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홈 네트워크 환경

Search Result 572,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Th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mart home network service for IT underprivileged people and growth service model (IT소외 계층을 위한 실질적 스마트홈네트워크서비스의 영향 및 성장형 서비스모델에 대한 연구)

  • Kim, Byoung-Soo;Ji, Yeong-Soo;Han, Kyeong-Seok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5 no.6
    • /
    • pp.1000-1007
    • /
    • 2011
  • Home Networking will be implementing the interactive network by home appliances over wireless/wireline network framwork. That is, Home appliances, which are being operated within home space configure the network through wireline/wireless network infrastructure for interworking and interacitive services by external internet access. Based on home networking, smarthome is home space where can use automatic telecommunication and interactive service by home appliances. we can call smarthome based on home networking infrastructure as the conceptual gateway for evolving future converged space like u-city. From simple home control service to home automation service over home networking infrastructure, smarthome service is evolving to up-to-date intelligent life environment in growth of IT technology. however, its service model development was based on supplier-centered based on advanced IT technology. because of this situation, smarthome service has not been acknowledged IT underprivileged people as well as IT early-adaptor. so, this research paper will consider and try to find out what will be the feasible factors to make the best service for IT underprivileged people.

NON-­IP BASED HOME NETWORK USING X10 (X10을 이용한 NON-­IP 기반 홈 네트워크)

  • 안건국;박상용;민필재;공기석;한익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c
    • /
    • pp.508-510
    • /
    • 2003
  • 현존하는 홈 네트워크 기반의 건물들은 신축 시부터 홈 네트워크 구상 하에 만들어졌지만, 기존의 건물에서 홈 네트워킹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리모델링을 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JINI, UPnP, Bluetooth 등의 미들웨어 기술은 IP를 기반으로 하는데, 현재의 IPv4 기반 하에서 TP의 고갈될 전망과 IPv6로 전환되어서도 각각의 가전 기기들이 개개의 IP를 갖는다는 것은 낭비를 초래한다. 이런 문제점의 대안으로 본 논문에서는 NON­IP 기반의 X10 디바이스와 Embedded Gateway를 이용하여 인터넷이 가능한 곳이면 어디에서든 가전기기를 쉽고, 빠르게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ntelligent Agent for RFID-based Home Network Management (RFID 기반의 홈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지능형 에이전트의 설계 및 구현)

  • Kim, Ju-Il;Lee, Woo-Jin;Chong, Ki-Won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2 no.4
    • /
    • pp.71-84
    • /
    • 2007
  • The architecture for RFID-based home network and an intelligent agent for efficiently managing home network are proposed in this paper. The agent consists of six modules-Agent Manager, Data Collector, Execution Controller, Data Storage, Data Queue and User Interface. Agent Manager manages the tasks of modules, and Data Collector collects the data from home appliances through the RFID readersm Execution Controller determines the operations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home environment and transfers the operations to the appliances through the RFID readers. Moreover, Data Storage keeps the data which is necessary for the operations of the agent, and Data Queue temporarily stores the data which is collected from home appliances. Lastly, User Interface provides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in which an individual can directly control and monitor the home network. The proposed intelligent agent autonomously learns the circumstances of a home network by analyzing the data about the state of home appliances, and controls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the user. Therefore, the user can live in the best-suited home environment without direct appliance control if he/she performs home networking through the agent.

  • PDF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Home Network System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지능형 홈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

  • Kim, Byung-Hyuck;Hwang, Chul-Hee;Kim, Jong-Myon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8a
    • /
    • pp.319-322
    • /
    • 2008
  • 사용자의 각 개인별 관심 및 환경에 따라 적절한 정보를 다양한 입출력 방식으로 제공하고, 가정내의 모든 장소에서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사용자 중심의 지능형 홈 네트워크 환경의 새로운 요구가 대두 되고 있다. 또한 집안의 온도, 가스, 화재, 도어, 적외선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요약, 분석, 처리 가공하여 문자 및 그래픽 등으로 보고 받는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이 요구 된다. 이에 본 논문은 전력선 통신 (Power Line Communication, PLC)을 이용한 흠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여 가정내의 온도, 화재, 침입방지 등의 보안 문제뿐만 아니라 정보가전기기들이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되어 기기, 시간, 장소에 구애 받지 않는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며, 중앙의 홈 서버를 통해 집안 전체의 관리가 가능한 안전하고 스마트한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을 구축한다.

  • PDF

The implementation of home network using the RS422 Multi-drop mode serial communication (RS422 Multi-drop mode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구현)

  • Byun, Pil-Sang;Kim, Myeung-Hwan;Kim, Deok-Jin;Park, Se-Hyun;Park, Yeou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v.9 no.2
    • /
    • pp.512-516
    • /
    • 2005
  • Home-Network is an integrated network of the PC and all electric home appliances in the home so that the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21th century, here are various technology for home Network environment such as HomePNA, IEEE1394, Ethernet Lan and Bluetooth. For Home Network construction, generally, the standard series interface 'RS232' is used to make communication possible between electric home appliances. However Home network using RS232 has a problem. That is, All machines have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RS232 using Point-to-Point mode. In this case, the system becomes complicated because we have to use circuits as much as there are machines and increased expenses. To improve this problem, In this thesis, designed home network using RS422 Multi-drop mode serial communication and controled it with embedded linux system. And connected RS422 with motors and sensors using PIC to make the home network virtual environment.

