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홀 추력기

Search Result 3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Comparison Study of the Low Power Hall Thrusters Performance (소형위성용 저전력 홀 추력기의 성능 비교 연구)

  • Kang, Seong-Min;Kim, Youn-Ho;Jeong, Yun-Hwang;Seon, Jong-Ho;Lee, Jong-Sub;Seo, Mi-Hui;Choe, Won-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9 no.2
    • /
    • pp.195-200
    • /
    • 2011
  • A low power Hall thruster is under development for orbit maintenance of a small Earth observing satellite. Both cylindrical and annular type thrusters were manufactured and tested to characterize the performance of cylindrical Hall thrusters. Results were described through comparative analyses. Cylindrical thrusters were manufactured in two different channel diameter dimensions, 28 mm and 50 mm. Thrust, ion velocity and ion current were measured in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The results show that cylindrical thrusters are more efficient in mass utilization and voltage utilization, but less efficient in current utilization than annular one.

500 W급 고리형 홀추력기의 자기장 구조에 따른 추력 특성 연구

  • Lee, Seung-Hun;Kim, Ho-Rak;Kim, Jun-Beom;Im, Yu-Bong;Choe, W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202-202
    • /
    • 2016
  • 홀 플라즈마 엔진은 인공위성의 궤도유지 및 자세제어 등의 임무수행이나 우주선의 심우주 활용에 있어 필수적인 핵심 우주 부품이다. 홀추력기 연구개발의 최근 큰 관심사는 추력기의 장시간 운전성 확보 및 방전효율 향상이다. 최근 고리형 홀추력기에서 방전 영역 내 플라즈마와 유전체 벽 간의 충돌을 줄임으로써 전극 손상 및 전자온도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전자석 코일을 활용해 방전 채널 벽면과 평행한 방향의 자기장을 형성하여 플라즈마와 유전체 벽 간의 상호작용을 감소시키는 연구들이 소개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을 자기차폐(magnetic shielding)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차폐 개념이 적용된 방전 소모전력 500 W급 고리형 홀추력기의 방전 및 추력 발생 특성을 연구하였다. 자기장구조 제어를 통해 유전체 벽과 플라즈마 간 상호작용을 감소시킨 결과, 500 V 수준의 방전 전압에서도 유전체 벽에서의 이차전자 발생에 의한 방전전류의 급격한 증가없이 안정적인 방전이 가능하였으며, 이러한 방전 형태는 기존의 자기차폐 개념이 적용되지 않은 일반 고리형 홀 추력기에서 구현하기 어려운 방전 상태이다. 추력기의 자기장 구조 최적화 조건에서 제논 가스 방전을 통해 얻은 최대 추력은 $22{\pm}1mN$, 비추력 $2200{\pm}70s$, 양극효율 $51{\pm}2%$로 매우 우수한 성능을 보여 주었다

  • PDF

홀추력기 플라즈마 특성 연구를 위한 $E{\times}B$ 진단계 전산모사 및 개발

  • Kim, Ho-Rak;Seo, Mi-Hui;Seon, Jong-Ho;Lee, Hae-Jun;Choe, W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564-564
    • /
    • 2013
  • 홀 추력기는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전기추력기 중 하나로, 인공위성의 자세제어, 궤도수정, 궤도천이 뿐만아니라 행성간 임무수행을 위한 우주선의 엔진으로 사용된다. 홀 추력기 채널 내부에 발생된 Xe 이온들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존재하는 전기장에 의해 가속되어 추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Xe 이온들은 자기장에 의해 감금된 전자와 중성 Xe 원자 사이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며, 실험적 및 이론적 연구를 통해 단일 전하를 띤 이온(Xe II)뿐만 아니라 다중 전하(Xe III 등)를 띤 이온도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온의 전하량 비율은 홀 추력기의 추력효율 및 연료효율에 영향을 미치며, 다중 전하를 띤 이온의 높은 에너지는 채널벽의 침식문제를 야기하는 등 홀 추력기 이온빔의 전하량 분석 연구는 물리적 연구측면 뿐만아니라 실용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장과 그에 수직한 방향의 전기장에서 발생하는 로렌츠 힘을 이용하여 이온의 전하량을 분석할 수 있는 $E{\times}B$ 탐침을 설계 및 개발하였다. 개발된 $E{\times}B$ 탐침은 70 mm 길이의 집속기와 $148{\times}138{\times}90mm$의 본체, 40 mm길이의 콜렉터로 구성된다. $E{\times}B$ 탐침 설계에 가장 중요한 균일한 자기장 설계를 위해 전산모사를 통해 최적화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실험을 위한 진단계의 최적화와 초기 실험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 PDF

