발견함과 동시에 TNF-${\alpha}$ 유전자 다형성과 고혈압, 그리고 홍채 체질과의 관련성을 최초로 입증하였다.

  • PDF

푸리에 변환과 상관관계 계수 값을 이용한 홍채인식 (Iris Pattern Recognition Using the Fourier Transform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 고현주;전명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중)
    • /
    • pp.969-97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생체측정학(Biometrics)중 홍채 패턴을 이용하여 개인 인증과 확인을 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개발하고 구현하였다. 사람의 홍채는 태어날 때 한번 정해지면 평생 변화하지 않으며, 개개인 별로 모양이 모두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홍채 특징을 이용하여, 본 논문에서는 홍채영상 취득 시 조명에 의한 밝기 변화에 불변하고, 회전에 불변한 DFT 계수를 이용하였으며, correlation 계수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개개인을 대표할 수 있는 기준데이터(code book)를 만들어 실험하였다.

  • PDF

홍채 영상에서 자율신경환 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n Collarette Extraction in Iris Image)

  • 강진영;김장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754-757
    • /
    • 2003
  • 홍채에서 자율신경환이 형성된 위치와 모양으로 환자들의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는 특성 때문에 한의학에서 건강 진단의 한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홍채에 존재하는 자율신경환을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원형 에지 검출기를 이용하여 홍채 영역을 검출한 후 방사조사법 및 문턱치 설정을 통해 경계 후보점을 결정한다. 그리고 각 경계 후보점의 최단거리를 계산하여 경계 후보선을 생성하고 최종적으로 선형보간을 통해 자율신경환을 추출한다. 홍채 영상들에 대해 실험한 결과, 인체의 소화기관의 상태를 추정할 수 있는 진단 시스템의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는 수준의 추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소프트콘택트렌즈 피팅과 관련된 가시홍채직경 및 검열크기에 대한 상관관계 (A Relationship Between Visible Iris Diameter and Palpebral Aperture Size : Considered to Solve Uncomfortable Feeling of Soft Contact Lens)

  • 이정윤;육도진;이지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85-293
    • /
    • 2014
  • 목적: 초등학생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가시홍채직경(수평, 수직) 및 검열의 폭과 길이를 측정하여 이들의 상관관계 및 소프트콘택트렌즈 크기의 연령별 적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고 외형적으로 미용을 포함한 눈 수술을 하지 않은 초등학생에서 일반인 총 514명(1028안)을 대상으로 가시홍채직경(수평, 수직)과 검열의 폭과 길이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가시홍채수평직경과 수직직경은 연령별 남녀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중학생과 대학생의 검열의 길이와 고등학생의 검열의 폭은 남학생과 여학생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또한, 남녀 모두 가시홍채수평직경, 가시홍채수직직경, 검열의 길이 그리고 검열의 폭에서 연령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가시홍채직경과 검열의 크기는 문헌에 기준한 정상범위 근사치보다 검열의 폭은 남녀를 포함한 전체 대상자의 27.9%, 가시홍채직경은 36.0%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가시홍채직경과 검열의 크기는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직경 결정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렌즈 삽입시 피검자의 불편함을 덜어주기 위해서 좀 더 세심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