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mart home network service for IT underprivileged people and growth service model

IT소외 계층을 위한 실질적 스마트홈네트워크서비스의 영향 및 성장형 서비스모델에 대한 연구

  • Received : 2011.07.20
  • Accepted : 2011.12.30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Home Networking will be implementing the interactive network by home appliances over wireless/wireline network framwork. That is, Home appliances, which are being operated within home space configure the network through wireline/wireless network infrastructure for interworking and interacitive services by external internet access. Based on home networking, smarthome is home space where can use automatic telecommunication and interactive service by home appliances. we can call smarthome based on home networking infrastructure as the conceptual gateway for evolving future converged space like u-city. From simple home control service to home automation service over home networking infrastructure, smarthome service is evolving to up-to-date intelligent life environment in growth of IT technology. however, its service model development was based on supplier-centered based on advanced IT technology. because of this situation, smarthome service has not been acknowledged IT underprivileged people as well as IT early-adaptor. so, this research paper will consider and try to find out what will be the feasible factors to make the best service for IT underprivileged people.

홈 네트워킹(Home Networking)이란 유무선 네트워크 기반 하에서 가정 내 정보기기에 의한 상호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홈이라는 공간적 틀 안에서 이용되어지는 정보가전 기기들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상호 접속하게 하고 외부의 인터넷 엑세스에 대해서 상호 허용하고 통신하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 홈이라 함은 홈네트워킹기반의 가정환경에서 인간으로 하여금 자동화된 통신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주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홈네트워킹 기반의 스마트 홈은 u-city와 같은 미래 converged 주거공간에 대한 개념적 게이트웨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단순한 기능의 댁내 홈서비스 제어 환경이 홈오토메이션형태로 진화하고 현재와 같이 통신 네트워크 환경 기반의 최첨단을 확보한 인텔리전트 생활환경에서의 스마트홈네트워크 서비스는 IT의 발달에 따른 일반화된 서비스의 형상으로 우리의 삶에 공존하고 있다. 그러나 기술진화의 빠른 속도에 따른 공급자 위주의 서비스출시는 IT서비스 소외계층은 물론, 소위, early-adaptor라 하는 IT 선도계층에 까지 그 기술의 우수성과 선행성에도 불구하고 일정 부분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은 첨단 스마트홈서비스의 바람직한 요구 및 기대사항에 대해서 고민하여 바람직한 IT소외계층을 목표로 한 서비스 모델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2009 정보격차 지수 및 실태조사 주요결과 분석자료집, 2010.3월 출간
  2. 박세현 "u-Home 서비스 제공을 위한 홈네트워크 솔루션 개발 동향", 홈네트워크 표준 기술 워크샵/홈네트워크 & BcN 기술 이전 컨퍼런스 및 전시회 2007
  3. www.mke.go.kr 중장기 기술개발 계획안 - "스마트폰기반의 홈네트워크 발전 방향 : 홈네트워크/정보가전", 2010
  4. 김국세, 권영선, 이호영, 이준. "생체신호 모니터링 스마트 홈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2, No.11, pp.2097-2104, 2008
  5. 이대석, 황기현, 차경환.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시스템을 위한 노드기반의 R피크 검출 알고리즘".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 15, N.1, pp.227-232, 2011
  6. IT 소외계층을 위한 성장형 스마트 홈네크워크 서비스 모델에 대한 연구 , 한국 IT 정책경영학회 논문집 제3권제 2호 ISSN 2234-0564 pp.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