Development of Hall-effect Thruster for Orbit Correction and Transfer of Small Satellites (소형위성의 궤도천이 및 보정을 위한 홀 추력기의 설계)

  • Seon, Jong-Ho;Kang, Seong-Min;Kim, Yon-Ho;Chun, Eun-Yong;Choe, Won-Ho;Lee, Jong-Sub;Seo, Mi-Hu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7 no.5
    • /
    • pp.490-495
    • /
    • 2009
  • A small Hall-effect thruster with a thrust range near 10 mN and a specific impulse of about 1500 s has been designed to control or maintain the orbits of small satellites. The thruster system consists of a hall-effect thruster head, a power processing unit and a Xenon (Xe) gas feed system. The total mass, the consumed electric power and the efficiency of the thruster are approximately 10 kg, 300W and 30%, respectively. Analyses results that support the selection of the thruster for small satellites are provided along with a brief description of the thruster system.

50 W 급 저전력 원통형 이온빔 소스의 개발 및 연구

  • Kim, Ho-Rak;Lee, Seung-Hun;Im, Yu-Bong;Kim, Jun-Beom;Choe, W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192.2-192.2
    • /
    • 2016
  • 전기추력기는 화학식 추력기에 비해 비추력이 높아 인공위성의 자세제어, 궤도수정, 궤도천이를 포함한 행성 탐사활동 및 우주 임무수행을 위한 우주선의 엔진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된다. 홀 추력기는 전기추력기 중 하나로 고리형 방전공간을 가진 고리형 추력기와 원통형 방전영역을 가진 원통형 추력기가 있으며, 원통형 추력기는 고리형에 비하여 넓은 방전공간으로 저전력 방전에 적합한 추력기이다. 또한, 저전력 추력기는 큐브셋(cubesat) 및 마이크로 위성(microsatellite)의 증가하는 수요에 따라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활용도가 높아 다양하게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홀 추력기는 자기장과 전기장을 서로 수직되게 인가하여, 자화된 전자는 플라즈마 방전을 유지시키고 자화되지 않은 이온은 전기장 방향으로 가속되어 이온빔을 발생시킨다. 하지만, 저전력 소형 추력기는 작은 소모전력과 방전채널로 인한 성능 저하 및 자기장 구조 설계 등 많은 어려움들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약 50 W급의 소모전력을 바탕으로 영구자석을 이용한 저전력 플라즈마 추력기를 개발하였다. 방전 채널은 지름 15 mm, 길이 16 mm, 무게는 약 0.6 kg으로 원통형 구조의 채널로 제작되었으며, 약 1500-2000 G의 자기장 세기를 갖도록 설계하였다. 방전 기체는 제논을 사용하여 1-5 sccm영역에서 방전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방전 전류는 0.02-0.4 A로 나타났다. 100-550 V영역에서 방전을 시도하였고, 채널길이를 16-24 mm 에서 약 1mN 급의 추력특성을 보였다. 본 발표에서, 홀 추력기의 제작 특성과 성능 및 플라즈마 특성에 대한 더 자세한 연구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 PDF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for the Neutral Particles in Hall Thrusters for Satellite Propulsion (인공위성용 홀 추력기의 중성기체에 대한 분자동력학 시뮬레이션)

  • Song, In-Cheol;Bae, Hyo-Won;Park, Chung-Hoo;Lee, Ho-Jun;Lee, Hae-June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19 no.2
    • /
    • pp.121-127
    • /
    • 2010
  • Neutral gas in a Hall-effect thruster in a small satellite is simulated using a molecular dynamics code. Investigated are neutral density, pressure, axial average velocity, and temperature for the variation of diffusive reflection ratio, initial gas temperature, and channel length. Expected through this research are improving of discharge simulation through the neutral simulation and understanding of real system.