  • PDF

A Study on the Design of Home Network Controlling System using User Preference Information (사용자 선호정보를 활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Sung, Kyung-Sang;Lee, Jun-Ho;Oh, Hae-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814-817
    • /
    • 2007
  • 사용자 행위 학습에 따른 지능적 자동 제어 시스템 구축에서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은 사용자 행위학습에 따른 지능적 자동 제어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다. 홈 네트워크 내의 정보가전기기들 환경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학습 알고리즘을 통하여 분석하며, 분석되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성향을 파악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친화적 지능형 공간 제어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성향이 파악되면 지속적으로 홈 네트워크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항상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능동적 서비스 효과들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고속 PLC 홈네트워크 솔루션

  • Im Su-Bi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3 no.8
    • /
    • pp.35-42
    • /
    • 2006
  • 최근 광대역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가 차츰 증가하고 있고 대상콘텐츠도 데이터와 음성 및 비디오까지 포함된 멀티미디어 서비스로 변화함에 따라, 통신서비스 제공업체들은 이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것이 지상과제가 되었다. xDSL, 케이블 모뎀, 광랜 등 엑세스 네트워크가 잘 발달되어 있는 국내에서도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최종 수신 장치가 될 TV, PC, 오디오 기기 및 전화기 등에까지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댁내에서 또 다른 홈 네트워크를 구성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는 홈 RF, 무선랜, 블루투스 등 무선 홈 네트워크 기술과 IEEE1394, 이더넷, 홈 PNA, 전력선통신과 같은 유선 홈 네트워크 기술로 나눌 수 있다. 무선 홈 네트워르 기술의 경우, 댁내에서의 반사와 감쇄 등의 영향에 의한 음영지역이 존재하는 단점이 있고 또 RF단을 구현해야 하므로 시스템 가격이 올라가게 된다. IEEE1394, 이더넷, 홈 PNA 같은 유선 홈 네트워크기술의 경우에는 댁내 통신을 위해 새로운 선을 포설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막대한 시설 투자비가 들어가게 된다. 이 막대한 투자비는 홈 네트워크 구축에 많은 시간이 걸리게 하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들이 서비스를 이용하기에는 가격적으로 부담스럽게 된다. 전력선통신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은 전기를 공급하는 전력선에 흐르고 있는 상용주파수 50/60Hz의 저주파 전력신호에 고주파 신호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실어 나르는 통신기술이다. 집안 곳곳 이미 포설되어 있는 전력선이 이미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번거롭고 값비싼 추가 배선작업 없이 바로 네트워킹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고속 PLC는 설치 용이성, 접근성, 속도 및 비용부분 등에서 경쟁기술에 비하여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젤라인은 국내 전력선통신 표준을 만족하는 24Mbps 고속 전력선통신 칩을 기반으로 다양한 전력선 채널환경 하에서 최적의 통신을 보장하는 전력선 통신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ACS: Automatically Control System for Personalized preference in Home Network Service (개인 선호도를 고려한 지능형 홈 네트워크 자동 제어 시스템)

  • Jang, Jin-Kun;Lee, Seung-Mi;Son, Ji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b
    • /
    • pp.253-25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 개개인 선호도에 맞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ACS(Automatically Control System)를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댁내에 홈 서버와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RFID Tag,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전기기들로 구성한다. 홈 서버에는 등록된 사용자 선호도 프로파일과 각 디바이스들로부터 사용자 개개인의 사용현황 등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그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개개인의 선호도에 따라 댁내 가전기기들을 자동 설정하고 자동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ome Gateway System on the CDMA Telecommunication (CDMA를 기반으로 한 홈 게이트웨이 시스템 개발 연구)

  • Park, Chan-Kwon;Lee, Ha-Yong;Yang, Hae-So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860-862
    • /
    • 2008
  • IT기술의 급속한 발달과 초고속망을 통한 인터넷 보급에 이어 이동 통신 또한 국민의 대부분이 사용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는 홈 네트웨크 시스템 기반이 이미 준비가 되어 있고 홈 네트워크 시장의 미래는 상당히 밝을 것으로 전망된다. 본 논문에서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해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홈 게이트웨이를 설계 및 구현한다.

A Fault-Detection Agent for Distance Education on Home Network Environment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원격 교육을 위한 결함 감지 에이전트)

  • Kim, Hak-Joon;Ko, Eung-Nam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1 no.3
    • /
    • pp.313-318
    • /
    • 2007
  • This paper explain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FDA(Fault Detection Agent). FDA is a system that is suitable for detecting software error for multimedia distance education based on home network environment. This system consists of an ED, and ES. ED is an agent that detects an error by hooking techniques for multimedia distance education based on home network environment. ES is an agent that is an error sharing system for multimedia distance education based on home network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media collaborative environment, an error application becomes another interactive presentation error is shared with participants engaged in a cooperative work. Performance analysis is done by Comparison of Hooking with Snatching Meth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