Orbit Evolution Analysis of DubaiSat-2 using Hall-effect Thruster (홀 추력기를 이용한 두바이셋-2 위성의 궤도변화 분석)

  • Kim, Eun-Hyouek;Kim, Youn-Ho;Park, Jong-Soo;Koh, Dong-Wook;Jeong, Yun-Hwang;Lee, Hyun-W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3 no.4
    • /
    • pp.377-386
    • /
    • 2015
  • DubaiSat-2 is the first satellite developed in Korea equipped with a hall-effect thruster.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of the DubaiSat-2 hall-effect thruster is verified by analyzing the orbit information of DubaiSat-2. The preparation and performance of orbit operations during 8 months after launch (2013.11.21., UTC) is emphasized and the effects of solar activity on orbit evolution is analyzed. In particular, the hall-effect thruster's thrust is estimated by analyzing difference between observed orbit evolution and predicted orbit. As a result, the estimated thrust is similar to the ground experiment result of 11 mN. The summarized result in this paper would be important reference to improve the stability and effectiveness of satellite operation during the early operation and normal mission lifetime in case of low Earth orbit satellites.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Discharge Voltage and Plasma Characteristics of Hall Thruster Using a Hybrid Model (하이브리드 모델을 이용한 홀 추력기의 방전 전압과 플라즈마 특성 관계 연구)

  • Jung, Gwanyong;Sung, Hong-Gy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8 no.8
    • /
    • pp.611-620
    • /
    • 2020
  • The effect of discharge voltage on electron mean energy, electric potential, ionization rate, neutral and ion density of Hall thruster was analyzed using a two-dimensional axisymmetric hybrid model. The results of the code developed for this study such as discharge current, thrust, and plasma distribution according to discharge voltage of SPT-100ML Hall thruster were compared by experiments and calculations of other researchers for valid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electron mean energy, the ionization rate, and the ion density are increased while the neutral density is decreased as the discharge voltage is increased. The thrust and the discharge current are proportional to the discharge voltage.

Development and Experiments of the Low Power Hall Thruster for STSAT-3 (과학기술위성 3호 탑재를 위한 저전력 홀 추력기 개발 및 시험)

  • Lee, Jong-Sub;Seo, Mi-Hui;Seon, Jong-Ho;Choe, W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298-302
    • /
    • 2009
  • Low power Hall thruster is under development as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for STSAT-3. The Hall thruster has several advantages such as its simple structure, high thrust density and specific impulse etc. Development target values deduced by analyzing requirements are consumed electrical power, thrust, thrust efficiency, and specific impulse of < 300 W, > 10 mN, ~ 35%, and > 1000 s, respectively. In order to achieve the target specifications, two prototype Hall thrusters were developed and compared. To date, thrust and efficiency are 11 mN and 37% under the total power of 290 W with 0.97 mg/s Xe propellent supply.

  • PDF

과학기술위성 3호용 홀방식 전기추력기의 개발 및 시험

  • Lee, Jong-Seop;Seo, Mi-Hui;Choe, Won-Ho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9.10a
    • /
    • pp.45.3-46
    • /
    • 2009
  • 홀 추력기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와 작은 크기 및 높은 연료효율로 미래 소형위성의 핵심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 이 연구실에서는 2010년 발사예정인 과학기술위성 3호에 탑재할 소형위성용 저 전력 홀 추력기를 연구 개발하였다.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자기장 구조는 FEMM전산코드를 이용한 해석을 통해 설계되었으며, 제작된 프로토타입의 실험을 통해 자기장의 세기 및 모양, 양극전압 및 기체유량에 따른 성능 특성을 관찰하였다. 또한 Faraday Probe와 Retarding Potential Analyzer (RPA), 랑뮈어 탐침 등을 이용해 이온빔의 분사각도 및 전류밀도, 이온에너지 분포, 플라즈마 전위 등을 측정하고 관찰된 특성을 물리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최적화 과정을 통해 설계된 비행모델의 시험 결과 양극전력 200 W, 제논 연료유량 0.85 mg/s 을 통해 11.2 mN 추력, 1350 s 비추력, 37% 추력효율을 획득하여 개발목표를 상회하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다.

  • PDF